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겨울철
동계
한천
동기
d라이브러리
"
겨울
"(으)로 총 2,664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마추어천문 단계별 입문법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확실히 알아도 별자리 여행의 초보 딱지를 뗄 수 있다.봄철저녁에 볼 수 있는 별자리는
겨울
별자리로 오리온자리 황소자리 마차부자리 큰개자리 등이 있다. 이 정도만 알아도 봄밤이 새롭게 느껴진다.Ⅲ. 성도 보는 법을 익히자 간단한 성도부터 시작간선도로나 골목길을 찾기 위해서 지도가 ... ...
2. 우리가 만들어야 할 홈웨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아이의 이름을 입력하면 그 아이가 찍힌 사진들만 보여준다든가,
겨울
이라고 입력하면
겨울
에 찍은 사진들만을 슬라이드 식으로 보여준다면 사용할 만한 충분한 이유가 된다.창작용 홈소프트웨어는 시 그림 사진첩 슬라이드쇼 만화 등 어떤 형태이든 작품을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 ...
서울 면적의 1.6배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가족 이외의 무덤에 접근하는 것은 그리 유쾌한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을씨년스런
겨울
날 깊은 산 속에서 마주치는 외딴 묘지는 얼마나 섬뜩한가.하지만 나른한 봄날 무덤에 기대 휴식을 취하면 주위의 온기가 온몸을 포근히 감싸는 편안한 느낌을 받는다. 무덤이 자리잡는 곳은 생태적으로 혜택을 ... ...
사라진 황새 천수만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지도교수 일행이 합류한뒤 오후 12시 대구의 화원유원지에 도착했다. 이곳은 혹두루미의
겨울
정착지로 알려진 넓은 논지다. 흑두루미는 매년 1백50여마리가 11월 중순에 도착. 2월 중순에 떠난다. 조삼래교수는 한달전 이곳에서 1백25마리의 흑두루미를 발견했다.그러나 흑두루미는 한마리도 보이지 ... ...
전륜과 후륜의 차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미끄럽게 만들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한낮을 제외한 새벽녘이나 밤에는
겨울
철 운전방식을 그대로 적용해야 한다. 특히 대낮이라도 교량이나 터널입구는 항상 주의를 해야한다. 이런 곳은 다른 곳보다 지열의 영향을 받지 못하고 주위에 바람을 막아주는 건물이 없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 ...
2. 산성비에 대한 탐구학습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내리는 산성비보다
겨울
철에 내리는 산성눈의 pH가 더 낮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겨울
철에 연료 소모량이 많아 그만큼 산성물질을 대기 중에 많이 내보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산성눈은 산성비보다 식물에게 더 큰 피해를 준다. 비는 내리는 대로 흘러 강으로 가지만 눈은 식물곁에 오래 남아 ... ...
1. 사고실험으로 이어진 16세 소년의 꿈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상대성이론을 생각하기 시작한 것은 특수상대성이론을 발표하기 10년 전인 1895년
겨울
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16세의 소년 아인슈타인은 자주 빛에 관한 꿈을 꾸었다고 한다. "나는 꿈 속에서 빛을 뒤쫓아가곤 했다. 아주 빠르게 빛을 따라가면 빛과 속도 차이가 없어져 빛이 멈추고 만다. ... ...
시속 2백km를 나는 셔틀콕의 비밀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스트로크시 상대적으로 상쾌한 타구감을 준다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다. 잠시 우리가
겨울
에 즐겨 입는 파커 안에 거위털이나 오리털을 사용하긴 해도 닭털을 넣는 경우가 없다는 것을 상기해보자.간단히 말해 닭털과 오리털(거위털)의 분지(分枝) 구조가 사뭇 다르다. 닭털은 분지구조가 무질서한 ... ...
합작투자는 물론 다국적 기업도 불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그렇지 않으면 철새처럼 먹이가 풍부한 곳을 찾아 장정을 떠나기도 하고, 곰처럼 긴
겨울
을 아예 잠으로 때우기도 한다.그렇다면 개미는 어떻게 식량을 모아서 저장하는 것일까. 인간의 역사를 보면 본격적인 식량 축적은 농경시대에 접어들면서 시작됐을 것이다. 개미사회에도 농사를 지어 식량을 ... ...
1. 1백명 여론조사 KAIST 학생들의 천태만상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학부생과 석박사과정의 학생 1백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1월이 학부생들의
겨울
방학인 관계로 학부생은 26명이 참여했고 석박사과정의 학생이 74명 참여했다. 설문에 참여했던 학생중에 반수 이상이 과학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이었고 대학원생의 경우는 일반대학을 졸업한 학생과 KAIST ... ...
이전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