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높이가 달라 더 짜릿한 원마운트 워터파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5호
- 내보내면 공기가 물을 밀어내면서 인공 파도가 만들어지지. 이 때 공기를 내보내는 위치와 갯수를 다르게 하면 파도 모양도 다양해져. 참, 이곳에선 구명조끼 착용이 필수란다.겁이 많다고? 그럼 300m 길이의 유수풀인 벤츄라리버에서 튜브에 몸을 맡겨 봐. 계곡, 급류, 동굴을 거치며 작은 모험을 ... ...
- 잡힐 듯 말 듯 신기한 스케치북 속 3D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때문이지요. 그림 속의 캐릭터나 사물, 그림자의 위치, 스케치북과 우리가 그림을 보는 위치를 이용해 ‘진짜’인 것처럼 우리의 눈을 속이고 있는 거랍니다. QR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찍으면 작품을 찍은 영상이 나와요. 이 영상에서 보는 각도에 따라 그림이 평면으로 보이기도 하고 입체처럼 ...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년 12호
- 기존의 3차원 그래프로 4차원 개념을 설명한 것이다.민코프스키 공간에서의 원점은 현재 위치와 시간을 의미한다. 물체가 이동한다면 평면 위의 미래의 원뿔에 세계선으로 표현된다. 마찬가지로 과거의 움직임은 평면 아래의 과거의 원뿔에 나타난다. 원뿔 모선의 45° 각도는 민코프스키가 정한 ... ...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초월한 곳이다. 쿠퍼는 이 공간 안에서 자신의 과거와 머피의 현재 상황을 지켜본다. 위치와 장소를 자유롭게 옮겨 다닐 수 있지만 파동이나 빛, 전자기력으로는 시공간에 영향을 줄 수 없다. 가능한 것은 오직 중력뿐이다. 쿠퍼는 중력을 조절해 책이나 모래를 떨어뜨려 머피와 과거의 자신에게 ... ...
- 동글동글 새콤달콤 블루베리의 3색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생각보다 커! 그런데 왜 숲이 온통 연두색이지?익기 전 블루베리는 연둣빛도심 한가운데 위치한 건물 옥상에 블루베리 숲이 있다는 소식을 듣고 한 달음에 달려갔어요. 푸른빛이 나는 블루베리를 기대하고 갔지만 실제로 본 블루베리 농장은 온통 연둣빛이었지요. 블루베리 농장을 운영하는 주산근 ... ...
- [생활] 영화 한 편 내려받는 데 1초 LTE-A보다 1000배 빠른 5G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나갈 채비를 마치고 학생이 집을 나서면 자동으로 문이 잠기고 집안에 있는 모든 스위치도 꺼진다.SF영화에서나 볼 수 있었던 일이 5G 기술로 현실화되는 것이다. 스마트폰에서 홀로그램과 입체 영상도 볼 수 있다. 이런 5G 기술이 당장 상용화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는 2020년 세계 최초로 5G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성분 얼음과 드라이아이스, 먼지 암석 궤도 대부분 해왕성 너머의 ‘카이퍼 벨트’에 위치. 포물선 궤도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에 위치. 원형 궤도 특징 태양에 접근하면 핵에서 가스가 분출하며 최대 100만km에 이르는 긴 꼬리가 생김 단단한 고체 표면을 가졌고 대기가 없음 소행성 하나는 5000조 ... ...
- [hot science] “내가 만만해 보여?” 양자역학의 굴욕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제가 여러 차례 했습니다.“마음은 몸의 크기만 하고 그것은 몸의 공간과 중첩되면서 위치하는 것으로 생각한다.”마음과 몸이 중첩된다고 하니 왠지 양자 중첩에서 따온 것인지 의심스럽습니다. 양자 중첩이 양자역학에서 중요한 개념이긴 합니다. 전자 같은 양자는 이론적으로 가능한 모든 상태에 ... ...
- [과학동아 카페] “노벨상 원리, 장풍 알면 쉬워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주제였던 장소세포와 격자세포의 차이를 설명하던 곽 교수에게 “철새는 특히 위치를 기억하는 세포가 발달했을 것 같은데, 연구한 논문이 있느냐”고 묻는 참가자도 있었다.과학동아 카페에 참석하기 위해 경남 통영에서 올라온 장재윤(충일여고 1) 학생은 “평소 주변에서 많이 보던 청색 LED로 ... ...
- 우리 주변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에서 만난 노건일 박사과정 학생이 말했다. 그는 최근 동료 대학원생들과 함께 새로운 위치기반서비스 ‘버블시티’를 개발했다. 이 서비스를 바탕으로 벤처까지 창업했다. 노 씨는 “공학자들은 기술창업으로 세상에 기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개발 동기를 밝혔다.버블시티는 특정 공간에서 ... ...
이전2092102112122132142152162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