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스페셜
"
우리
"(으)로 총 3,171건 검색되었습니다.
[팩트체크] 잘못된 논문에…“슬라임 유해성 과장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고려해야 한다”며 “붕소처럼 국제적으로도 규제하지 않는 물질을 ‘유럽이 하니까
우리
도 한다’는 식으로 도입하는 것은 규제기관의 비전문성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년을 산다는 것의 의미
2019.01.22
상쇄돼 수명에는 별 영향을 주지 못한다. 생활습관이 10년 이상 좌우 그렇다면
우리
가 통제할 수 있는 변수인 생활습관은 수명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 학술지 ‘혈액순환(Circulation)’ 2018년 7월 24일자에는 생활습관에 따른 50세 미국인의 기대여명을 예측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연구자들은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코딩 교육, 과연 필요한가?
2019.01.21
어리석기 짝이 없다. 음미체 교육이 전문 운동선수 혹은 예술가 양성이 그 목적이 아님을
우리
는 모두 동의한다. 4차 산업 혁명의 창의력 양성이라는 코딩 교육 의무화 목적이 논리적 비약이라고 볼 수밖에 없는 이유다. 현재도 여전히 코딩 교육의 필요성을 이해하기 어렵고 스스로를 설득할 ... ...
[Science토크] 면역항암제는 암 정복에 장밋빛 미래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1.20
기전 자체가 다르다. 1, 2세대 항암제처럼 약물이 직접 암세포를 공격하는 게 아니라
우리
몸에 있는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만든다. 현재 암 환자 치료에 쓰이고 있는 면역항암제는 면역관문억제제로 통한다. 면역항암제 치료방법. 암세포는 체내 면역체계를 피해 증식한다. 암세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필요한 생리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는
우리
와 가깝다. 매일 개를 산책시키는 정성으로
우리
몸도 챙긴다면 대사질환에 걸릴 위험성이 크게 낮아질 것이다. 게티이미지뱅크 그러고 보면 말이나 개(늑대의 후손) 역시 사람과 비슷한 길을 걷고 있는 것 같다. 수천 년이나 수만 년 전 사람에게 길들여진 ... ...
스페이스X 새 우주왕복선 공개한 날 직원 600명 잘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3
스페이스X는 이미 이날 오후부터 해고 조치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스페이스X 측은 “
우리
는 그들(퇴직하게 될 직원들)이 이룬 모든 것과 스페이스X의 임무에 대한 그들의 헌신에 감사한다”며 “이번 조치는 오로지 앞으로 회사에 닥칠 매우 어려운 도전 과제들 때문이며 그게 아니라면 필요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월감 높으면 음모론에 잘 빠진다
2019.01.12
자존감 부스터 기능이 있다고 본다. 내가 잘 못해서 안 된 게 아니라 항상 나를 또는
우리
집단을 방해하는 거대한 존재가 있기 때문에 잘 안 된 거라는 일종의 책임 회피를 가능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나르시시스트들은 실제보다 더 자신을 과하게 긍정적으로 바라보기 때문에 그 높은 자기 지각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기통제를 잘 하는 사람은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에겐 없는 것
2019.01.05
공부를 하려다가도 누군가가 “공부 좀 해!!”라고 하면 급 때려치고 싶어지는 것이
우리
다. 또 매일 집 옆에서 시끄럽게 공을 차는 아이들에게 어느 날 “500원을 줄 테니 공을 차렴”이라고 했더니 겨우 500원 받으려고 공을 차다니 미쳤냐며 공차기를 관두었다는 이야기처럼 뭐든 내가 원해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울증이 말하는 법
2018.12.29
삶 또한 헛점 투성이일 수 밖에 없다고, 나 역시 그저 그런 인간일 뿐이라고, 그런 내가
우리
가 살면서 실수하고 넘어지고 추태를 부리는 것 역시 얼마든지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생각해보면 어떨까? 언젠가 가수 보아님의 인터뷰를 보다가 아직도 이것 밖에 안 되냐며 한창 자신을 다그쳤는데 어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받는 기쁨보다 주는 기쁨이 더 오래간다
2018.12.22
여행 도중보다 여행 ‘전’ 계획 단계가 더 즐겁듯 타인에게 하는 선물 역시 더 오래
우리
의 마음을 부풀게 한다. 어느덧 연말이다. 공교롭게도 한 해의 마지막에 많은 사람들이 소중한 이들에게 선물을 하거나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마무리를 짓는 것도 어쩌면 이것이 행복의 ... ...
이전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