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겨울철
동계
한천
동기
d라이브러리
"
겨울
"(으)로 총 2,664건 검색되었습니다.
불면증 치료에서 항암제까지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논문을 통해 보고돼 왔다. 특히 포유류 중 양과 같이 ‘계절 번식’ 을 하는 경우 가을과
겨울
에 이르면 멜라토닌이 많이 분비돼 성욕이나 성 호르몬의 분비가 증가된다는 사실이 잘 규명돼 있다. 양의 임신기간은 약 6개월이므로, 새끼는 풀이 풍부하고 날씨도 좋은 계절인 봄이나 여름에 태어난다. ... ...
2. 지구는 태양의 혜택을 얼마나 누릴까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받는 태양 복사에너지의 약 20%를 전기에너지로 바꿀 수 있다고 한다. 여름, 봄'가을,
겨울
철 한달(30일) 동안 태양전지판에서 얻을 수 있는 전력략은 각각 몇 kWh일까?(정답) 여름: 4백20, 봄'가을: 3백60,
겨울
: 3백10(3) 위의 태양전지판으로 1년동안 얻은 전기에너지를 모두 축전기에 모은다면 매달 3백kWh를 . ...
두 얼굴의 장마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의미하는 머심(mausim)에서 유래했다. 아라비아해에서는 여름 반년에 부는 남서풍과
겨울
반년에 부는 북동풍을 몬순이라 불렀다. 요즘에는 단순히 계절풍이란 뜻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여름의 계절풍을 초래하는 우기(雨期) 혹은 우기에 내리는 비를 말하기도 한다. 몬순은 지역마다 다양하게 ... ...
KAIST 송태호교수가 최초로 밝힌 얼음골의 비밀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바로 그 얼음굴이다.송교수는 "얼음골이든 얼음굴이든 생성매커니즘을 잘만 이용하면
겨울
의 냉열을 적절한 매체에 잘 저장했다가 여름에 냉방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대형건물애 적용하면 경제성이 있다"고 주장했다.송교수가 설명한 얼음골의 원리는 앞에서 말한 전북 진안의 '풍혈 ... ...
Ⅱ. 묻혀있는 가능성 지오피아를 건설한다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단열재로 작용해 지하공간의 온도를 보호한다. 이 지역의 지상기온은 여름에 38C에서
겨울
에 영하18c가지 변화하지만 지하는 연중 14C로 일정하다.지하공간 내에서의 습도는 필요에 따라 지상보다 손쉽고 적은 비용으로 조절될 수 있다. 게다가 시설물이 얼어붙는다든지 홍수나 바람에 의해 피해를 ... ...
4. 세계 최고 수준 지향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KEK)에 모여 처음 공론화했다. 그리고 1993년 2월 설악산에서 개최된 제1회 태평양 이론물리
겨울
학교에서 국제추진위원회가 결성되면서 공식화됐다.한국이 유치국으로 결정된 것은 지난 1994년 11월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아세아과학협력기구(ASCA) 총회에서였다. 베트남의 발의로 많은 국가들이 ... ...
육체적 고통 속에서 얻은 우주의 신비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1초의 여유도 없이 바쁜 연속관측으로 생리적 신진대사마저 참아내야 했다. 특히 밤이 긴
겨울
철에 1주일 계속 관측하다 보면 피로가 쌓여 자다가 다리에 쥐가 나기 일쑤였다. 그래도 다음날 밤하늘이 맑아주기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은 우주와 대화를 나누고 싶은 소박한 욕망 때문이었다.아름답게만 ... ...
이슬 머금은 자태로 먹이 유혹 끈끈이주걱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종자를 만든다. 늦가을이 되면 가장 자리의 잎은 말라죽고 가운데의 잎은 둥글게 말아
겨울
을 대비한다.모양우리는 주변에서 곤충이 일방적으로 식물을 갉아먹는 것만을 보아 왔다.그러나 식물이 곤충을 잡아먹기도 한다. 이를 식충식물이라고 한다.육상의 대표적인 식충식물로 끈끈이주걱이 있다. ... ...
1. 생활 속의 디지털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하루의 삶은 더 이상 불가능해진 것이다.미국 월트디즈니사와 픽사 테크놀러지사가 지난
겨울
에 선보인 영화 '토이스토리'. 6살 소년 앤디의 카우보이 장난감인 우디와 첨단 로봇인형 버즈의 애증을 통해 신-구세대간, 과거와 미래간, 디지털과 아날로그간의 갈등을 그린 이 영화는 영화탄생 ... ...
DOHC 엔진 힘좋다고 마냥 좋은 것은 아니다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이용, 히터코어 뒤에 팬을 설치해서 더운 바람을 송풍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추운
겨울
철 시동을 걸고 히터스위치를 작동해도 한참 뒤에야 온기를 느낄 수 있는 것이 자동차의 이러한 난방원리에 있다.이 냄새와 함께 평소와는 달리 실내 유리창에 김이 자주 서리면 운전석과 조수석 바닥 카페트를 ... ...
이전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