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의 시작부터 함께 한 학문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투자비용이 매우 크니까 위험요소가 많죠. 이건 우리 학문이 가진 특성 중 하나예요. 이
부분
을 잘 인내하고 학문에 정진한다면 좋은 인재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
바나나 살리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특정 유전자를 찾아내면 효소가 유전자를 잘라내지요.이 기술은 유전자의 아주 작은
부분
만 정교하게 없애기 때문에 야생에서 생기는 돌연변이만큼이나 자연스럽다는 장점이 있어요. 튼튼이 유전자를 집어넣는 방법보다 더 안전하다는 거죠. 김석중 툴젠 연구소장은 “유전자 가위 기술을 이용해 ... ...
한글을 그리다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이 차이가 폰트 제작 과정에도 영향을 미쳤다. 서양의 알파벳 ‘O’나 ‘Q’의 원은 어느
부분
에서나 일률적으로 두께가 같은 완전한 동그라미를 이룬다. 이렇게 로마자는 기본이 되는 원이있어 다양하게 변형하는 게 쉽다. 반면 붓글씨의 ‘ㅇ’은 선의 굵기가 대칭적이지 않고기울어져 있으며 ... ...
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수준에서 보면 종이 띠가 휘면서 그 지점에 탄성 에너지가 쌓인다고 설명했다. 많이 휜
부분
일수록 에너지가 더 많이 쌓인다. 만약 띠의 길이와 너비의 비율이 달라지면 띠의 곳곳에 에너지가 쌓인 정도도 달라진다. 띠의 모양은 띠의 각 지점의 에너지 분포에 따른 결과다.▼관련기사를 계속 ... ...
강아지와의 친밀감은 옥시토신 때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4000년~9000년 전쯤에 개와 늑대로 갈라졌답니다. 우리와 늑대의 유전체를 분석해 겹치는
부분
이 있다는 사실을 밝힌 거예요.하지만 먼 옛날 한 조상에서 두 갈래로 갈라졌기 때문에, 요즘 보이는 생김새나 행동은 전혀 다를 수밖에 없지요. 우리 두개골은 늑대보다 평균 20%, 그리고 뇌는 30% 정도 더 ... ...
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움직이는 매듭 모형이 만든 물거품은 처음에는 매듭 모양이었다가 띠가 펴지고 맞닿은
부분
이 합쳐지면서 결국 스스로 풀려버렸다.이런 연구 결과가 당장 실생활에 이용될 수 있는 건 아니다. 하지만 수학자들은 매듭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훗날 자연에서 생기는 복잡한 매듭을 연구하는 토대가 될 ... ...
[knowledge] 자연의 합리성을 사랑한 건축가, 가우디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당기는 힘은 보통 대들보처럼 가로로 긴 부재에서 생겨난다. 부재의 길이가 길면 가운데
부분
이 중력에 의해 처지면서 부재의 하단이 밑으로 당겨지게 되기 때문이다. 돌은 이런 힘에 취약해 돌로 만드는 건축물은 기둥과 기둥 사이(혹은 벽과 벽 사이)의 간격을 넓게 띄울 수가 없다. 공간이 좁게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이 같은 공기 소용돌이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다.제품은 크게 두
부분
으로 이뤄져 있다. 지지 기반이 되는 기둥이 있고, 그 위에 점점 지름이 커지는 원형기둥이 올려져 있다. 이 기둥은 유리섬유와 탄소섬유로 만들어져 매우 가볍기 때문에 바람이 기둥을 감싸올라오며 공기 ... ...
[Hot Issue] 조선시대에도 5차 방정식을 풀었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너무 간략했다. 문제와 답만 기록돼 있고 해설이 나와있지 않아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
이 많았다.김 교수는 “당시 조선이 스스로 달력을 만든다는 것은, 외교적으로 더 이상 원나라의 지배를 받지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될 여지가 있었다. 원나라에서 산학을 배워올 수도 없는 노릇이었다”며 ... ...
INTRO. 21세기 파브르 곤충기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파브르 곤충기’ 역시 마찬가지다. 현대적 입장에서 재해석해 다시 곱씹어봐야 할
부분
이 가득하다(2파트). 파브르가 떠난 지 올해로 100년. 그의 발자취를 따라 걷는 사람들의 모습을 통해 파브르를 우리 곁으로 다시 불러내보자(3파트).출생과 함께 찾아온 가난파브르는 1823년 프랑스 남부의 산악 ... ...
이전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