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품종"(으)로 총 326건 검색되었습니다.
- [백개사전 05] 개밥남 강타가 키우는 ‘치와와’는 어떤 개?동아사이언스 l2017.05.28
- 문명 사람들이 작은 개를 식재료로 팔고 있다고요. 그만큼 치와와는 역사가 오래된 품종인 셈입니다. 여담이지만 그 시대에 치와와처럼 작은 개가 식용으로 이용됐다고 하니, 대체 뭘 먹었었는지 의문입니다. 개밥남에서 센과 비너스를 봐도 알 수 있겠지만, 치와와는 매우 활달한 개입니다. ... ...
- 4000년 전 이집트인이 먹은 인류 첫 발효빵은 어떤 맛?과학동아 l2017.05.26
- 고대의 빵을 재현하려면 우선 고대의 밀을 찾아야 한다. 당시 밀과 비슷한 품종이 지금도 있다. 국내서도 최근 ‘건강한 밀’로 유명한 호라산밀이다. 알레르기 위험이 있는 글루텐 함량이 적고 전분이 많아 칼로리가 낮다. 항산화물질인 셀레늄과 카로티노이드, 배변을 돕는 식이섬유도 많다. ... ...
- [백개사전 04] 맥시멈만 보면 으르렁, 강타의 반려견 ‘제이’는 국민 반려견 말티즈동아사이언스 l2017.05.21
- 쥐를 잡는 용도로 썼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확실히 말티즈와 함께 생활하면 이 품종이 매우 활발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람의 명령을 빠르게 알아듣고, 주인에 대한 애정을 과감하게 드러냅니다. 다만 이 애정이 과해 주인이 아닌 다른 것(사람 포함)에게 경계심을 드러낼 수도 있지요. ... ...
- [수(獸)페셜리스트] “동물계의 ‘김안과’가 될 겁니다”동아사이언스 l2017.05.17
- 동물병원이 동물계의 ‘김안과(유명한 사람 안과 병원)’가 되는 것. “품종이 타고나는 유전병 중 눈과 관련된 유전병이 상당히 많습니다. 반려동물의 눈에 이상이 생겼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수의사가 되고 싶습니다.” ※ 편집자주: 이가 아프면 치과, 눈이 아프면 안과, 배가 아프면 ... ...
- 불도그 VS 퍼그, 다른 점은?어린이과학동아 l2017.05.12
- ● 단두종, 이종교배 해야 한다? 코가 납작하고 얼굴에 주름이 많은 ‘단두종’은 자연 품종이 아닌 ‘교배종’이에요. 이러한 특징이 잘 나타나도록 사람들이 같은 종끼리 교배를 시킨 거죠. 하지만 근친 교배를 하면 유전적 다양성이 떨어져서 건강하지 않은 개가 태어날 확률이 높아져요. 실제로 ... ...
- [백개사전 02] ‘개밥남’의 에너지 담당, 아메리칸 불리 맥시멈은 강타네 집에 적응할까동아사이언스 l2017.05.09
- 합니다. 파란 눈동자는 유전적 문제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품종에 대한 이야기를 계속 하고 있습니다만, 사실 순종, 잡종 이런 것이 뭐가 얼마나 중요하겠습니까. 일단 주인을 찾은 맥시멈이 강타네 집에서 행복하길 바랄 뿐입니다. 소형견들이 균형을 이루고 살던 집에 ... ...
- [표지로 읽는 과학] 보리 유전체 해독 첫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7.04.30
- 종과 특성이 달라지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스테인 교수는 “유전자를 교정해 새로운 품종의 보리를 설계해 맛과 영양을 풍부하게 하거나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도록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 [백개사전 01] 귀여운 외모에 반전 매력, 개밥남 차우차우, ‘활짝’&‘피움’은 어떤 개?동아사이언스 l2017.04.29
- 마스티프(원조 사자개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와 사모예드(썰매개)의 잡종이 하나의 품종으로 자리 잡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크림색이나, 옅은 황갈색, 붉은색, 청회색, 검정색 등 털 색이 다양하고 억울한 표정과 같은 주름진 얼굴이 특징입니다. 항간에는 차우차우와 관련된 재미있는 이야기가 ... ...
- [수(獸)페셜리스트] “잘 놀던 개가 갑자기 공격성을 보였다면?”동아사이언스 l2017.04.23
- “그 품종은 그렇게 행동하라고 만든 품종”이라는 답을 들려준다. 하긴 사냥개로 품종개량 된 개에게 집안에서 얌전히 있으라고 요구하는 게 말도 안되는 일이다. 애초에 개를 선택할 때 운동량이 적어도 되는 개를 선택했어야 한다. “동물 행동을 개선할 때 저는 교육과 훈련을 구분해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2017.04.18
- 너무 써서 벌레들도 피한다) 인류는 육종을 통해 커커비타신을 덜 만드는 쪽으로 품종을 개량했다. 따라서 커커비타신에 민감한 유형의 쓴맛수용체를 지닌 사람은 오이를 싫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가장 유명한 예가 쓴맛수용체 TAS2R38이다. 일찍이 1930년대 화학자 아서 폭스와 유전학자 알버트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