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스페셜
"
우리
"(으)로 총 3,186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페이스X 새 우주왕복선 공개한 날 직원 600명 잘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3
스페이스X는 이미 이날 오후부터 해고 조치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스페이스X 측은 “
우리
는 그들(퇴직하게 될 직원들)이 이룬 모든 것과 스페이스X의 임무에 대한 그들의 헌신에 감사한다”며 “이번 조치는 오로지 앞으로 회사에 닥칠 매우 어려운 도전 과제들 때문이며 그게 아니라면 필요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월감 높으면 음모론에 잘 빠진다
2019.01.12
자존감 부스터 기능이 있다고 본다. 내가 잘 못해서 안 된 게 아니라 항상 나를 또는
우리
집단을 방해하는 거대한 존재가 있기 때문에 잘 안 된 거라는 일종의 책임 회피를 가능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나르시시스트들은 실제보다 더 자신을 과하게 긍정적으로 바라보기 때문에 그 높은 자기 지각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기통제를 잘 하는 사람은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에겐 없는 것
2019.01.05
공부를 하려다가도 누군가가 “공부 좀 해!!”라고 하면 급 때려치고 싶어지는 것이
우리
다. 또 매일 집 옆에서 시끄럽게 공을 차는 아이들에게 어느 날 “500원을 줄 테니 공을 차렴”이라고 했더니 겨우 500원 받으려고 공을 차다니 미쳤냐며 공차기를 관두었다는 이야기처럼 뭐든 내가 원해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울증이 말하는 법
2018.12.29
삶 또한 헛점 투성이일 수 밖에 없다고, 나 역시 그저 그런 인간일 뿐이라고, 그런 내가
우리
가 살면서 실수하고 넘어지고 추태를 부리는 것 역시 얼마든지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생각해보면 어떨까? 언젠가 가수 보아님의 인터뷰를 보다가 아직도 이것 밖에 안 되냐며 한창 자신을 다그쳤는데 어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받는 기쁨보다 주는 기쁨이 더 오래간다
2018.12.22
여행 도중보다 여행 ‘전’ 계획 단계가 더 즐겁듯 타인에게 하는 선물 역시 더 오래
우리
의 마음을 부풀게 한다. 어느덧 연말이다. 공교롭게도 한 해의 마지막에 많은 사람들이 소중한 이들에게 선물을 하거나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마무리를 짓는 것도 어쩌면 이것이 행복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2018년을 빛낸 획기적 연구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2
풀리면 비로소 이중나선 형태의 유전물질인 DNA가 모습을 드러낸다. DNA의 염기가 해독돼
우리
몸에 필요한 단백질이 생성되는 과정을 ‘번역’이라 한다. 번역 과정을 시작하거나 멈추기 위해 작용하는 물질 중 하나가 단일가닥의 염기로 이뤄진 RNA 전사체다. 발달 과정에서 생기는 RNA 전사체를 ... ...
'어디서부터가 우주일까' 우주 경계 "고도 기준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본다고 더버지는 분석했다. 미국은 2001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유엔 회의에서 “
우리
의 입장은 우주를 정의하는 것이 필요치 않다는 것”이라며 “우주 공간에 대한 정의가 없어도 우주 개발이 방해받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이에 우주법 전문가인 토마스 가갈 미국항공우주학회 연구원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신이 못 잡는 독감 바이러스, 항체가 잡는다
2018.12.18
‘인간 백신 프로젝트’ 주관으로 열린 바이러스 학자들의 모임 취재기인데, “매년
우리
는 이 바이러스에 대해 아는 게 점점 적다는 걸 배울 뿐이다”라는 한탄에서 “1960년대 첫 모임을 가진 이래 여전히 동일한 문제에 봉착해 있다”는 토로까지 학자들의 좌절감이 느껴진다. 가장 큰 이유는 ... ...
[여기에 과학]뒤짱구는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적 흔적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특징들이 조금씩 밝혀지고 있습니다. 프랑스의 후기인상파 화가 폴 고갱이 1897년 그린 ‘
우리
는 어디서 왔으며, 무엇이며, 어디로 가는가'의 첫 번째 질문, 바로 인류의 기원에 대한 명확한 답을 찾을 날을 기다려 봐야겠습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고생은 과연 인간을 성장시킬까
2018.12.15
나약해 빠져가지고"라고 하기 더 쉽다는 것이다.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날까? 왜
우리
는 아픔을 알면서도 고생을 권장하고 고생의 총량을 늘리려고 하는 이상한 모습을 보이는 걸까? 빅터 프랭클의 책 《죽음의 수용소》에서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유태인 수용소에서 해방된 이후 가장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