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셈"(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 꼬마 천문학자들의 천문대 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9호
- 1985년에 계획을 시작해서 1994년에 첫 관측을 하게 됐으니까 완성하는 데 10년이 걸린 셈이지요. 이 망원경은 우주에서 오는 빛을 아래쪽에 있는 오목거울에서 반사해 위쪽에 있는 거울로 한데 모은 다음, 다시 오목거울 가운데 뚫린 구멍으로 보내서 관찰하는 방식이에요. 우주에 있는 별의 무리인 ... ...
- Part 3. 한가위의 달이 대보름달일까?수학동아 l2010년 09호
- 향하는 정도를 하루 단위로 나타낸 것을 ‘월령’이라고 해. 삭일 때는 월령이 0일인 셈이지.올해 음력 8월의 삭은 양력으로 9월 8일 19시 30분일 때야. 음력에서는 삭이 되는 날을 1일로 삼기 때문에 9월 8일이 음력으로 8월 1일이 돼. 그런데 달이 삭에서 다음 삭이 되려면 정확히 29.53일이 걸려. 특히 ... ...
- 탈탈, 슥슥~. 빨래 개는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9호
- 못한다구요. 이런 로봇을 만들었다는 건, 로봇공학의 중요한 문제점을 하나 해결한 셈이에요.로봇공학의 중요한 문제점이요? 도대체 그 문제점이 뭔가요?지금까지의 로봇은 컵처럼 모양이 바뀌지 않는 딱딱한 물체만 다룰 수 있었죠. 하지만 PR2 로봇은 모양이 고정되지 않은 수건을 집어드는 것은 ... ...
- 달리기 시합의 우승자는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9호
- 둥그런 뒷발자국만 보면 알 수 있답니다. 그럼 발자국의 주인공들은 모두 밝혀진 셈인가요? 걸음걸이를 알아 내라왼발에서 다음 왼발, 또는 오른발에서 다음 오른발까지를 한 걸음이라고 해요. 한 걸음의 거리를 다리 길이로 나눈 값은 공룡이 걸었는지, 총총 뛰었는지, 빠르게 달렸는지 알 수 있게 ... ...
- Part 2. 아름다운 한복수학동아 l2010년 09호
- 연결한 ㅅ모양이 앞과 뒤에 있어. 그러니까 바지 하나에 뫼비우스의 띠가 2개 있는 셈이야. 그런데 실제로 한복을 만들 때 뫼비우스의 띠를 만든 뒤 자르지는 않아. 번거롭기도 하고 띠를 만든 뒤 자르면 큰사폭과 작은사폭의 겉과 안이 바뀌게 되거든. 그래서 선조들은 마름질을 할 때 지혜를 ... ...
- 자물쇠 속 수학수학동아 l2010년 09호
- 특별한 기술이 없었기 때문에 유용하게 사용됐다. 그 당시로선 최고의 기술이었던 셈이다.우리나라는 자물쇠를 언제부터 사용했을까?우리는 삼국시대부터 자물쇠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2000년 남짓한 역사를 자랑하는 전통 자물쇠와 열쇠는 실생활에서 널리 사용됐다.그런데 안타깝게도 현재 ... ...
- 지오의 나라수학동아 l2010년 09호
- 빨리 과학을 발전시켜야겠다는 생각이 든단다. 그런데 과학 기초는 산학이라지? 정확히 셈을 할 줄 알아야 발명품도 만들고 역법도 발전시킬 수 있다더구나. 집을 짓거나 탑 하나를 세우는 일에도 정밀한 계산이 필요하고, 악기를 만드는 데에도 산학이 필요하지. 그러고 보니 세상엔 산학이 ... ...
- 대박을 부르는 통계수학동아 l2010년 09호
- 월평균 사용요금이 2만 6725원이래.내가 남들처럼 휴대전화를 사용하면 용돈이 거덜 나는 셈이지. 사실 휴대전화가 있으면 불편해. 책을 읽고 있을 때 자꾸 전화나 문자가 오면 신경쓰이거든.그런데 내가 휴대전화를 안 쓰는 또 다른 이유가 있어. 바로 내 생활이 그대로 드러날 수 있기 때문이야. ... ...
- 덩치 큰 슈퍼컴퓨터, 소프트웨어로 다이어트하다과학동아 l2010년 09호
- 노드를 골라 하나의 실제 기계로 몰아넣고 일을 한다. 실제 일을 하는 기계는 하나인 셈이다. 할당받지 않은 실제 기계들은 저전력 상태로 두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반대로 시스템이 바빠지면 가장 일이 많은 가상 노드부터 실제 기계로 옮겨 실행시킨다. 잠시 작동을 멈춰야할 때도 ... ...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열대우림이 ‘핫 스폿’이지만 해양에서는 열대바다보다 중위도 바다가 ‘핫 폿’인 셈이다. 이런 결과는 해양생물 다양성이 바다 표면 온도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는 점을 알려준다.심해저 생물과 미생물 포함하면 수백만 종 훌쩍“과학자들이 200만 개의 생물종을 밝혀냈지만 이는 전체 생물 ... ...
이전2222232242252262272282292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