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종이, 날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싶어 콜롬비아 호르헤 타데오 로자노대에서 산업디자인을 전공하고, 핀란드 헬싱키에 위치한 수오멩키엘리넨 학교에서 도자기 공예를 공부했다. 또 최근에는 영국 브리스톨대에서 디자인 전공으로 석사과정을 밟으며, 영국에 머물고 있다.처음에는 주로 평면적인 작품을 만들던 에레라는, 전세계 ... ...
- [참여] 현대 모터스튜디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015년 수학동아 독자기자단의 첫 번째 방문지는 서울 도산공원 사거리에 위치한 현대 모터스튜디오! 지난해 문을 연 현대 모터스튜디오는 자동차에 담긴 문화와 이야기를 보고 들을 수 있는 국내 최초의 자동차 브랜드 체험관이다. 마치 미술관처럼 자동차가 전시돼 있고, 자동차 문화 큐레이터의 ... ...
- PART 1. “2015년, 지금은 빙하시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고운 황토(뢰스) 퇴적층이 발달했다. 한반도의 빙하시대한반도는 어땠을까. 중위도에 위치한 한반도는 큰 규모의 기후 연구가 거의 안 돼 있다. 하지만 이 때의 기후를 짐작하게 하는 연구 결과가 지난해 ‘네이처’에 발표됐다. 조경남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사와 우경식 강원대 교수팀은 석순 등 ... ...
- [Knowledge] 방사능벨트가 지구 보호한다고?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아무도 예상치 못했던, 얇고 단단한 보호막이 있었던 겁니다. 연구팀은 지구 상공에 위치한 ‘플라스마권’과 반 앨런대의 상호작용으로 이 같은 보호막이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경계선의 입자들이 산란되면서 고에너지 전자의 확산을 막는다는 얘기입니다. 이 보호막의 정확한 ... ...
- 깜짝 놀라지 않을 턱이 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이빨만 나 있고요.반면 사람 같은 포유류는 턱을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어요. 입 안 위치에 따라 여러 이빨들이 각각 먹이를 자르고 찢거나, 잘게 갈 수 있도록 진화했지요. 그래서 다양한 음식을 먹을 수 있답니다.한편 육상동물이 소리를 잘 듣게 된 것도 턱 덕분이에요. 초기 육상동물은 턱을 ... ...
- [지식] 펭귄의 남극살이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집중할 계획입니다. ‘바이오로깅’이라는 기술을 이용하면 먹이를 찾아다니는 펭귄의 위치와 기온, 수온, 잠수 깊이 등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펭귄이 지나다니는 길에 저울도 설치해 몸무게도 자동으로 측정하려고 합니다.그러면 펭귄이 먹이를 찾으러 나갈 때와 들어올 때의 몸무게 ... ...
- 수학 문제로 신에게 축복을 빌다 산가쿠(算額) 찾아 떠나는 일본여행기 1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몇 사람에게 염치 불구하고 산가쿠에 대하여 물어보아도 아무도 아는 사람이 없었다. 위치는 물론 산가쿠가 무엇인지도 몰랐다.어느덧 시간이 흘러 짧은 겨울 해가 저물어 가고 있을 때였다. 갑자기 주위에 소란이 일었다. 겨울 축제(마츠리)가 시작된 것이다. 한겨울에 온통 윗도리를 벗어젖힌 ... ...
- [과학뉴스] 로봇은 오늘도 그린다. 백사장에, 홀로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비치봇은 와이파이에 연결된 컴퓨터, 관성측정장치, 레이저스캐너를 가지고 있어 자신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림에 필요한 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 개발자들은 페루 나스카 사막에 그려진 거대한 동물 그림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영국의 과학잡지 ‘뉴사이언티스트’와의 인터뷰에서 ... ...
- [과학뉴스] “내가 평범한 개로 보이니?”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암호를 만드는 여러 방법 중 하나일 뿐이에요. 다른 방법으로는 글자의 위치를 바꾸거나, 아예 글자 자체를 바꾸는 방법이 있어요.”글자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다른 글자로 바꿔 쓰는 방법은 시저 암호라고 불린다. 원문의 A를 세 글자 뒤인 D로 바꾸고 B를 E로 바꾸는 식이다. 단순한 규칙이지만 ... ...
- Part 1. 차세대 비행기 설계도 5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무인기 공중급유 기술을 응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각자 카메라로 서로를 찍은 뒤 정확한 위치와 거리를 자동으로 계산해 접근하는 ‘영상인식’ 기술을 쓰고 있습니다. 이 기술로 2012년 10월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과 항공우주국(NASA), 노스롭 그루먼사가 2대의 개량형 글로벌호크를 13.7km ... ...
이전2062072082092102112122132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