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관련이 있다. 짧은 비암호화 RNA는 주로 단백질을 만드는 역할을 하는 전령 RNA(mRNA)의 꼬리
부분
에 결합해 RNA의 안정성을 떨어뜨린다. 이런 mRNA는 세포질에서 곧 분해되고 자연스레 단백질을 만들 수 없게 된다. 이때 중요한 것은 목표로 하는 mRNA에 정확히 결합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목표에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아직 논란이 일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노 : 경험과 기억의 유전은 아직 두 가지
부분
을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경험하고 학습한 것이 어떻게 우리 몸에 기록되는가’와 ‘기록된 정보가 다음 세대로 어떻게 넘어가는가’다. 현재는 두 질문 모두 현상적으로 존재한다는 것 외에 다른 근거가 ... ...
태양계 끝 명왕성과의 만남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거리가 약 1600km인 거대한 ‘하트’ 지형이 있다”고 소개했다(밝게 빛나는
부분
). 확대된
부분
은 명왕성 적도 부근의 상세 사진이다. 얼음으로 뒤덮인 표면 위에 만들어진 지 오래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 높이 3500m의 산이 솟아 있다.➋ 명왕성과 카론명왕성과 위성 카론이 나란히 찍힌 모습. 13일 ... ...
“ 해상 안전의 첫 걸음은 바다를 이해하는 것”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조선해양산업에서는 어떤 자질이 필요한가.다른 사람의 말을 잘 듣고 상대방이 필요한
부분
을 잘 잡아낼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선박이든 해양 플랜트든 정말 크잖아요. 구조물 자체의 크기도 그렇고 산업 규모도 크고요. 아주 다양한 분야의 학문이 모두 조화롭게 이뤄져야 하나의 결과를 낼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감정적인 행동을 조절하는 등의 역할을 해요. 사람들은 몰래슨을 통해 뇌의 아주 작은
부분
이라도 함부로 없애면 안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답니다.쥐 실험 연구소쥐의 뇌를 보면 사람의 뇌가 보인다?!사람 뇌를 해부하다니 무섭지? 게다가 사람 뇌를 연구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 그래서 요즘은 사람과 ... ...
[수학뉴스] 나 그렇게 뚱뚱한 공룡 아니야!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먼저 남아 있던 골격을 레이저로 스캔한 뒤, 3차원 볼록 다각형으로 뼈가 남아 있지 않은
부분
을 메우는 방법으로 골격 구조를 완성했습니다. 그리고 현재의 악어와 닭의 신체 밀도를 참고해 드레드노투스의 몸무게를 추정해보니 최대 약 38톤이었습니다 ... ...
[생활] 디자인 놀이터에서 즐기는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실험해 보면 이 사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지요. 사각형이나 오각형은 막대의 연결
부분
중 한 곳에 힘을 가하면 쉽게 그 모양이 변해요. 하지만 삼각형은 어떤 곳에 힘을 가해도 모양이 결코 바뀌지 않는답니다.수학으로 입체를 디자인하다어울림 광장의 이곳저곳을 걸어 다니면서 건물 모양을 쭉 ... ...
[핫이슈] 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심의 과정 없이 그대로 조선의 전문용어로 채택됐다. 당시 우리나라 지식계급 대
부분
이 한자에 대한 소양이 풍부했던 것도 일본어 한자 용어가 우리말 전문 용어로 자리 잡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그러다 1945년 남북이 갈라지고 1950년 전쟁이 일어나면서 남북은 각기 다른 말 다듬기 과정을 거치게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발현하기 좋은 구조로 바뀌고, 이 부모에서 태어난 자식 식물도 PR단백질 유전자
부분
이 풀린 채 태어난다. 아직까지는 어떤 방식으로 면역정보가 후대로 전달되는지 알 수는 없지만, 히스톤 아세틸화 등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식물세포는 전지전능하다현재 식물 후성유전학 ... ...
[Knowledge] 한-미 협력으로 중국발 초미세먼지 밝힌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말했다.민 교수의 연구는 ‘한-미 협력 국내 대기질 공동조사 캠페인(KORUS-AQ)’의 한
부분
이다. 우리나라 국립환경과학원을 중심으로 지역대학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 40여 개 연구팀, 그리고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협력하는 거대 프로젝트다. 동북아시아 일대의 대기오염원을 찾고, 초미세먼지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