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d라이브러리
"
과학
"(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
사 극장] 레이첼 카슨은
과학
적 전문성이 부족했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부산대 교양교육원 교수.
과학
사 연구자로, 한국이라는 틀에 갇히지 않는 한국
과학
사를 쓰기 위해 부단히 노력 중이다. 저서로 ‘마스크 파노라마’(공저)가 있다. jhwanhyun@pusan.ac ... ...
[이달의 책] \네오알키미스트: 새로운 물질을 창조하는
과학
적 원리 외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세계 1등을 향해 질주하는 레이서의 심리를 속도감 있는 문장으로 전개했다. IBS 양자나노
과학
연구단장상을 받은 강태준 작가의 ‘더 마더’는 시간여행이란 소재를 활용해 주인공이 사건의 진실에 다가가는 과정을 입체적으로 구성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상을 수상한 유나무 작가의 ‘김민지 ... ...
[특집] 용왕님이 한 턱 쏜다! 해양문화재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엣헴! 나는 바다의 수호신 용왕일세.내가 사는 용궁은 다름 아닌 수백 년 전 침몰한 난파선. 호화로운 보물로 가득한 곳이지. 인간 세상에 2024년청룡의 해가 밝았다는 소식을 듣고 오랜만에 용궁 밖을 나섰더니 토끼와 거북이 서 있었어. 난파선을 되찾으러 왔다더군!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 ...
[가상 인터뷰] 24시간 둥지 지키는 펭귄의 수면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잠은 자고 있는 거야? 2023년 12월, 극지연구소 이원영 선임연구원과 프랑스 리옹신경
과학
연구센터 폴-앙투안 리보렐 연구원 공동연구팀은 수면뇌파 검사를 통해 턱끈펭귄의 잠에 대해 연구한 내용을 발표했어. 연구팀은 2019년 12월부터 2주간 알을 품는 턱끈펭귄 14마리를 관찰했는데, 턱끈펭귄이 ... ...
업사이클드푸드 왜 필요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한 개만큼의 단백질과 바나나 두 개만큼의 식이섬유가 있다”고 전했어요. 국립식량
과학
원 밭작물개발과 김민영 연구원은 참깨박에 간 세포를 보호하는 ‘리그난’이 풍부한 것을 발견하기도 했습니다. 리그난은 참깨에 들어있는 물질이에요. 참깨에서 기름을 짜내면 리그난 중 기름에 녹는 ... ...
[광고] 소닉 더 헤지혹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존중하는 친구 사이랍니다. 아직 등장하지 않은 소닉의 친구들은?2월 15일 자 어린이
과학
동아에는 소닉과 친구들에 대한 더 재밌는 내용이 기다리고 있어요. 새로운 친구들도 등장할 예정이니, 많은 기대 부탁해요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3조 원짜리 공연장, 스피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나가는 힘으로 하늘을 날 수 있지요. 이게 말이 될까요? 언뜻 보면 그럴싸하게 들리는
과학
밈●들을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김범준 교수가 친절히 설명해 드립니다. 깽깽이발로 뛰고, 네발로 기어가고정신없는 100m 경주가 벌어지고 있어요. 인공지능 선수들은 바닥에 넘어지면 벌을 받고, 경로를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무선 조종 탱크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영화를 보던 섭섭박사님은 험한 비탈을 거침없이 누비는 탱크에 눈길이 갔어요. 섭섭박사님은 리모컨으로 조종할 수 있는 무선 조종 탱크를 직접 만들어 보겠다고 나섰습니다. 만들어 보자! 거침없이 달리는 무선 조종 탱크 만들기 탱크는 포나 기관총 등을 탑재한 차량이에요. 도로가 없는 험 ... ...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어렸을 때는 목사가 되고 싶어 스위스 바젤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다. 그러다
과학
자, 수학자를 많이 배출한 베르누이 집안 사람들과 만나면서 수학에 눈을 뜬다. 20세인 1727년에 러시아 제국의 페테르부르크 아카데미로 건너가 24년을 머무른다. 1735년에는 시력을 잃었는데도 천부적인 기억력과 ... ...
[Chapter5] 우리 곁에 늘 있는 소수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생물학자 조셉 코르보는 닭의 눈에서 이 같은 성질을 발견했다. 그런데 알고 보니 미국
과학
자 살바토레 토르콰토가 이와 비슷한 배열을 연구 중이었다. 바로 ‘상자 채우기 문제’를 풀고 있던 것이다. 상자 채우기 문제는 상자 안에 오렌지를 가능한 한 많이 담는 방법을 찾는 것처럼 특정 넓이나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