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취향 존중하는 피자 배분법 발표!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받게 됩니다. 만약 피자에 곡선을 그어 똑같은 크기대로 나누면 어떨까요? 각자 원하는
부분
을 먹을 수 있지만 피자를 곡선으로 자르는 건 아주 까다롭습니다.영국 리버풀대 수학과 조엘 해들리, 스테픈 워슬리 박사는 오직 직선으로만 피자를 똑같이 나눌 수 있는 방법을 발견했습니다. 좌우 대칭인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알았던 평평한
부분
이 사실은 밑으로 움푹 들어가 있답니다. 그래서 공이 모두 이
부분
으로 굴러가는 거랍니다.이 작품도 미끄럼대와 미끄럼대를 받치는 지지대의 전개도를 오리고 붙여서 쉽게 만들 수 있어요. 실제로 각각 다른 각도로 기울어 있는 지지대가 모두 평행하게 보이는 위치를 찾아야만 ... ...
[재미] 에피소드수학_키가 쑥쑥! 자라는 비법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작은 세포가 잔뜩 들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요. 뼈마디 끝
부분
에 있는 성장판이지요. 성장판에 있는 연골세포는 성장기 동안 계속해서 분열하고 점점 많아져요.성장기에는 성장호르몬의 영향으로 연골세포들이 자라는 동안 칼슘이 쌓이면서 단단한 뼈로 변해요. 그래서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체험활동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띠살창호입니다. 좀 더 가까이 가서 창호살을 살펴보세요. 다른 건물의 창호살은 바깥
부분
이 평평한 반면, 정전의 창호살은 바깥쪽이 볼록합니다.이렇게 바깥쪽이 볼록한 창호를 ‘투밀이살’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바깥쪽이 움푹 들어간 창호는 ‘등밀이살’이라고 합니다. 등을 밀어서 움푹 ... ...
[새 책] 입자물리학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이렇게 많은 ‘과학’책이 나온다는 사실이 놀라울 정도인데, 안타까운 마음도 든다. 대
부분
의 저자가 외국 학자이기 때문이다.그래서 이렇게 한국 과학자가 자신이 직접 연구한 내용을 쓴 책이 날아들면 정말 반갑다. 이 땅에 산다는 사실조차 몰랐던 동물들을 저자는 밤낮으로 찾아 다니며 생태와 ... ...
[과학뉴스]이제 로켓도 재활용 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이 로켓에는 소형 위성 11개가 실려 있었지요. 9분 45초 후, 추진체 역할을 하는
부분
인 ‘1단 추진 로켓’이 다시 지상으로 무사히 착륙했어요. 소형 위성 11개는 모두 성공적으로 로켓에서 분리되어 지구 궤도에 올랐답니다.스페이스X는 회수한 추진체에선 큰 손상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점검을 마친 ... ...
[News & Issue] 혈액 생성 과정, 교과서가 틀렸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이들로부터 3000여 개의 혈액세포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분석한 결과 조혈모세포의 각
부분
이 거의 동시에 다양한 혈액세포로 분화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전까지는 조혈모세포가 순차적으로 변화해 혈액세포가 만들어진다고 알려져 있었다.딕 교수는 “이번 연구가 빈혈이나 백혈병 등 다양한 ... ...
[News & Issue] 5억 년 전 알 품은 동물 찾았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왑티아 화석보다 700만 년 앞선 절지동물 화석에는 알이 다리 쪽
부분
인 부속지에 붙어 있다.이번 연구결과는 동물의 급격한 진화가 발생했던 캄브리아기 대폭발 기간에 절지동물의 보육방식도 다양해졌음을 의미한다. 카론 교수는 “왑티아가 포식자나 환경 위협으로부터 ... ...
[News & Issue] ‘꽉 찬’ 주기율표 새로운 화학 문 여나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굉장히 길 것으로 예상된다. 권 팀장은 “안정성의 섬에 속한 초중 원소들은 실용적인
부분
에서도 혁신적인 변화를 불러올 것”이라며 “원자핵 구조와 핵물질 분열과 관련한 특성을 이해하는 데 쓸 수 있다”고 말했다. 또 113번 원소를 입증하기 위해 그 아래 번호대의 원소들이 발견돼야 했듯이, 12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피부를 뚫고 들어가 내장을 먹었다. 연구팀은 이 실험을 통해 수중과학수사에 응용할
부분
이 두 가지가 생길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먼저 시체에 모인 생물의 종류와 양을 보고 입수시간을 계산할 수있다. 또 바다에 잠겨있는 시체의 현재상태를 예측해 시체를 인양하거나 수사할 때 참고할 수 있다 ... ...
이전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