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세계여행 가장 싸게 하는 이동 경로는? 외판원 문제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NP’라는 추측이 있습니다. P는 정해진 단계 안에 풀리는 문제, NP는 문제의 풀이 과정을
보고
그 문제의 답이 옳은지 특정 횟수 안에 확인할 수 있는 문제를 말합니다. 그 중에서도 NP-완전은 NP 문제중에서 이 문제를 풀면 다른 NP 문제를 모두 특정 횟수 안에 풀 수 있다고 증명된 문제지요. 외판원 ... ...
[Focus News] 초강력 태양폭풍 지구 강타한 이유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발생 3일 전 정확히 예측”전문가들은 현재 태양 활동이 극소기에 접어들었다고
보고
있다. 태양은 약 11년 주기로 흑점 수가 늘어났다가 줄어들기를 반복하고, 태양 활동도 이 주기에 따라 강해졌다가 약해지기를 반복한다. 2012~2014년은 태양 활동이 가장 활발한 극대기였고, 현재는 활동이 감소해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짠다. 내용은 다양하다. 뇌과학 관련분야 전문가를 초청해 강연을 듣기도 하고, 영화를
보고
토론도 한다. 이날은 심리학 실험 결과가 발표됐다. 4~6명으로 조를 짠 뒤 주어진 키워드를 이용해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주제는 조별로 달랐다. ‘비행기’ ‘고속도로’ 등 빠른 동작을 연상시키는 ... ...
Part 3. 둔갑과 은신을 위한 변신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의태의 대상이 되는 종에게는 손해입니다. 만약 포식자 뱀이 말벌로 의태한 나방을
보고
맛있게 먹었다면, 나중에 진짜 말벌을 봐도 잡아먹겠지요. 의태 대상인 말벌은 피해를 입은 것이지요. 실제로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나방을 놓친 포식자 뱀도 손해이고요. 그래서 맛있고 독이 없는 의태종은 ... ...
스도쿠 잘하는 비법은 멍 때리기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방법을 제게 물어요. 그런데 특별한 비법이 없어요. 혼자 많이 생각하는 거예요. 전략을
보고
익혀서 풀면 전략에 해당하지 않는 문제나 새로운 유형은 잘하기 어려워요.” 게임이나 인터넷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스도쿠는 컴퓨터가 알고리즘에 따라 만든 문제다. 이미 알려진 전략에 따라 문제를 ... ...
[수학공감] 여행에서 수학을 발견하다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9월 16일 아침, 경남 창원시 진해구 북원로터리의 이순신 장군 동상 앞에서 학생들이 무리지어 무언가에 열중하고 있었다. 진해로 매스투어★를 온 경남 창원 삼계중학교 ... “앞으로 수학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친구들과 여러 활동을 하며 수학 실력을 키워
보고
싶어요”라고 말했다 ... ...
Part 2. 소라게야, 새집 줄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주택 마련 프로젝트일본의 부동산 회사 ‘SUUMO’는 해양 쓰레기를 집으로 삼는 소라게를
보고
재미있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어요. 바로 소라게 주택 마련 프로젝트 ‘셸 위 무브(Shell We Move)’예요.이 회사는 일본 도쿄대학교 해양과학기술대 카츠유키 하마자키 교수팀의 자문을 받아 소라게를 위한 ... ...
[에디터 노트] 노벨상의 시간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오스미 요시노리 일본 도쿄공업대 명예교수는 ‘유네스코 과학
보고
서’에서 “2000년대 노벨상 수상 연구는 대부분 1980년대 이전 성과”라며 “지금 노벨상을 많이 받는다는 것이 현재 연구개발(R&D) 투자가 많이 이뤄지고 있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이런 분위기는 ... ...
[과학뉴스] 지진 규모 예측할 단서 찾았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최근 지진을 발생시키는 단층 파열이 특정한 패턴을 따라서 일어난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
되고 있다. 지진이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는 예측하기 어렵지만, 특정 지점에서 단층이 파열되는 현상을 포착하면 이후 진행 양상에 대해서는 예측할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이번 연구에서 맨-앤드린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정자의 잘려진 유전자 부위에 삽입된 것이다. 지금까지 이런 현상은 학계에 한 번도
보고
된 바가 없다. 김진수 단장 역시 이 부분에 대해 “연구진도 예상하지 못한 결과였다”며 “외부 DNA를 도입하는 것보다 교정의 정확성이 더 높았다”고 말했다. 논란1: 난자의 유전자 교정? 발달생물학에 ... ...
이전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