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우리"(으)로 총 3,1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슬픔을 꽤 잘 견디는 사람들의 패턴 2017.12.23
- 어떤 상황에서든 그럭저럭 잘 적응하며 그 어떤 일도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우리의 삶에 영구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주는 연구들이 있었다. 심리적 면역의 힘을 과소평가하는 반면 어떤 사건이 안겨줄 괴로움을 과대평가한다고 해서 ‘면역 무시’라고 불리는 현상이다(Gilbert et al., 1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2017.12.19
- 표현이라는 말이다) “반대로 기억을 유지하려면 정기적인 훈련이 필요하다. 이것은 우리의 의지를 요구하고, 그래서 기술이다”라고 쓰고 있다. 설사 지금 머릿속이 좋지 않은 기억으로 가득 차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떠올리려는 충동을 자제하고(이를 망각하기 위한 심리치료 행위가 아니라면) ... ...
- 자율주행 자동차 언제 개발될까?동아사이언스 l2017.12.17
- 또는 정해진 도로에서만 자율적으로 운전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또한 “현재 우리는 비 오는 날씨나 혼잡한 도로와 같은 매우 어려운 환경에서 자율주행 가능한 자동차를 개발 중”이라며 “이 기술 개발이 완료되면 레벨5가 되는데 그 전에 2075년이 올 것”이라며 자율주행 기술의 완성이 ... ...
- [지뇽뇽 사회심리] 숙련 VS 성과2017.12.16
- 뜻으로 파괴적/극단적으로 해석하기보다 ‘새로운 도전’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면 우리는 한 층 더 성장하게 되지 않을까? ※ 참고문헌 Downar, J., Bhatt, M., & Montague, P. R. (2011). Neural correlates of effective learning in experienced medical decision-makers. PloS one, 6, e27768. Eccles, J. S., & Wigfield, A. (2002). Motivational beliefs,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2017.12.12
- 년 동안 인류가 생리적 한계에 도달했는가 여부를 테스트하기는 어려웠다”며 “오늘날 우리는 이 한계를 인식하게 된 첫 세대”라고 담담히 서술했다. 그리고 미래 과학의 힘에 막연히 기대할 게 아니라 오히려 현실을 직시해 이미 도달한 정점을 유지하기 위한 생활스포츠 활성화 등의 노력이 ... ...
- [지뇽뇽 사회심리] 자기 비하가 심하면 사랑도 멀어진다2017.12.09
- 덥썩 잡을 수 있는 용기, 적절한 때에 방패를 조금 내려놓을 수 있는 용기를 가진다면 우리는 조금 더 나은 관계들을 만들어갈 수 있는 게 아닐까? ※ 참고문헌 Lemay, E. P., Jr., & Clark, M. S. (2008). How the head liberates the heart: Projection of communal responsiveness guides relationship promo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2017.12.06
- 달리 아미노산의 경우는 약간의 예외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단백질을 만드는데 우리가 교과서에 배운 ‘정규’ 아미노산 20가지 외에도 2가지가 더 쓰이고 있다. 먼저 1974년 발견된 셀레노시스테인(selenocysteine)으로, 정규 아미노산인 시스테인의 황원자(S) 자리에 셀레늄(Se)이 들어간 구조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2017.11.29
- 생각하지 않는 것 같지만 아무튼 인간의 추상적 사고력을 평가하는 데는 유용한 도구다. 우리는 보통 지능이 높은 사람을 ‘머리 회전이 빠르다’는 말을 쓰는데 커넥톰의 관점과 일맥상통하는 표현이다. 이런 사람들은 뉴런 사이의 시냅스가 최적의 구조로 배치돼 효율적으로 정보처리가 이루어질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2017.11.21
- 서민 교수는 “27㎝짜리 회충은 보통 크기”라며 별일 아니라고 촌평했다. 바꿔 말하면 우리나라 사람의 몸에서 회충 같은 기생충이 없어진지 하도 오래됐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니고서는 의사들도 본 적이 없다는 말이다. 사실 필자가 어렸을 때만 해도 봄가을로 채변봉투(신문지 위에 대변을 본 뒤 ... ...
- [지뇽뇽의 사회심리]당신은 꼰대입니까? 2017.11.17
- 현상도 나타난다(Ross & Wilson, 2002). 이렇게 우리는 그때그때 필요에 의해 (보통 우리의 자존감에 봉사하는 방향으로) 기억의 단면들을 ‘선택적’으로 재활용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나는 정말 어렸을 때 실수도, 미숙함도, 오만함도 없는 사람이었을까? 그리고 지금의 나는 그 때의 나와 정말 아무런 ... ...
이전2302312322332342352362372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