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우리"(으)로 총 3,171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지식 얄팍할수록 자신감은 더 커진다2018.06.09
- 반면 자신이 속한 그룹을 좋게 생각하고 싶어하는 ‘내집단 편향’ 때문에 나와 우리 그룹 사람들이 더 많은 걸 알고 있다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라는 게 연구자들의 설명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적은 정보로도 쉽게 확신하고 단정짓는 편인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정치적으로 극단적인 ... ...
- [강석기의 과학카페]머리 큰 사람 vs 작은 사람, 뇌 구조도 다르다 2018.06.05
- 뇌의 크기뿐 아니라 구조도 인지능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즉 우리의 뇌가 훨씬 효율적으로 조직화된 결과 네안데르탈인보다 지능이 높아졌다는 말이다. 소두는 뇌용량 1000cc도 안 돼 지난해 3월 학술지 ‘사이언스’에는 중국 허난성에서 발굴된 11만 년 전 두개골의 ... ...
- [사이언스 지식IN] 일상 속 ‘라돈’ 피해 줄이려면 첫째도, 둘째도 ‘환기’2018.06.03
- 된 라돈 침대 6종의 평균 라돈농도가 32Bq/m3인 것을 고려하면, 적지 않은 양입니다 (물론 우리가 밀착해서 오랜 시간을 보내는 침대에서 방출하는 라돈과 집 안에 떠다니는 라돈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다릅니다). GIB 제공 특히 입주한 지 얼마 안되는 신축아파트의 경우 평균 라돈농도는 최대 116.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위로가 필요한 나에게 무슨 말을 할까? 2018.06.02
- 도와준 느낌이었다. 나를 포함해서 인간이라면 누구나 안전과 행복이 필요할 것이고, 우리 모두 안전하고 행복하길 마음 깊이 바랄 수 있었다. 이 외에도 내가 떠올렸던 말들은 이렇다. ‘약하다고 해서 내 몸을 싫어하지 않길. 내 몸의 필요에 좀 더 귀를 기울이길’, ‘게으르다고 너무 나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2018.05.29
- 개인이 조절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나마 음식은 여지가 있을 것이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61.8kg으로 매년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다. 1985년 128.1kg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양이다. 쌀(밥) 섭취 감소량의 상당 부분을 면이나 빵 같은 밀가루 음식이 대신했을 것이다. 이런 변화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홍대 누드모델 몰카' 사건에 주목하는 또다른 이유2018.05.19
- 큰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사회적 문제가 드러나면 드러날수록 더 ‘우리 사회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생각을 강화하는 경향을 보였다(Mallett et al., 2011). 이들은 같은 범죄에 대해서도 피해자가 누구냐에 따라, ‘약자’가 피해자일 때와 상대적으로 강자가 피해자일 때 완전히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미의 과학, 꽃의 여왕은 이렇게 탄생했다2018.05.14
- 정작 중국에서는 월계(月季)라고 부른다(우리나라에서는 월계화). 이밖에 우리나라가 원산지에 포함되는 찔레꽃(Rosa multiflora), 돌가시나무(Rosa wichuraiana), 해당화(Rosa rugosa), 생열귀나무(Rosa davurica)도 식물학적으로는 장미다. 한반도에는 장미속 17종이 자생한다. 참고로 현대장미는 여러 종과 ... ...
- [지뇽뇽 사회심리학]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이야2018.05.12
- 한 가지 증상에 가깝다고 보는 학자들이 있다(Leary & MacDonald, 2003). 하지만 안타깝게도 우리의 삶은 항상 반짝거리지 않는다. 내가, 내 삶이 괜찮다고 여겨지지 않는 상황이 반드시 생기게 된다. 이럴 때 나의 ‘내용(나는 멋지고 특별하고 사랑받을만한 사람이야)’에 기반하고 있는 자존감은 쉽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치료제 나올까?2018.05.01
-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날이 더워져 본격적으로 환자들이 나오기 전에 우리나라 보건당국도 일본 토야마화학과 협의해 서둘러 파비피라비어 3상 임상시험 계획을 확정해 환자 또는 보호자가 임상에 참여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줘야 하지 않을까. 여러 정황상 꽤 효과가 있어 ... ...
- 일단 '시간통일'부터? 남북한 표준시 다른 이유동아사이언스 l2018.04.29
- 변경한다고 선언, 한국과 30분의 시차를 갖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도 과거 표준시를 우리나라 실제 시간의 흐름에 맞춰 변경하자는 움직임이 간간히 있었다. 하지만 표준시는 한 나라 안 모든 사람들의 생활과 업무, 행정의 기준이 되는 시간이며, 외국과 교류할 때도 필요한 공통 약속이라 함부로 ... ...
이전225226227228229230231232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