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중휴명 전략펴는 깽깽이풀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발아할 경우 식물체가 겨울에 얼어 죽기 때문에 겨울을 난 뒤에 싹을 틔우기 위한 전략인
셈
이죠. 이런 현상이 씨앗의 휴면입니다. 그렇다면 깽깽이풀 씨앗의 이중 휴면이란 어떤 현상일까요.특이하게도 깽깽이풀의 씨앗은 겨울로 착각하게 하는 저온처리만으로는 발아를 잘 하지 않습니다. 이에 ... ...
덩치 큰 슈퍼컴퓨터, 소프트웨어로 다이어트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노드를 골라 하나의 실제 기계로 몰아넣고 일을 한다. 실제 일을 하는 기계는 하나인
셈
이다. 할당받지 않은 실제 기계들은 저전력 상태로 두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반대로 시스템이 바빠지면 가장 일이 많은 가상 노드부터 실제 기계로 옮겨 실행시킨다. 잠시 작동을 멈춰야할 때도 ...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열대우림이 ‘핫 스폿’이지만 해양에서는 열대바다보다 중위도 바다가 ‘핫 폿’인
셈
이다. 이런 결과는 해양생물 다양성이 바다 표면 온도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는 점을 알려준다.심해저 생물과 미생물 포함하면 수백만 종 훌쩍“과학자들이 200만 개의 생물종을 밝혀냈지만 이는 전체 생물 ... ...
도시의 미래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긍정적으로 발전하느냐, 부정적으로 발전하느냐에 따라 인간과 지구의 미래는 결정되는
셈
이다. 현재 도시는 어떤 변화를 겪고 있을까. 또 미래 도시의 비전은 어떻게 세워야 할까.오늘날의 도시는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슈라드 Vs 플로리다 ▶프랑스 최대의 도시연구소인 IAU(일 드 프랑스 ... ...
쫄깃쫄깃 타피오카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친환경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카사바는 버릴 것이 하나도 없는
셈
이다.카사바 바이오플라스틱은 줄기의 거친 부분에서 탄수화물을 채취해 만든다. 탄수화물을 잘게 분해한 포도당을 발효시켜 젖산을 얻은 다음, 중합과정을 거치면 생화학적으로 미생물이 180일 이내에 분해할 수 ... ...
1992년 사무엘 웨이스 박사의 성체 신경세포 생성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어른의 뇌에서는 신경세포(뉴런)가 죽어갈 뿐 새로 만들어지지는 않는다.〃지금까지도 상당수 사람들이 믿고 있는 이 도그마는 19세기 신경해부학자들의 관찰 결과를 토대로 한다. ... 100년 된 도그마를 무너뜨렸을 뿐 아니라 미래 인류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는 데 초석이 된
셈
이다 ... ...
빛이 갇힌 세계에서 만든 나노광학현미경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증명했다. 폴 박사가 만든 광학기기는 바로 현미경이었다. 렌즈 대신 바늘을 꽂은
셈
이다. 빛에 바늘을 가져가면 왜 빛이 빠져나올까. 또 갇혀 있던 빛에는 어떤 정보가 담겨 있을까.근접장에 닿는 순간 나노 바늘은 ‘움찔’“비밀은 빛을 머금은 나노입자 주변에만 존재하는 근접장(near-field)에 ... ...
물과 공기로 열 내리는 그린 빌딩이 답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횟수를 뜻한다. 1페타는 1000조이므로 블루워터스는 1초마다 1경(京) 번의 연산을 처리하는
셈
이다. 건물을 먼저 공개한 이유는 PCF가 슈퍼컴퓨팅에 최적화된 건물이기 때문이다. NCSA와 일리노이주립대는 특이하게도 블루 워터스를 들여오면서 제작사인 IBM과 함께 컴퓨터 전용 건물을 지었다. 그 ... ...
과학으로 피어나는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물감층이 더 두껍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여러 색깔을 여러 번 덧칠해 어두운 느낌을 살린
셈
이다.연구팀은 모나리자를 그린 포플러 나무 화판에도 주목했다. 화판의 정확한 크기는 가로 53.4cm, 세로79.4cm였으며 두께는 약 1.4cm였는데, 모나리자의 머리 위로 11.9cm나 되는 균열이 발견됐다. 그들은 화판이 ... ...
감쪽같은 소금 흉내로 뇌 속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전해진다. 나트륨이 아닌 물질이 나트륨처럼 맛 경로를 이용해 짠맛을 느끼게 하는
셈
이다. 짠맛 조절물질이 들어 있는 음식을 먹은 사람은 소금을 넣지 않았는데도 짭짤한 맛을 느끼게 된다.KFRI-LHe은 현재 가루 형태로 개발됐다. 눈으로 보기에는 조미료처럼 연한 갈색을 띄는 가루처럼 보인다. ... ...
이전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