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여성화장실 줄만 너무 길어요!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바글바글한 거예요. 방광은 터질 것 같고 영화 시간은 다가오는데 오빠는 그새 볼일을
보고
나오더라고요. 그리고는 앞 장면 놓치겠다고 어찌나 닦달을 하는지! 도대체 왜 여성화장실만 붐비나요? 그 극장, 모르긴 몰라도 여성화장실과 남성화장실을 똑같은 면적으로 만들었거나 변기 수를 똑같이 ... ...
Part 1. 그 男자의 ‘개기름’ 그 女자의 콜라겐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젖산 등의 천연보습인자(NMF), 지질층이 복합적으로 피부 수분 함량을 조율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이런 기능은 유전자에 따라 다르다고 추정하고 있다. 예컨대 피부 건조를 동반하는 아토피 피부염에 걸린 사람들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필라그린(FLG)’이라는 유전자에 변이가 있는 ... ...
[Origin] {숨} 어디까지 참아봤니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유전체 차이를 분석한 최근의 연구에서 미토콘드리아에 차이가 있다는 결과가
보고
됐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비교적 낮은 지역에 사는 셰르파 15명과 연구팀 가운데 10명을 뽑아서 각각 카트만두와 런던에서 혈액과 근육의 샘플을 채취했다. 그런 뒤 에베레스트 등반팀을 따라서 해발 5300m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PVC 접합 유리, 탄소섬유 케이블 등 다양한 건축 자재와 시공 과정, 지하도를 들여다
보고
우리가 발 딛고 선 이 도시의 기반을 탐험할 수 있다. 미래에는 거대 도시가 어디까지 확장될까. 책에서 답을 가늠해 보자 ... ...
한글의 美, 기하학 만나 추상미술로 피어나다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유학하던 시절 한 주제로 3가지 디자인 패턴을 만드는 과제를 수행했다. 평소 표현해
보고
싶었던 ‘독도’를 주제로 정하면서 패턴 중 하나를 한글을 이용해 만들었다. ‘동쪽 끝 섬 독도’라는 글을 선으로 추상화한 것이다. 그때 교수와 친구들의 반응이 흥미로웠다. 한글을 문자가 아닌 오로지 ... ...
[수학공감] 수학 교육을 바꾸다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덕분에 진도에 얽매일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권 교사는 “학생들이 천천히 만들어
보고
, 관찰하며 스스로 도형의 성질을 깨닫는 게 중요합니다”라고 설명했다. 느리더라도 한 걸음씩권 교사는 2017년 3월 2일부터 8월 9일까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관한 수학 핵심교원 특별 연수에 참가하고 ... ...
Part 5. 플라스틱 발자국을 줄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클수록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제품이지요. 사람들은 물건에 표시된 탄소 발자국을
보고
이산화탄소를 적게 발생시킨 제품을 선택할 수 있어요.플라스틱 발자국도 마찬가지예요. 제품에 플라스틱 발자국을 표기해 놓으면 사람들은 내가 사서 쓰는 제품에 플라스틱이 얼만큼 사용됐는지 확인할 ... ...
[에디터 노트] 셀링 사이언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기본 역할에 충실하기 위해 애썼다. 일회용 생리대는 생리대 구조부터 한 꺼풀씩 벗겨
보고
논란이 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출처를 추정해봤다. 여성청결제의 유해성도 전문가에게 실험을 의뢰해 단독 조사했다. 이런 시도가 독자 여러분의 과학적인 이해와 사고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 ...
[Origin] 쇼미더맛 제6의 맛 쟁탈전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역할을 한다. 그 결과 실험참가자들은 포도당이나 맥아당, 수크랄로스가 든 용액을 맛
보고
도 단맛을 느끼지 못했다. 하지만 포도당이 든 용액만은 가려냈다. 단맛 이외에 특유의 녹말맛을 느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포도당이 단맛 수용체가 아닌 다른 미각 수용체에 붙어 녹말맛을 느끼게 할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떠나자는 최 기지대장의 말에 모두 환호했다. 최 기지대장은 “바다를 가까이
보고
느끼는 것은 바다를 연구하는 사람에게 아주 중요하다”며 “미래 해양학자를 꿈꾸는 연구단에게 기지에서의 경험이 좋은 동기 부여의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해삼 해부하고 미생물 배양까지기지에서는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