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성도"(으)로 총 293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봄 새싹 위에 펼쳐지는 작은 촛불잔치과학동아 l1992년 04호
- 목동자리와 큰곰자리 사이에 놓여 있어서 그런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성도가 처음 만들어지던 시절의 사냥개자리는 지금과는 많이 달랐다고 한다. 지금의 모습처럼 사냥개자리가 정의된 것은 17세기 폴란드의 천문학자 요하네스 헤벨리우스(Johannes Hevelius, 1611-1687)에 의해서다.그러나 ... ...
- 몸무게과학동아 l1992년 04호
- 감량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효과는 일시적이다. 더욱이 여러 합병증을 일으킬 가능성도 있으므로 16주 이상 장기복용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서울대 의대 서정돈교수는 주의를 환기시킨다.1백57㎝에 20㎏이번에는 마른 사람들의 얘기를 해보자. 표준체중보다 10% 밑도는 체중을 가진 사람을 홀쭉이라고 ... ...
- 플라스틱 용어 이것만은 알아두자과학동아 l1992년 03호
- 나일론6이 가장 널리 쓰인다. 강인하고 내충격성이 좋으며 전기특성 저온특성 내약품성도 우수하다.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탱크 팬 기어, 전자제품의 커넥터 스위치부품, 샤시, 기계부품, 스포츠 용품 등에 쓰인다.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탄산에스테르구조를 반복적으로 갖는 고분자의 ... ...
- 별자리, 왜 계절에 따라 달라지나과학동아 l1992년 02호
- 천구를 일주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 대원을 우리는 황도라고 부른다.황도와 적도는 옛날 성도에 각각 노란색과 붉은색으로 그려진 데서 비롯된 이름이다. (그림5)에서 알 수 있듯이 두 대원 황도와 적도는 춘분점과 추분점에서 교차한다. 물론 두 대원의 사잇각은 23.5º가 된다. ■적도 좌표계 ... ...
- 남극과학동아 l1992년 02호
- 이용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와 같이 인류전체를 위한 수자원으로서의 이용가능성도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세종기지는 남극의 관문에 위치90년 1월 필자는 한국 남극연구프로그램의 제3차 월동대로 선발돼 13명의 대원과 함께 1년여 동안 세종기지에서 상주하며 각종 연구를 ... ...
- 시리우스가 간직한 두가지 수수께끼과학동아 l1992년 02호
- 있어 일단 개의 별자리라고 생각하고 보면 거의 완벽한 개의 모습을 그릴 수 있다. 고대 성도를 보면 큰 개는 뒷다리로 서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이때 시리우스는 코를 나타낸다.큰개자리의 으뜸별 시리우스는 그 밝기 만큼이나 많은 관심을 끄는 별이다. 그중에서도 시리우스에 얽힌 두 가지 ... ...
- 특집1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철보다 강한 '꿈의 소재'를 찾아서과학동아 l1991년 12호
- 고장력 강판이 만능일 수는 없다. 즉 장력이 커지면 자유롭게 가공하기 어렵고 용접성도 떨어지는 문제점을 지니게 된다. 이런 양면성은 늘 존재하는데 어느 때고 완전히 제거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최선의 접점을 찾는 것이 중요한데, 자동차의 부위별 부품별로 합금의 조합이 달라지는 것도 바로 ... ...
- 세월따라 다양한 모습 선보인다과학동아 l1991년 11호
- 처음에 쉽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역시 내행성과 같이 위치관측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성도에 그 위치를 기록하며 외행성의 시운동을 기록한다. 토성띠의 존재나 목성의 줄무늬의 존재, 목성의 4대위성 등은 4㎝급의 망원경부터 가능하며 7.8㎝급부터 무늬의 세부와 토성띠의 2중구조 등이 보인다 ... ...
- 하루에 수t이 쏟아진다과학동아 l1991년 10호
- 조명 기구(가급적 어두운 것을 사용), 필기구, 시계 등이 필요하다. 준비가 됐으면 기록용 성도에 유성의 경로를 선으로 표시해 출현시간 색변화 광도 등도 기록해 나간다.■ 사진관측/고정촬영으로 충분사진관측도 그다지 복잡한 장비는 필요치 않다. 고정촬영 준비만 해도 충분하다. 빠르게 ... ...
- 한여름밤의 4중주과학동아 l1991년 08호
- 마리우스에 의해 처음으로 언급됐다고 전해지지만, 964년 아랍의 천문가 알 수피가 만든 성도에 정체 불명의 천체로서 이미 표기됐다.소형 망원경으로도 M31의 두 동반 은하 M32와 M110(NGC 205)이 관측된다. M32의 발견은 1749년 르 장틸에 의해 이루어졌고 보다 더 희미한 은하 M110은 1773년 메시에가 찾았던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