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항력
능란
면역질
특권
적응
뉴스
"
면역
"(으)로 총 4,11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민성대장증후군 간편 진단키트 개발…"예후·중증도까지 알려줘"
동아사이언스
l
2024.07.25
과민성대장증후군은 일상생활에 불편을 주는 질병 중 하나다. 방치하면 위장관
면역
시스템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기타 만성 장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다만 아직까지 과민성대장증후군을 진단하기 위한 유전체 기반 바이오마커가 개발되지 않아 증상 ... ...
혈액암 항암제 효과 예측하는 바이오마커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4
역동성에 주목해 표적 항암제의 세포자살 조절 메커니즘을 분석했다. ‘단분자 공
면역
침강(SMPC)’이라는 기술을 개발해 총 22종의 BCL2 단백질군 PPI 신호 검출 방법을 확립했다. 단분자 형광 이미징 기법을 활용한 이 기술은 약 3만개의 미량 세포 검체로부터 개별 PPI 신호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비슷한 수준으로 루카가 이미 꽤 복잡한 생명체로 진화한 상태였다는 뜻이다. 심지어
면역
계인 크리스퍼-캐스의 핵심 유전자도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미 바이러스와 '붉은 여왕의 경주'를 벌이고 있었다는 얘기다. 참고로 아르케아를 발견한 미생물학자 칼 우즈는 1977년 발표한 논문에서 ... ...
간암 유발 'C형간염' 내년 국가건강검진…"증상 없다고 얕보면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24.07.23
권 교수는 ”간경변, 간암 발생을 정기적으로 확인해야 한다“며 ”치료 후에도
면역
력이 생기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 재감염될지 모른다“고 설명했다. 이어 ”간염 바이러스 양성임에도 증상이 없고 간수치가 정상이라는 이유로 병원을 내원하지 않으면 위험하다”며 ... ...
단일세포서 분자 위치 정보 분석 기술 국내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국내 연구진이 단독으로 개발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며 “관심을 갖고 있는 뇌
면역
세포에 의한 뇌질환 치료를 위한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는 장재명 한국뇌연구원 연구원과 여승은 성균관대 교수가 제1저자로 참여했다. 연구는 국제학술지 ‘분석 화학회보' ... ...
미토콘드리아로 퇴행성 질환 제어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이중나선 RNA의 형성 및 조절 메커니즘을 밝혔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면역
계통 질환을 비롯해 다양한 퇴행성 질환의 발병 및 진행 과정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수진 KAIST 생명화학공학과 박사(現 보스턴 아동병원 및 하버드대 의대 ... ...
국가마다 다른 규제… 대마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2024.07.20
몸속에서 합성되는 물질로 칸나비노이드 수용체인 CB1, CB2와 결합해 기분이나 통증, 식욕,
면역
반응 등을 조절한다. 함 책임연구원은 "우리 몸에서 엔도칸나비노이드가 만들어지면 수용체와 만나 신경에 영향을 미치는데 보통 식욕이 올라가거나 통증이 억제되는 등의 반응이 나타난다"며 "일정 ... ...
염증성 단백질 없애자 쥐 수명 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인터루킨11(IL11)'에 주목했다. 인터루킨은 백혈구와 백혈구 사이에서 상호작용하는
면역
단백질의 일종이다. 인터루킨을 활용해 사람의 폐 조직에 흉터와 경직현상이 생기는 폐섬유화증 치료제를 개발하는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기도 하다. 쥐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 쥐의 노화가 ... ...
수컷이
면역
력 더 강한 이유, '단백질 활성화' 덕분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활성화 정도에 있음을 밝혀낸 중요한 연구”라며 “향후 인간을 비롯한 생명체의
면역
반응을 제어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오토파지’에 지난 4일 게재됐다 ... ...
공장형 축산업, 병원체 퍼지는 증폭기…팬데믹 유발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7
얼마든지 접근 가능하고, 가축들은 좁은 공간에서 스트레스를 받으며 머물기 때문에
면역
력이 약해지고 감염병에 취약해진다. 이처럼 감염병에 취약한 가축과 사람이 밀접 접촉을 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감염병 확산 위험이 높아진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집약적 축산 시설이 생물이나 환경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