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푸드트럭 장수의 비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자신의 경로를 알려 단골 고객을 만든 것으로 유명하다. 단골 고객은 주기적으로 SNS를 보고 로이 최의 트럭을 따라다녔다. 우리나라 SNS에서도 푸드트럭을 홍보하는 글을 쉽게 볼 수 있다. 이처럼 경험으로 얻는 생존법칙도 수학으로 계산한다면 영리한 장사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
- Part 3. [변신 3단계] 수박으로 움직이는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 기술을 적용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특별 인터뷰 “ 과학책 보고 수박씨로 바이오에탄올 만들었어요.”◀ 송백영(아주대 국방디지털융합학과 2학년)송백영 학생은 2010년, 중학교 1학년 때 수박씨로 바이오에탄올을 만들어내는 방법을 개발했어요. 그뒤 2011년엔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소, 양, 염소, 돼지 등 대부분의 포유류는 탄저균에 취약하며, 다행히 사람 간 전염은 보고된 바가 없다. 오염된 지역의 토양이나 오염된 동물의 가죽 등에서 포자를 흡입하는 경우 폐 탄저에 감염될 수 있다. 만약 북한이 탄저균을 이용한 생물 무기로 도발한다면 매우 위험한 상황에 놓일 수 있다.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수를 결정할 수 있겠지만, 확실한 방법은 둘 수 있는 모든 지점에 대해 실제로 끝까지 둬보고 이기는 지점에 두는 것이다. 즉 내가 둘 수 있는 모든 지점에 대해 상대방이 둘 수 있는 모든 지점, 또 그에 대해 내가 둘 수 있는 모든 지점 등과 같이 끝까지 경우의 수를 다 따져보면 승패를 알 수 있는 ... ...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수준에서 평가 의견을 받고 있다”며 “모든 평가위원들이 2박3일간 연구단 전체를 만나보고 질의응답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IBS는 올해 9개 연구단에 동료평가 방식을 적용할 계획이다. 하지만 일반 연구기관이나 대학에서 100% 동료평가 방식을 도입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평가에 ... ...
- [Culture] 세인트 앤서니 폭포 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등 다양한 연구 결과가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홈페이지에 가면 최근 발표한 프로젝트 보고서 549개를 열람할 수 있습니다. 볼거리 먹거리 가득한 관광지미니애폴리스는 코카시안이 많은 도시이지만, SAFL 연구원의 절반은 중국, 인도, 남아메리카, 중동 등에서 온 외국인입니다. 연구소 분위기는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데, 뭐 그런 극한환경에서 사는 동물을 연구하는 사람이지. 그 히라바야시 박사가 사진 보고서 그러더라니까. 어디서 찍은 건지 꼭 좀 알려달라고.”“아, 그게 동굴에서 사는 벌레래요?”“아니, 아니. 무슨 바다 밑바닥에서 사는 놈하고 닮았대. 뭐라더라, 나도 찾아봤는데……관벌레? 뭐 그렇게 ... ...
- [SW 기업 탐방] 수학 원리로 듣는 스피커, 리슨~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때마다 3D프린터로 만들고 테스트했다. 같은 모양에 크기만 다르게 만들어 소리를 들어보고, 완전히 새로운 모양으로도 만들어 보았다. 그렇게 128번째 만에 리슨이 탄생했다. 사회문제에서 아이디어를 얻다“사회문제나 일상의 불편함에서 아이디어를 떠올려요. 제품을 개발할 땐 수학적 개념이 ... ...
- Part 1. 수명이 다한 물건들은 어디로 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도시에서 금속을 캐기 시작한 건 ‘전자제품 무덤’을 보고 난 후부터야.비행기 수천 대가 모여서 만든 무덤이라니…. 정말 신기하지?바다와 사막은 전자제품 무덤?!세계 곳곳에는 전쟁이 끝난 후 쓸모가 없어진 전투기와 탱크, 수명이 다한 배와 비행기 등이 모여서 만들어진 전자제품 무덤이 ... ...
- [과학뉴스] 귓불에 대각선 주름 있으면 치매 위험 높아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아니라 심장질환과 고혈압, 당뇨, 뇌졸중 등 질병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꾸준히 보고됐다.이진산 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와 서상원 서울삼성병원 신경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정상인 243명과 치매(알츠하이머, 혈관성) 환자 471명을 조사한 결과 치매 환자의 60%인 279명에서 대각선 귓불 주름을 ... ...
이전2092102112122132142152162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