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뉴스
"
위치
"(으)로 총 5,268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드42·아이나비·NHN, 모빌리티 플랫폼 개발 동맹
동아사이언스
l
2020.07.10
“유모스 맵 얼라이언스를 통해 코드42가 구현할 자율주행을 위한 정밀지도 기술과
위치
기반 솔루션을 플랫폼화해 자율주행 환경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 ...
수성에서 온 손님 '니오와이즈 혜성' 맨눈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0
박영식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이 2020년 7월 8일 4시 24분 강원도 태백시에서 촬영한 니오와이즈 혜성의 모습이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7월 밤 ... 어두워질 것으로 예측한다”고 말했다. 니오와이즈 혜성의 공전궤도와 근일점의
위치
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제공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전자기학의 완성
2020.07.09
열리는 순간에만 움직였다. 회로가 닫힌 채 전류가 계속 흐르면 검류계 바늘은 다시 원
위치
로 돌아간다. '전자기 유도법칙'의 패러데이는 연철고리에 A, B 2개의 코일을 감은 장치를 만들고,자석으로부터 전류를 만드는 실험을 반복하고 있었다. B코일 근처에는 자침을 놓아 전류가 흐르면 자침이 ... ...
로봇·AI가 안전관리…현대오일뱅크 '스마트공장'으로 전환
연합뉴스
l
2020.07.09
폐쇄회로TV(CCTV)를 도입할 계획이다. 정유업계 최초로 도입하는 무인순찰차량은 정밀
위치
정보(GPS)와 유해가스 감지센서, 열화상 카메라 등을 탑재하고 있다. 24시간 공장 전역을 자율 주행하면서 안전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위험성을 인식하면 통합관제센터에 신속히 전달한다. 현대오일뱅크는 ... ...
"줄기세포가 분화해 무엇이 될지, 사실상 RNA가 결정한다"
연합뉴스
l
2020.07.08
연구원은 "공항 관제사가 항공기 착륙을 통제하듯이 RNA는 단백질 복합체를 DNA의 정확한
위치
로 유도해 유전자를 침묵하게 하는 것 같다"라고 설명했다. 비밀의 문은 유전자 편집으로 배양한 줄기세포 실험에서 열렸다. 연구팀은 크리스퍼(CRISPR) 편집 기술로 심장근육 세포가 되게 프로그램된 ... ...
5G 휴대전화·기지국 전자파, 인체보호기준 만족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생식기 부위에서 기준 대비 최대 0.38% 흡수율을 보였다. 승강기 기계실은 가장 가까운
위치
인 아파트 최상층에 살거나 건물 마지막 운행층 주변에 있을 때를 고려해 전자파를 측정한 결과 기준 대비 최대 0.29%의 전자파가 흡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생활제품 및 공간에 대한 자세한 ... ...
수출규제·감염병 위급사태 대비하려면 자급자족 기술 관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7.07
‘기술적 난이도’ ‘대체불가능성’으로 설정하고 정량 지표를 사분면에 나열해 기술
위치
에 따른 전략 방향을 제시했다. 이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장비산업에 적용한 예시도 수록했다. 보고서는 경제적 가치와 난이도가 높은 분야 외에도 난이도는 낮아도 당장 수급이 어려운 ... ...
모션투에이아이·트위니 '물류로봇 관제 고도화' 업무협약 맺어
동아사이언스
l
2020.07.07
소재 업체다. 물류 창고에 별도에 통신설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비전기술만으로
위치
를 파악해 물류센터의 자원을 최적화하고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물류 모빌리티 관제 서비스 ‘모션에프엠에스’를 개발했다. 트위니는 별도 설치가 필요없는 자율주행 물류 로봇 ‘나르고’와 추종 로봇 ... ...
될성부른 우주 스타트업은 파산도 극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활용할 계획이다. 영국 정부가 지난해 유럽연합(EU)을 탈퇴하며 유럽판 GPS(위성
위치
확인시스템)인 ‘갈릴레오 위성항법시스템’을 이용할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영국은 갈릴레오의 일반 신호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나 정부나 군이 이용하는 보안 신호는 접근할 수 없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 ...
태양계 무게중심 100m 이내로 오차 줄여 블랙홀 연구 도약
연합뉴스
l
2020.07.06
테일러 박사는 "우리 은하에 산재한 펄서를 정확히 관측함으로써 우주에서 우리의
위치
를 이전보다 더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었다"면서 "(라이고를 비롯한) 다른 중력파 검출 장비에 더해 이런 방식으로 중력파를 찾아냄으로써 우주에 있는 모든 종류의 블랙홀을 더 큰 시각을 갖게 됐다"고 했다. ... ...
이전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