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스페셜
"
우리
"(으)로 총 3,18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놀리틱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까
2018.11.28
세포가 있을 수 있고 100세 노인이라도 전체 세포에서 노화 세포는 10% 내외에 불과하다.
우리
몸에서 제 역할을 하던 세포에 DNA 손상 같은 문제가 생겨 복구가 어렵다고 판단하면 몸에 해를 끼치기 전에 스스로 죽음을 택해 사라진다. 이를 세포사멸(apoptosis)라고 부른다. 그런데 모두 이런 길을 ... ...
플라스틱 쓰레기로 만든 에어로겔
과학동아
l
2018.11.27
7배 뛰어나고 무게는 11분의 1로 가벼운 방화복을 만들 수 있다. 즈엉 교수는 “
우리
가 개발한 에어로겔은 수많은 응용이 가능하다”며 “전세계 플라스틱 폐기물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콜로이드와 표면 A’ 11월 5일자에 실렸다. doi:10.101 ... ...
[강석기의 과학카페]면역학자 찰스 서 교수의 죽음 뒤 일어난 일들
2018.11.21
치과의사)을 만나 팔자가 피는 이야기로 전개될 것 같다. 물론 식상한 설정이지만 실제
우리
주변을 보면 유복하게 살다가 사업실패나 보증, 사기피해, 엄청난 치료비로 가산을 탕진하고 때로는 빚더미에 올라앉아 고생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특히 이 드라마처럼 가장이 세상을 떠날 경우 남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1.03m다. 최소거리란 눈에서 TV 양 끝을 잇는 선이 이루는 각도가 70도인 지점이다. 이는
우리
눈이 보는 범위인 시야각 140도의 절반이다. 화면 오른쪽이나 왼쪽 끝을 주목했을 때 반대쪽 영상이 시야에 들어오려면 70도 이내여야 하기 때문이다. 결국 8K 영상과 4K 영상 차이를 느낄 수 있는 실질적인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열정에 도리어 먹히다
2018.11.10
건강하게 지속가능하기 어려운 형태의 열정이라는 것이다. 잘 해내야 한다는 두려움으로
우리
의 시야를 가려 멀리 내다보지 못하게 만든다는 것. 적당히 애쓰자 만약 좋아해서 선택했던 일이 어느 순간 하나도 즐겁지 않은 부담 덩어리가 되었다면, 혹시 내 안의 강박이 지나친 것은 아닌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민들레 씨앗의 유체역학
2018.11.07
세계와 은하보다도 큰 세계, 수십 억 년 규모에는 미지의 것들이 많이 남아있다. 그러나
우리
가 뻔하다고 생각하는 대상에도 여전히 비밀이 숨어있다”며 영국 시인 윌리엄 블레이크의 시 한 소절을 인용하며 글을 마무리했다. 한 송이 들꽃에서 천국을 보라 (Heaven in a wild flower) - ‘순수의 전조 ... ...
[과학게시판] KAIST 중소기업 사업화 유망기술 설명회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1.06
‘제5회 서울 기후-에너지 국제 컨퍼런스’가 열린다. KAIST 녹색성장대학원과 사단법인
우리
들의미래가 공동 주최하는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세계 기후 전문가들이 모여 ‘그린하우스(온실)’를 넘어선 ‘핫하우스(고온실)’로 나아가고 있는 지구의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신경세포 분류학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3
일은 갈 길이 멀다. 각각의 신경세포들의 갖는 역할이 무엇인지, 상호작용을 통해 어떻게
우리
의 기억이 저장되고 지워지는지 명확히 알지 못한다. 심지어는 그 종류가 얼마나 다양한지도 제대로 모른다. 네이처 제공 2일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다양한 신경세포들의 활성화되고 있는 모습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후성유전학적 변이를 일으키고 뇌 발달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
가 익숙한 타우린(taurine) 역시 인체에서 만들기는 하지만 양이 적어 음식으로 보충해줘야 한다. 타우린 부족은 다양한 질환에 걸린 위험성을 높이는데 특히 미토콘드리아에 치명적이다. 타우린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모피를 얻기 위해 사육하기 시작했고 그 뒤 러시아에서도 대규모로 길렀다. 비록
우리
속에서 사람이 주는 걸 먹으면서 살지만 성격은 야생 그대로여서 사람을 피했고 막다른 골목에 몰렸다고 생각하면 공격했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별로 신경을 쓰지 않았는데, 어차피 한두 해 기르다 잡아 모피만 ... ...
이전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