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신도
Chengdu
청뚜
청두
성인
사도
d라이브러리
"
성도
"(으)로 총 293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왕성과 해왕성, 사수자리주변 배회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위치하지만 북쪽이라는 점때문에 아직까지 충분한 고도를 유지하고 있던 북두칠
성도
한여름의 더위를 피히기 위해서인지 머리를 땅으로 향한채 천천히 움직이고 있다. 적당한 고도로 떠오른 견우와 직녀는 백조자리의 꼬리별인 데네브와 함께 한여름밤을 주도하지만, 아직 칠월칠석이 안돼서인지 ... ...
하늘에 떠있는 별들의 절반은 짝별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카파성과 처녀자리의 감마성 포리마는 망원경 시야에 넣는 것부터 쉽지 않다.
성도
상의 위치와 몇번의 대조 끝에 이 별들을 확인하고 배율을 높였을 때 고물자리의 별은 쉽게 분해할 수 있었다. 그러나 포리마의 경우 1988년 처음 볼 당시는 분해에 성공했지만 1993년에 다시 관측했을 때는 잘 분해되지 ... ...
4. 극저온·초고온에 견디는 신소재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이르기까지 여러 분야에 이용된다. 그러나 알루미늄 합금보다 비싸고 가공
성도
좋지 않아 소형 모터케이스, 고압 헬륨가스 저장기, 2단 자세 제어용 수소 히드라진(hydrazine) 탱크에 한정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알루미늄 합금에 비해 열전도율이 1/20정도로 낮기 때문에 극저온의 액체수소 탱크와 전방 ... ...
지동설을 탄생시킨 목성의 4대위성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똑바른 모습으로 되돌아가려는듯이 점점 북극성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다. 위의
성도
에는 북극성의 알파성과 베타성을 이용하여 북극성을 찾는 요령을 표시하여 놓았다. 천정쪽으로 치우친 곳에는 겨울의 대표적인 산개성단들을 거느린 마차부자리가 1등성인 카펠라를 앞세워 별밤지기들의 ... ...
3.3년 주기 엥케혜성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즉 북두칠성이 지평선 아래에 있거나 완전히 모습을 나타내지 못한 경우에 위의
성도
에서 표시한 방법으로 북극성을 찾을 수 있다.1월 남쪽 밤하늘1일 : 밤9시15일 : 밤8시30일 : 저녁 7시 서쪽으로 치우친 곳에 밝은 별자리가 없는 탓인지 동쪽으로 치우친 곳의 오리온자리가 하늘의 반은 차지한 ... ...
천체관측의 만능자, 항성시를 알자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해서 좌표를 구할 수 없다. 방법은 주위에서 밝은 별을 찾고 이별의 적도 좌표를
성도
에서 찾은 다음 이별로부터 북쪽으로 몇도 동서방향으로 몇도 떨어져있는지를 실측하여 구하는 것이다. 쉬운 방법은 아니다. 적도 좌표를 제대로 이용하려면 하늘에 좌표를 알고 있는 밝은 별이 있어야만 한다. ... ...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칠해도 좋다.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찾아 적당한 크기로 제작하면 된다.■
성도
촬영계획을 세우거나 사진의 구도를 정할때 쓴다.■ 촬영 기록용지촬영데이터의 기록은 매우 중요하다. 촬영 날짜와 시간의 기록에서부터 안시등급, 대략적인 별의 위치(적경 적위), 노출시간, 필름의 종류와 ASA ... ...
화려한 1등성들로 가득찬 겨울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가장 큰 구상성단인 오메가성단을 볼 수는 없을까? 이 정도의 생각을 미리하고
성도
를 참고하여 우리가 관측할 대상들을 미리 정한 다음 이것들의 적정 관측시간을 정하여 관측을 시작 한다면, 어렵게 간 관측회에서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좀 더 많은 것을 보고올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위의 ... ...
(1) 초기 우주때 태어난 1세대별 사라지고 5세대별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일생이다. 요즘밤 자정 쯤 되면 오리온별자리가 떠오르기 시작한다. 플람스티드의
성도
에서 보면(그림1) 오리온 사냥꾼이 오른쪽 손에 칼을 높이 들고 있는 어깨에 붉은색의 베텔규스가 있고 왼쪽 발등에는 청색의 리겔이 자리잡고 있다. 그리고 사냥군의 허리띠를 따라 삼태성이라 부르는 세개의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성운 성단을 하나의 별로 인식했다. 1603년 베이어가 유명한 우라노메트리아(Uranometria)
성도
를 제작했을 때에도 단지 오메가라는 별로 표기했었다.1610년 갈릴레이가 망원경을 사용하면서부터 성단에 대한 많은 의문들이 해결되기 시작했다. 그는 당시까지 많은 관측자들을 괴롭혔던 하늘의 흐릿한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