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스페셜
"
우리
"(으)로 총 3,17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반응의 분자 메커니즘을 이해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장내미생물의 생체이물 대사가
우리
건강에 상당히 중요하다는 건 알겠는데 아직은 내 건강관리로 이어질 방법이 마땅치 않다는 게 아쉽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뇌의 전두엽이 두정엽과 만나는 지점인 중심전회는 1차 운동피질이라고 부르는데
우리
몸의 근육 움직임을 관장하는 부분이다. 운동피질의 각 부분이 담당하는 신체부위를 따라 사람을 그린 그림을 본 적이 있을 텐데 얼굴과 손이 넓은 영역을 차지한다. 섬세한 근육조절이 필요한 부위라서 많은 ... ...
오지랖 넓은 한국사회에서 자신을 되돌아 보는 방법
2017.07.30
바로 보는, 삶의 의미를 다시금 정립하는 발견의 시간이었다. ‘사회적’ 동물로서
우리
는 내 방문을 나서는 순간부터 주변의 영향을 받게 된다. 무비판적으로 다수의 의견에 동조하거나 복종하게 될 뿐 아니라, ‘내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라는 본질적인 질문에서도 주변의 압력을 받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표피에 침투해 부풀어 오르게 되고 그 변화를 인식해 습도가 높다고 느끼게 된다. 즉
우리
온각센서가 열을 느끼고 촉각이 습기를 느끼면서 후텁지근하다는 느낌을 받고 이는 체온조절의 실패 위험성을 경고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뇌는 불쾌하다고 해석한다는 말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나는 항상 희생만 한다? 자기중심적 세계관에 빠진 사람들
2017.07.22
깊게 알 수 없어서 생기는 비대칭이다. 따라서
우리
는 이 비대칭의 존재를 알아야 한다.
우리
의 판단은 상당히 자기중심적일 수 밖에 없음을 말이다. 쉬워 ‘보이는’ 삶은 있을지라도 정말 쉬운 삶은 없다는 것을, 모든 사람들이 나름의 부족함과 불운으로 인한 괴로움을 안고 살아감을 알아야 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는 이런 운동을 원한다
2017.07.18
이들이 심혈관계질환에 걸리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 Brian Wood 제공 수렵채취인들이
우리
처럼 따로 운동을 하는 것도 아니고 그저 먹고 살기 위해 하루에 몇 시간씩 돌아다니며 사냥을 하고 채집을 하는 신체 활동을 하는 게 전부인데 그렇다면 이런 일상의 ‘활동’이 각종 기구와 스포츠과학이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⑪ 외국인 혐오증은 진화적 본성이다?
2017.07.16
본성이 환경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는 현상을 이른바 게놈 지연(Genome lag)이라 합니다.
우리
유전자에 뿌리깊게 자리잡은 내집단 선호의 본성은, 이제 유효기간이 다한 진화적 잔재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무리 튼튼하게 만든 성이라 해도, 사람이 없어지면 곧 허물어진다. 그러나 아무리 허술한 ... ...
당신은 행복하게 돈 쓰는 방법을 아시나요?
2017.07.15
동물원을 판다는 전단지를 보고, 또 때 마침 아버지가 남긴 유산이 들어와서 "이 동물원
우리
가 살까? 그러지 뭐"라며 동물원을 사버렸다는 얘기다. 동물원 관리 경험이 전무한 이들이 열정으로만 뭉쳐 좌충우돌 해나가는 유쾌한 실화이다. GIB 제공 역시 유쾌하게 동물원도 사고 그러려면 부모님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너지, 당분간은 천연가스에 기대야 할까...
2017.07.11
엘론 머스크는 로켓재활용이라는 꿈같은 아이디어를 실현해 세상을 놀라게 했다.
우리
나라의 탈석탄 탈원전 꿈이 현실이 되느냐 여부는 결국 엘론 머스크나 로드니 알램 같은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내놓을 천재가 나타나느냐에 달려있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 ...
육아 로봇이 아이 떨어뜨리면 누구 책임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7.09
소송을 제기해야 할까. AI의 발달과 함께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회적 문제들이
우리
사회를 걱정에 휩싸이게 하고 있다. 이번 주 ‘사이언스’엔 자율주행, 가상현실(VR) 등 AI가 접목된 분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문제점들에 대해 제시하는 편집후기(Editorial)가 실렸다. 미국의 공상과학 ... ...
이전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