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우리"(으)로 총 3,171건 검색되었습니다.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2018.04.11
- 지더라도 왜 불가능한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내가 우주에 대한 우리의 지식에 무언가를 보탰다면, 나는 행복하다.” 호킹은 자서전의 마지막 문장을 이다지도 담백하게 끝냈다. 확실한 건 호킹이 남긴 유산은 그가 생각한 ‘무언가’보다는 훨씬 클 것이라는 점이다. 발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 ‘네이처’ 논문을 이끈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아튜로 알바레즈-버일라 교수는 “우리는 단지 다른 사람들이 봤다고 주장하는 걸 보지 못했을 뿐”이라고 촌평했다. 앞으로 성인 신경생성을 둘러싼 논란이 어떻게 정리될지 궁금하다. 만일 일어나지 않는 걸로 결론이 난다면 신경과학계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이 독재하는 나라2018.04.07
- 문드러질지언정 ‘나라의 이미지’만큼은 훼손시킬 수 없다고 하는 이상한 정부처럼 우리도 때론 정작 진짜 나의 삶이 어떤지와 별개로 나의 이미지라는 환상을 지키려고 발버둥친다는 것이다. 근거 없이 부풀려진 자존감의 위험성은 실험으로도 확인되었다(Leary et al., 2007). 사람들로 하여금 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2018.04.03
- 같은 대사질환이 만연한 건 식단보다는 생활습관이 더 큰 요인일 수도 있다는 말이다. 우리나라만 봐도 예전 사람들은 지금보다 밥을 훨씬 많이 먹었다. 당시 사진을 보면 밥공기가 지금보다 훨씬 더 큰 데다 밥도 무덤처럼 봉긋하게 담았다. 실제 지난 반세기 동안 1인 당 쌀 소비량을 보면 197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투(문신)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2018.03.27
- 안료를 먹은 뒤에도 일정 범위 안에서 계속 보초를 선다. 그런데 이 범위가 너무 좁아 우리 눈에는 한자리에 있는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시간이 지나도 문신 모양은 그대로다. 진피에 독소를 처리해 대식세포를 모두 죽여도 문신은 사라지지 않는데 혈관에서 대식세포가 바로 보충돼 문신 안료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상대방의 의도를 공격하는 이유2018.03.24
- 떠올린다. 특히 사람이 사람을 판단할 때 쓰는 기준에 대해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고, 우리가 어떤 사람을 좋다 나쁘다 판단할 때 사용하는 기준은 크게 두 가지임이 밝혀졌다. 하나가 ‘능력(예시: 똑똑함, 박학다식)’이고 다른 하나가 ‘따뜻함(예시: 친절함, 따뜻함 등)’의 인격적 차원이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2018.03.20
- 건이 넘었고 지난해 소량 생산되기 시작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양산되고 있다. 내년쯤 우리나라에도 선보일 것으로 보인다. 모델3 기본형에는 50kWh 리튬이온배터리가 장착돼 한 번 충전에 350km를 갈 수 있고 장거리형은 75kWh로 500km를 갈 수 있다. - 위키피디아 제공 한편 다른 업체들은 ... ...
- 별이 되어 떠난 스티븐 호킹…과학자들이 기억하는 그의 삶2018.03.15
- 만난 기억을 강렬하게 추억했다. 그는 6년 전 런던 패럴림픽의 개막식에 등장해 “우리는 모두 다르다, 표준적인 인류라는 것은 없지만, 모두 똑같은 인간정신을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호킹 박사는 희귀병으로 얼굴 근육 일부만 움직일 수 있는 극단적인 장애를 겪었지만 그의 정신만은 세상 ... ...
- “인공지능이 인류 멸망시킬 수도”…경종 울렸던 스티븐 호킹 박사동아사이언스 l2018.03.15
- 2012년 런던 패럴림픽 개회식에서 호킹 박사는 “인류의 표준 같은 건 없다. 하지만 우리는 ‘뭐든 창조해낼 수 있다’는, 같은 인간정신을 공유하고 있다”며 “삶이 어려움에 부딪혔을 때도 그곳엔 항상 당신이 할 수 있고, 해낼 수 있는 무언가가 있다는 것을 기억했으면 좋겠다”고 ... ...
- 태초 특이점,블랙홀 이론...스티븐 호킹이 남긴 학문적 업적들동아사이언스 l2018.03.14
- 어디냐'고 묻는 것과 같다고 풀이했다. 사실 북극에서는 북쪽이라는 방향이 없다. 단지 우리가 지구 표면에 적도를 정하고 동서남북을 정의했고 있을 뿐, 실제로 방위개념이 없는 상황이라면 북극에 서있는 사람에게 동쪽이나 서쪽 또는 남쪽으로 이동하라는 것은 무의미한 요구가 된다. 호킹에 ... ...
이전2272282292302312322332342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