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의 책] 선택의 순간을 설명하는 몬티 홀 문제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우리가 살면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를 때 찍어서 선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지요. 이런 선택의 순간에 관한 ‘몬티 홀 문제’가 있어요. 1963년부터 40년간 방영된 미국 오락 프로그램인 ‘Let’s make a deal(거래를 합시다)’에 나온 문제로, 당시 진행자인 몬티 홀의 이름을 따서 붙였어요. 언뜻 생각하 ... ...
- [과학뉴스 ]육식공룡 고르고사우루스 마지막 식사는 공룡 뒷다리!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공룡은 무엇을 먹었을까. 화석으로 남은 치아의 형태를 보고 초식인지, 육식인지를 판단하거나 초식공룡의 뼈에 남은 이빨 자국을 통해 추측할 수 있다. 하지만 직접적인 화석 증거를 발견하지 않는 이상, 정확히 어떤 먹이를 먹었는지 찾기는 쉽지 않다. 2023년 12월 8일, 프랑수아 테리앙 캐나다 ... ...
- [과학뉴스] 뱃속에서 덜덜덜! 포만감 올려주는 캡슐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먹어도 배부른 알약이 나온다면 어떨까? 한번쯤 상상해본 공상과학이 현실이 됐다. 최근 슈리아 스리니바산 미국 하버드대 생명공학과 교수와 조반니 트라베르소 MIT 기계공학과 교수 등 공동연구팀이 한 알만 먹어도 음식 섭취량을 40%나 줄일 수 있는 알약을 개발했기 때문이다. 해당 연구는 2023년 1 ... ...
- Part2. 4족보행 로봇 AI에게 걸음마 배워 세상으로!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수주 동안 학습해야 도달할 수 있는 성과를 한 로봇에 손쉽게 전달하는 것이다. AI가 과학기술 연구 전방향에 혁신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요즘, 로봇 또한 예외가 아니다. 박 교수의 목표는 앞으로 4족보행 로봇에 “지능을 덧붙이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조종하지 않아도 로봇이 자율적으로 ... ...
- [칼럼] AI 판사에게 꼭 필요한 능력은?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현실로 다가오며, 새로운 법률의 풍경을 만들기 시작했다.❋필자소개임영익. 서울대 생명과학과를 졸업하고 52회 사법시험에 합격해 변호사가 됐다. 현재 (주)인텔리콘연구소의 대표이사로 AI 기반의 리걸테크 솔루션 개발 및 컴퓨테이션 법률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15년 한국 최초로 AI 법률정보 ... ...
- MBTI보다 정확한 유전자 검사 체험기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알리는 데는 열흘 정도가 걸립니다. 결과는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자들은 “과학을 좋아하는 사람들만 가지고 있을 특별한 DNA 같은 게 있을까” 농담을 주고받으며 결과를 기다렸죠. 결론부터 말하면, 아쉽게도 그런 건 없었습니다. 2023년 젠톡 올패키지 유전자 검사는 ‘영양소’ ... ...
- [검찰청 과학수사노트 2] 알코올과 마약, 흔적은 반드시 남는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문제는 연구뿐만 아니라 정치외교, 복지 등 다방면으로 접근해야 한다. 김희승 대검찰청 과학수사부 연구사는 “마약지문 감정 건 수가 2022년 대비 2023년 2배 이상 늘었다”면서 “마약지문의 경우 발견된 마약이 어느 조직에 의해 합성됐는지 역추적하는 기술이다 보니, 감정 건들이 대부분 100g 이상 ... ...
- 피자 먹을 때 나도 모르게 수학한다! 빼어난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캐나다 구엘프대학교를 졸업하고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등 SNS에서 재미나고 기발한 과학상식을 알리는 미첼 모핏과 그레고리 브라운은 피자의 반지름으로 넓이를 구하고 가격 대비 어떤 것이 훨씬 효율적인지 알아봤다. 그들은 스몰 사이즈 피자는 반지름이 약 4인치로, 넓이는 50제곱인치 ... ...
- 디지털 종이에 똑똑한 수학 기능 담다, 스티븐 챈 굿노트 CEO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생겼나요? 고등학생 때 ‘해커 뉴스’라는 웹사이트를 보면서부터요. 여기에는 주로 과학이나 스타트업에 관한 흥미로운 기사가 올라왔는데, 그때 스타트업에 관한 글을 읽으면서 관심을 갖게 됐지요. 이전까지는 평범한 학생이었어요. 웹사이트 제작 대회에 참가하곤 했지만, 특출나진 않았지요. ... ...
- 배가 산으로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파나마 운하가 가뭄에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운하의 작동 방식에 있어요. 파나마 운하는 호수 물을 이용해 배를 산 위로 올려 보내기 때문이에요. 마치 배가 엘리베이터를 타듯 말이죠. 엘리베이터 한 번에 물 2억L? 운하는 보통 가로막고 있는 땅을 모두 파내고 서로 떨어진 물길을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