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분"(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체험활동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띠살창호입니다. 좀 더 가까이 가서 창호살을 살펴보세요. 다른 건물의 창호살은 바깥 부분이 평평한 반면, 정전의 창호살은 바깥쪽이 볼록합니다.이렇게 바깥쪽이 볼록한 창호를 ‘투밀이살’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바깥쪽이 움푹 들어간 창호는 ‘등밀이살’이라고 합니다. 등을 밀어서 움푹 ... ...
- [과학뉴스]이제 로켓도 재활용 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이 로켓에는 소형 위성 11개가 실려 있었지요. 9분 45초 후, 추진체 역할을 하는 부분인 ‘1단 추진 로켓’이 다시 지상으로 무사히 착륙했어요. 소형 위성 11개는 모두 성공적으로 로켓에서 분리되어 지구 궤도에 올랐답니다.스페이스X는 회수한 추진체에선 큰 손상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점검을 마친 ... ...
- [News & Issue] 금성에 5년 지각, “그래도 잘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찾을 수 있다. 이는 우리 태양계 밖에서 지구형 외계행성을 찾아내는 데 근거가 될 부분이기도 하다. 앞으로 2년 동안 아카쓰키는 인류의 유일한 금성탐사선으로써 이런 중요한 자료를 전송하는 역할을 맡았다. 미국은 벌써부터 아카쓰키 관측 자료 분석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유럽, 미국, 러시아는 ... ...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아직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지문이 물에 들어가면 쉽사리 없어지는 탓이다.지문은 대부분이 물로 이뤄진 자국이다. 여기에 땀샘에서 나온 아미노산, 단백질, 젖산 등 유기화합물과 나트륨, 칼륨 이온 등 무기화합물도 소량 섞여있다. 손가락에서 나온 유·무기화합물의 특성을 이용하면 눈에 보이지 ... ...
- [Tech & Fun] 소녀탐정 ㅊ씨의 S(cience)-File ❷ 소년탐정 김전일의 ‘이진칸촌 살인사건’ (上)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있지만, 6~7구의 시체가 모두 몸을 펴고 있기란 확률적으로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이 부분은 그렇다 하더라도 몸의 일부가 감쪽같이 사라진 시체를 27년간 아무도 의심조차 하지 않았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대목입니다. 사건이 발생한 1992년은 이미 뼈를 이용한 과학수사가 자리를 잡은 ...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알았던 평평한 부분이 사실은 밑으로 움푹 들어가 있답니다. 그래서 공이 모두 이 부분으로 굴러가는 거랍니다.이 작품도 미끄럼대와 미끄럼대를 받치는 지지대의 전개도를 오리고 붙여서 쉽게 만들 수 있어요. 실제로 각각 다른 각도로 기울어 있는 지지대가 모두 평행하게 보이는 위치를 찾아야만 ... ...
- [지식] 설문조사의 함정수학동아 l2016년 02호
- 확률 P(B)= 4/37보다 훨씬 크다는 점입니다. A 교집합 B는 두 집합 A와 B에 공통으로 속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P(A∩B)가 P(A)나 P(B)보다 절대 클 수 없지요. 착각이 부른 이야기 짓기 오류왜 이런 결과가 나타난 걸까요? 전혀 상관없는 두 사건이 서로 관련이 있다고 믿는 사람의 심리 때문입니다. 레바논 ... ...
- [News & Issue] 혈액 생성 과정, 교과서가 틀렸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이들로부터 3000여 개의 혈액세포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분석한 결과 조혈모세포의 각 부분이 거의 동시에 다양한 혈액세포로 분화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전까지는 조혈모세포가 순차적으로 변화해 혈액세포가 만들어진다고 알려져 있었다.딕 교수는 “이번 연구가 빈혈이나 백혈병 등 다양한 ...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235를 농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미국 정부가 기술적 장벽으로 꼽은 부분도 바로 이 부분이었다. 1944년에 발간된 미국중앙정보국(CIA) 보고서는 “핵무기를 설계하는 것은 그 자체로 어려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핵연료를 구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이 기술을 철저히 통제하면 핵확산을 막을 수 있을 ... ...
- [Knowledge] 고양이는 오늘도 당신을 사냥할 꿈을 꾼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사람을 비롯해 다른 종의 동물을 대하는 방법을 모두 배울 수 있는 특별한 종이다. 대부분의 가축은 이런 융통성이 없다. 이를 ‘다중 사회화’ 능력이라고 한다.고양이는 주인과 소통하기 위해 울음소리를 바꾸기도 한다(j.cub.2009.05.033). 영국 서섹스대 연구팀은 고양이가 주인 앞에서 가르랑거리는 ... ...
이전2082092102112122132142152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