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체"(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뿐이다. 하이브리드라고나 할까. 분자 자체는 양자역학적 원리로 구성돼 있으나 분자 전체를 한 단위로 보았을 때 이것은 공이나 다름없다는 말이다. 불과 60개의 탄소원자가 모여 만들어진 풀러렌이란 분자조차 양자 간섭을 일으키려면 특별한 조건을 준비해야 한다(2월호 참고). 결어긋남이 ... ...
- Part 1. 테러도 공식을 따른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다양한 그래프를 그렸다. 그 결과 $x$축을 테러로 인한 사망자 수, $y$축을 (테러 횟수)÷(전체 테러 횟수)로 한 그래프에서 의미 있는 결과가 나왔다. 테러가 일어난 나라, 테러의 이유, 지지세력 등이 모두 달랐지만 기울기 $α$가 약 2.5인 직선이 나왔기 때문이다.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뿐만 아니라 ...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아이디어를 얻은 것이다. 금속 그물을 여러 개의 사각형이 모인 형태로 구성한 뒤, 틀 전체를 찌그리면 크기가 줄어든다.이렇듯 오리가미와 수학, 과학, 공학의 만남은 운명일지도 모른다.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현재 오리가미 기술은 분야의 경계 없이 각각의 대상을 최소 부피로 줄여 최대 효과를 ...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크며, 전체 염기서열 중 5.1%나 차지한다. Y 염색체는 반대다. 끝에서 세 번째로 작고, 전체 염기서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고작 1.9%(염기 개수 약 7600만 개)다. 안에 들어 있는 정보도 적을 수밖에 없다. 특이점이 있다면 의미가 없어 보이는 반복서열이 많고, 앞으로 읽으나 뒤로 읽으나 정보가 같은 ...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논란 중이다. 이 교수는 “3만 년 전 이후 문화나 문명의 복잡도를 생각했을 때 집단 전체의 정보처리 양은 늘었다”며 “하지만 작업의 분업화와 계급화로 오히려 개인의 정보처리 양은 줄어 들었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최근의 스마트폰이나 구글 검색까지 가지 않더라도, 인류는 사회와 ... ...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이용해 실험한 결과, 미량 악티늄 핵종의 제거가 가능했다”고 말했다.가속기 방식은 전체 전기 생산량의 약 20%를 가속기를 움직이는 데 써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대신 안정적이다. 벌써 실험로 건설을 추진하는 나라가 있을 정도로 진척이 빠르다는 점도 장점이다. 현재 이 분야에서 가장 앞선 ...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과학동아 l2014년 10호
- 0.1%에서 0.001%만 배양에 성공한다. 뒤집어 말하면 이제까지 과학자들이 밝혀낸 종이 전체의 0.1%도 안 된다는 소리다. 신종헌터들은 지구상에 박테리아가 100만 종에서 1000만 종 이상까지 있으리라 추정하고 있다. 진핵생물에서는 감히 상상할 수도 없는 '새로운 문'을 발견하는 일이 그래서 ... ...
- INTRO. 신종헌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있는지조차 몰랐다.우리는 지구에 사는 생물을 다 아는 것 같지만, 지금까지 밝혀진 종은 전체의 1%도 채 안 된다. 설마 싶나? 작년 한 해 새로 발견된 생물만 해도 무려 1만8000종. 당신이 글을 읽고 있는 이 순간에도 3~4만 명에 이르는 신종헌터들이 지구 곳곳에서, 특히 오지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종을 ... ...
- [과학뉴스] 5분만 기다려 택시 합승하세요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시각과 도착 시간이 기록돼 있었는데, 이를 빅데이터 분석법으로 처리했다.분석 결과 전체 승객의 95%가 최대 5분만 기다리면 다른 승객과 택시를 함께 탈 수 있었다. 같은 목적지를 두 번 가는 수고를 덜자 운행 시간은 40%가 줄어 택시 회사 운영비도 30%가량 줄었다.지금까지는 같은 곳에서 택시를 ... ...
- [hot science] 초고층의 저주, 수직도시 안녕할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앞에 도착한 뒤 그곳에서 고층까지 올라가는 데에만 다시 4분의 시간이 더 드는 경우가 전체의 4분의 1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2007년 미국응급의학회지에 실린 뉴욕의 사례 연구 결과 역시 10층 이상의 건축물 입구에서 환자가 있는 곳까지 가는 데 추가로 걸리는 시간은 평균 3.2분으로, 3~10층 ... ...
이전2062072082092102112122132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