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뉴스
"
위치
"(으)로 총 5,268건 검색되었습니다.
KAIST 교수, 中 파견 근무 중 받은 수억 정체 놓고 '설왕설래'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학생들도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A 교수는 KAIST와 중국 충칭 양강신구에
위치
한 충칭이공대가 함께 개설한 국제교육협력프로그램의 공동 학장으로 재직해 왔다. 2015년 KAIST는 충칭이공대에 전자정보공학과와 컴퓨터과학기술공학과를 개설해 KAIST의 교육시스템과 커리큘럼을 적용한 ... ...
한반도 뒤덮는 규모 '최장 번개', 우주에서 보니 한눈에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위)와 가장 오래 친 번개(오른쪽 위)의 위성 관측영상이다. 아래 지도에 두 번개가 내리친
위치
를 표시했다. WMO 제공 과거에는 지상에 레이더를 곳곳에 설치해 번개를 관측했다. 하지만 수백 km에 이르는 번개는 측정하기 어려워 최근에는 인공위성에 측정 장비를 실어 우주에서 내려다보고 있다. ... ...
"중증 코로나19 관련 추정 유전자, 네안데르탈인에게 받았을 가능성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5
분의 5다. 이를 넘어서는 염기서열 영역은 3번 염색체 3p21.31뿐이고, ABO 혈액형 유전자가
위치
한 9q34.2는 관련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환자유전학이니셔티브 홈페이지 제공 페보 단장팀은 3q21.31 영역의 염기서열 약 4만9400개의 ‘연관불평형(LD)’이 매우 높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 ...
[주말N수학]'파국이론'으로 분석한 역주행의 신화
수학동아
l
2020.07.04
서 A 방향으로 꺾이는데, 결과 공간에서 점 A는 A′으로 급 변하는 파국 지점이다. 즉 이
위치
를 지나면서 갑자기 깡의 여론에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며 혹평 일색이었던 조롱 분 위기에서 국민적 인기를 누리는 대세로 떠오르게 된다. ※관련기사 수학동아 7월호 [주접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 ...
미국 우주탐사 최강국 '굳히기' vs.중국 우주굴기 '뒤집기'
연합뉴스
l
2020.07.03
이라는 별칭을 가진 화성 탐사에서는 미국이 다른 나라가 범접할 수 없는 독보적인
위치
를 구축하고 있다. 인류가 1997년 '소저너'(Sojourner)를 시작으로 스피릿과 오퍼튜니티, 큐리오시티 등 화성에 보낸 로버 4대가 모두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만든 것이다. 화성의 고대 삼각주로 추정되는 ... ...
원자 하나하나에 정보 담는 신개념 메모리 '저장용량 1000배로 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3
슈퍼컴퓨터로 분석한 결과 전압을 가하면 산화하프늄 속 산소 원자 4개가 짝을 지어
위치
를 바꾸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소 원자 4개의 길이는 0.5nm에 불과하다. 이론상 선폭을 0.5nm까지 줄일 수 있다는 의미다. 기존 반도체의 최소 선폭은 5nm까지 줄었다. 이번 발견으로 이론적으로는 이를 1 ... ...
국내 공급되는 첫 코로나19 치료제 '렘데시비르'는 어떤 약
동아사이언스
l
2020.07.01
단축됐다. 중위 평균은 전체 회복 기간 데이터를 길이 순으로 나열했을 때 한가운데에
위치
하는 값이다. 하지만 중증환자에 대한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증 환자의 경우 위약그룹과 회복기간의 차이가 전혀 없었다. 인공호흡기를 삽관하거나 체외막산소공급(ECMO)을 이용해야 하는 ... ...
[의학바이오게시판] 고대의료원, 마다가스카르에 가상해부 시뮬레이터 지원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시술법이다. 대퇴동맥을 통해 병든 대동맥 판막 부위에 카테터 시스템으로 인공판막을
위치
시킨 후 풍선이나 자가 확장 시스템을 통해 건강한 판막을 삽입한다 ... ...
"세포서 수분 빠지면 노폐물 제거 시스템 작동한다"
연합뉴스
l
2020.06.30
TFEB라는 전사인자를 활성화했고, TTFEB의 활성화는 자가포식 유전자와 리소좀 유전자의 스
위치
를 올리는 연쇄반응이 일어났다. 간단히 말해 삼투 압박이 NHE7 이온 수송체를 자극한 게 전체 시스템 경로에 시동을 건 셈이다. 논문의 제1 저자인 타니아 로페츠-헤르난데츠 박사후연구원은 "특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는 정말 총천연색을 보고 있을까
2020.06.30
하는 대상이 시야의 중심부에 놓이고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 나머지는 ‘주변부’에
위치
하기 때문이다. 주목하는 대상이 이동하면 설사 시야를 벗어나지 않았더라도 시선 또는 고개가 따라 돌아간다. 시야의 중심부에서만 제대로 볼 수 있다는 말이다. 실제 우리 눈은 시야 중심의 대상을 더 잘 ... ...
이전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