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사랑탐사대, 어떤 생물을 탐사했을까? 2023 시민과학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부스가 가장 인상깊었다”고 전했지요. 지사탐 대장을 맡고 있는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는 “2023년 한 해 지사탐 활동을 통해 다양한 생물들이 환경에 적응하고, 환경을 극복해 살아가는 모습을 발견했다”고 소감을 밝혔습니다. 특히 “일본 야쿠시마에서 봤던 일본원숭이가 비가 ... ...
- [특집] 가뭄에 막힌 내 택배? 파나마 운하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지구 반대편 물건을 집 앞까지 배송받을 수 있는 해외 직구로 물건을 잔뜩 주문했어.그런데 아무리 기다려도 택배가 오지 않네? 태평양 건너 중남미에 위치한 작은 나라, 파나마에 닥친 기후위기 때문이라는데…. 대체 무슨 일이 있었을까?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가뭄에 막힌 내 ... ...
- 가뭄으로 뱃길이 막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운하는 땅을 뚫어 물을 흐르게 해 배들이 다닐 수 있도록 만든 물길이에요. 대서양과 태평양을 잇는 파나마 운하가 대표적이지요. 그런데 작년부터 비가 오지 않아 배들이 파나마 운하로 들어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73년 만에 가장 건조했던 파나마 2023년 초부터 파나마에는 극심한 가뭄이 이어지 ... ...
- [과학뉴스] 지하 1.5km 아래에도 다채로운 미생물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식물학자 칼 폰 린네는 생물을 큰 묶음부터 계-문-강-목-과-속-종 7단계로 분류했습니다. 과학자들은 린네의 분류 방법을 기본 뼈대로 사용하고 있어요. 문이 다르면 전혀 다른 생물입니다. 예를 들어, 사람은 척삭동물문이고 나비는 절지동물문이에요. 연구팀은 “지하 깊은 곳에 있어 눈에 보이지 ... ...
- [가상 인터뷰] 물곰 족보에 등장~. 그린란드에서 신종 물곰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있던 물곰이 다시 깨어나고, 6000기압이나 되는 압력에서도 물곰은 몇 분을 버텨냈지. 과학자들은 왜 널 주목하는 거야? 현재까지 약 1500종이 발견된 완보동물은 분류학적으로 크게 진완보강과 이완보강으로 나뉘어. 이완보강은 머리에 여러 감각기관이 달린 것이 특징이야. 이 감각기관은 물곰이 ... ...
- 기상청 취재기, 예보관의 하루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AI, 수치예보모델, 슈퍼컴퓨터가 있어도 예보관이 필요할까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기상청을 찾아 예보관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 봤어요. 예보회의, 계급장 없는 열띤 토론 현장! “위성 영상을 보면 지금 우리나라 북쪽으로 중국 북동부에 위치한 저기압의 가장자리를 따라 계속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이 자세 따라하면 똥이 나온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고민인 사람들, 주목! 나 마이보가 변비 해결 꿀팁을 알려주는 과학 영상을 가져 왔어. 최근 관측된 엄청나게 큰 에너지를 가진 정체 불명의 우주선, 사람의 눈이 2개인 이유, 지구 역사상 가장 신비로운 포식자인 모사사우루스에 관한 영상도 함께 보자고! 최근 러시아의 내과 전문의 다리야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속았지? 콜라인 듯 콜라 아닌 비밀 간식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아니라 원하는 모양을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지요. 2023년 2월 미국 러트거스대학교 식품과학과 황 진그롱 교수팀은 3D 프린터에 넣고 사용할 수 있는 초콜릿 잉크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원하는 모양의 초콜릿을 만들 수 있다”며 “3D 음식 프린팅 기술을 ... ...
- [과학뉴스] 45억 년 전 지구와 충돌한 행성 맨틀 아래 남아있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지구의 맨틀 하부에는 ‘대규모 저속 지역(LLVPs Large low-shear-velocity provinces)’이라는 구조가 있다. 주변 맨틀보다 밀도가 더 높아서 지진파가 느리게 전달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1980년대 지진파 탐사로 발견됐는데, 아프리카와 태평양 지하에 각각 한 덩어리가 존재한다. 너비 3000km, 높이는 ... ...
- [과학뉴스] 초은하 평면에는 왜 주로 타원은하만 있을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우리은하는 거대한 우주 구조의 일부분에 불과하다. 은하가 모이면 은하단, 은하단이 모이면 초은하단이라 부르는 식이다. 우리은하를 포함하는 처녀자리 초은하단은 팬케이크처럼 생긴 모양 탓에 ‘초은하 평면’이라고도 불린다. 초은하 평면의 지름은 약 10억 광년에 달한다. 그런데 초은하 평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