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항력
능란
면역질
특권
적응
뉴스
"
면역
"(으)로 총 4,116건 검색되었습니다.
머리 자주 감으면 탈모 생긴다?…속설의 거짓과 진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30
가장 중요하다. 자가
면역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원형 탈모증은 국소 스테로이드나
면역
요법을 통해 치료한다. 흉터형성 탈모는 모낭이 영구적으로 파괴되어 모발 재생이 불가능하므로 주로 모발 이식을 실시한다. ● 탈모의 예방 및 관리 서울대병원 제공 탈모는 노화 현상의 일환이며 노화를 ... ...
블록처럼 특정 분자 결합해 발현 조절하는 바이오센서
동아사이언스
l
2024.08.30
음식물을 분해해 영양소를 흡수하고 비타민B, 비타민K와 같은 영양소를 생성한다. 또
면역
체계를 조절하고, 염증을 줄이는 데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이를 센서나 유전자 편집 등 첨단 기술과 결합한 ‘스마트 프로바이오틱스’가 헬스케어의 새로운 분야로 떠오르고 ... ...
세계 첫 mRNA '폐암 백신' 대규모 임상 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8.26
암세포와 싸우도록 한다. 항암치료와 달리 건강한 세포는 그대로 두면서 암에 대한
면역
반응 자체를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영국에서 이 백신을 처음 접종한 환자는 5월 폐암 진단을 받고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이번 백신 접종에선 주사기를 사용해 5분 간격으로 6회 연속 약물을 ... ...
코로나19 후유증 '브레인포그' 원인 밝힐까…뇌 감염 돕는 돌연변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8.23
특히 브레인 포그는 뇌세포의 직접적인 감염 때문인지 아니면 감염 이후 지속되는
면역
반응 때문인지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훌트퀴스트 교수는 "만약 중추신경계 세포 감염이 브레인 포그의 원인이라면 뇌에서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데 연구결과가 특정 치료법을 제시할 수 있음을 ... ...
세계 최초 '인체 질병 연관 미생물 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21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고 21일 밝혔다. 장내 미생물인 마이크로바이옴은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간 장내 미생물군집은 인간의 장에 서식하는 다양한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및 기타 미생물을 뜻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장내 미생물군집 구성 변화와 ... ...
8월 말 코로나19 확진 35만명 전망…진단·치료비 부담에 '숨은 확진자' 증가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4.08.20
오는 10월 시작될 24~25절기 코로나19 백신 접종 지원 대상은 65세 이상 고령층과
면역
저하자, 감염취약시설 입원·입소자다. 이들은 무료로 접종 받을 수 있고 나머지 일반 국민은 본인 비용 부담을 통해 접종 가능하다. 정부는 일상회복 이후 치명률이 높은 60세 이상 등 감염 취약 계층을 ... ...
만성 '장 트러블' 염증성 장질환, 원인·치료법 실마리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8.18
연구팀은 대식세포에만 억제제를 전달할 방법을 개발 중이다. 장 염증을 막는 단백질을
면역
계가 스스로 차단하는 경우도 있다. 영국 뉴캐슬대 연구팀은 염증성 장질환을 앓는 어린이의 장에서 항염증 효과가 있는 단백질인 IL-10의 활동을 차단하는 항체가 생성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 ...
돼지 심장 이식 영장류 182일째 생존…국내 최장 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4.08.16
역량이 전반적으로 향상되고 있음을 보여준다”면서 “형질전환 돼지의 고도화와 함께
면역
억제 프로토콜에 대한 경험이 축적되고 있는 만큼 향후 관련 연구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현재 영장류 상태가 양호한 만큼 최대 생존 일수까지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관찰해 나갈 ... ...
엠폭스·코로나 재유행 양상…원인은 신종 변이
동아사이언스
l
2024.08.16
바이러스 단백질 표면 돌기에 있는 S단백질에 3개의 추가 변이를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면역
회피 성향이 소폭 증가한 것으로 평가되지만 전파력과 중증도 증가와 관련해 보고된 사례는 없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KP.3 변이를 겨냥한 백신은 아직 없다. 직전에 유행한 JN.1에 대한 백신 허가가 진행 ... ...
무더위 속 휴가 막바지…코로나19·말라리아 등 '주의보'
동아사이언스
l
2024.08.15
발생하고 심하면 호흡곤란이 오기도 한다. 대체로 자연적으로 회복되지만 만성질환자나
면역
저하자 등은 호흡기 건강 관리에 더욱 유념해야 한다. 레지오넬라균은 냉방설비의 냉각수뿐 아니라 건물 급수시설 등에서도 자라는 균이니 주방이나 욕실 청결 관리도 중요하다. 여행 등으로 1주일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