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실
과일
실과
결과
결실
너트
조리개
뉴스
"
열매
"(으)로 총 23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친 곤충들만 오세요~! 곤충호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4.15
곤충손님들이 북적이는 멋진 곤충호텔이 될 거예요. *수분 : 꽃가루가 암술머리에 붙어
열매
가 맺히도록 하는 것. 최숙영 도봉구청 공원이용 프로그램 코디네이터 - 현수랑 기자 제공 ○ 곤충과 사람 모두가 살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요! 1. ‘숲 해설가’라는 직업이 생소해요. 주로 어떤 일을 ... ...
[HOT100]“생명과학이 미래” 쥐 사육장에서 30종의 쥐를 길러…
동아일보
l
2015.02.16
밝혔다. 이대실 교수는 “은행나무는 한국과 중국, 일본 등 세 나라에만 있는데 은행
열매
로 술을 만든 것은 우리나라가 처음이다. 현재 세계 바이오 시장에서 가장 각광받는 프로젝트는 술이다. 의약품은 그 다음이다. 멕시코가 용설란으로 데킬라를 만들었듯이 이번에 개발한 은행 증류주가 ... ...
와인밭 관리하기 힘드셨죠? ‘포도 로봇’ 쓰세요
2015.02.05
포도 로봇은 센서와 인공지능 시스템을 갖춰 포도나무의 생장과 물 공급 상태,
열매
가 맺힌 현황 등을 빠르게 관측해 농부에게 알려 준다. 넓은 포도밭의 정보를 분석해 지도에 나타내고 이 정보를 무선으로 전달해 어디서든 관리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번 프로젝트의 배경에는 유럽 ... ...
고릴라가 오랑우탄보다 ‘주당’인 이유
과학동아
l
2015.01.26
얘기다. 연구진은
열매
를 좋아했던 대형 유인원들이 땅에 떨어져 자연 발효된
열매
를 먹게 됐고, 그 과정에서 에탄올을 분해할 수 있는 변이가 선택됐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 ...
으르렁~ 포식자가 돌아왔다
2015.01.23
사슴을 회색늑대가 먹어치우기 시작하면서 사슴의 먹이가 됐던 식물과 나무
열매
가 많이 열렸고, 이에 따라 까치와 곰의 먹이가 증가하면서 이들의 개체수가 늘어난 것이다. 실제로 아프리카에서는 포식자인 사자와 표범이 줄어드는 바람에 개코원숭이가 급증해 가축과 작물을 먹어치워 상당한 ... ...
감자에 싹이 나서 잎이 나서 훨훨훨, 과정 보니…
2014.12.29
구조와 결합방식을 규명했다고 29일 밝혔다. 옥신은 식물의 뿌리와 줄기를 자라게 하고
열매
를 맺게 하는 등 식물의 생장을 조절하는 대표적인 호르몬이다. 옥신이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전사억제인자(Aux/IAA17)를 제거하면 생장촉진 유전자가 발현되는 식이다. 과학자들은 옥신이 ... ...
농작물이 지구 이산화탄소 순환에 미치는 영향 ↑
2014.11.20
식물이 흡수하고 내뱉는 양에 따라 계절별로 달라진다. 봄과 여름에는 식물이 잎과
열매
를 만드느라 이산화탄소를 대량으로 흡수해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가 줄어드는 반면 가을과 겨울에는 내뿜는 양이 더 많아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진다. 하지만 지금까지 학자들은 농작물이 대기 중 ... ...
당뇨에 비만에 암까지 잡는 이
열매
는?
2014.11.05
유자
열매
. - 위키미디어 제공 요즘 제철인 유자가 대장 질환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황진택 한국식품연구원 박사팀은 유자 껍질이 대장 염증을 억제하고 암 성장을 막는 효과가 있다고 5일 밝혔다. 황 박사팀은 유자에서 껍질만 따로 추출해 가루로 만든 뒤 대장 내 염증세포와 ... ...
아프리카 원주민 같나요? 모기 발바닥 끝이랍니다
과학동아
l
2014.09.26
받았다. 제목 그대로 수채화처럼 보이는 모습이 아련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보리수
열매
의 표면에 붙어 있는 작은 비늘들을 광학현미경으로 확대해 찍은 사진이다. 꽃잎 끝이 갈라지고, 가운데 검은 씨들이 모여 있는 흑종초를 마치 부드러운 붓으로 표현한 듯하다. 국가지정 ... ...
부동의 1위 홍삼, 엉겅퀴에 밀리나
2014.08.06
건강에 효능을 인정받은 백수오 등 복합추출물과 간 건강에 효과를 나타내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분말, 면역기능이 있는 당귀 혼합추출물 등이 많이 생산됐다. 식약처는 고령화와 소득수준 향상에 따라 건강기능식품의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국내 건강기능식품 총 생산액은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