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매, 매, 매운맛을 주세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피하기 위해 내뿜는 물질이다. 사람이나 동물은 갑자기 환경이 나빠지면 더 좋은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땅에 붙어 있는 식물은 항산화물질을 분비해 환경에 적응한다. 토마토의 붉은빛을 내는 ‘라이코펜’이나 블루베리의 푸른빛을 내는 ‘안토시아닌’ 등 항산화물질을 색소로 보유한 ... ...
- 과학 수사의 최전선, 겹친 지문을 분리하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기본적으로 물체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빛의 세기와 위상 정보를 저장한 뒤 원하는 곳에 마치 그 물체가 있는 것처럼 재생해 주는 기술이다. 위상은 쉽게 말해 빛의 진행 방향을 추측할 수 있는 정보가 담긴 빛의 특성이다. 따라서 빛의 세기와 위상을 알면 이미지의 형태를 재현할 수 있다. 조 ... ...
- [Origin]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 분자기계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만일 산성 조건에서는 A, 염기성 조건에서는 B의 전자 밀도가 더 높다면, 전자가 풍부한 곳을 선호하는 고리 분자는 산성 조건에서는 정류장 A에, 염기성 조건에서는 B에 위치하게 됩니다. 즉, 원하는 대로 스위치를 껐다 켜는 것처럼, 고리 분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죠. 사용자의 의도에 ... ...
- Part 2.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고등과학원에서 열리는 콜로키움에 참석했고, 삼성전자에서 대중 강연도 열었다. 가는 곳마다 구름 같은 인파가 몰렸다. 그 인기는 웬만한 노벨물리학상수상자도 따라잡을 수 없는 수준이었다. 건강한 사람도 물리학 이론을 발견하기 힘든데, 생존의 시간이 정해져 있다고 느끼는 불치병 환자가 ... ...
- Part 2. 수학, 과학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최대 관심사가 ‘생명’인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지요. 수학이 뛰어난 활약을 보이는 곳이 바로 생명과 관련한 분야예요. ‘수리생물학’이라고 하는데, 사람의 몸 안에서 일어나는 생명 현상뿐 아니라 의료, 유전, 전염병, 동물, 생태계 등 생명과 관련된 모든 분야에서 수학을 활용하지요 ... ...
- Part 1. 우주정거장이 추락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줄일 수 있어요. 달과 화성은 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력이 약해요. 그래서 이 두 곳에서 우주선을 발사하면 지구에서 발사할 때보다 힘이 덜 들거든요. 그럼 연료도 적게 쓰고 로켓의 크기와 무게도 줄일 수 있지요. 또 우주정거장은 먼 우주로 떠나는 여행자들이 잠시 쉬어갈 수 있는 휴게소가 될 ... ...
- Part 3. 우주에서 날아온 유성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걸쳐 쌓인 눈이 바람에 의해 깎여나가 푸른빛을 띠는 얼음만 남은 곳이에요. 지금까지 이곳에서 발견한 운석은 4만 개 정도로, 세계 전체에서 발견한 운석 수의 80%를 차지해요. 우리나라 연구팀도 지난 10년간 약 940개의 운석을 찾아 세계 5위의 남극 운석 보유국이 됐답니다. 지난 2014년에는 가로세로 ... ...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변화를 시각화했다. 사람이 어떻게 느낄지 한눈에 알 수 있게 중력이 큰 곳에 비해 작은 곳을 높게 표현한 것이다. 그 결과 면의 정중앙에서는 중력이 가장 크고 꼭짓점으로 갈수록 작아져, 마치 펼쳐놓은 보자기의 가운데를 아래로 꾹 누른 것 같은 형태의 3차원 그래프가 나타났다(아래 그림) ... ...
- [Future] DNA에 사진 담고 원자에 영화 담는 차세대 메모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배열한다. 마치 물(전류)이 돌(염소 원자)을 피해 흐르는 것처럼, 염소 원자가 없는 곳으로 전류가 흐르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연구진은 미국의 천재적인 이론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이 1959년 미국물리학회 정기총회에서 강연한 ‘바닥에는 여지가 많다(There’s Plenty of Room at the Bottom)’의 내용을 ... ...
- Part 5. 지금도 자라는 사춘기 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원초적 감정이 앞서기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편도체는 뇌에서 가장 깊숙한 곳에 자리한다. 주위의 위험을 알아차리고 자신을 보호하는, 생존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반면 사춘기가 돼서야 비로소 발달을 시작하는 전두엽은 어떤 일을 하기 전에 먼저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힘을 ... ...
이전2292302312322332342352362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