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과학동아 l2018년 03호
- 2001년에는 러시아 연구선 유즈모호를 타고 스코시아해를 가로 질러 웨델해 깊숙한 곳까지 들어가는 과감한 탐사도 진행했다. 해빙이 녹아 뒤로 물러나고 생물의 번성이 달라지는 과정을 지켜보려면 연구선에 탄 채 몇 달을 기다려야했지만, 이미 녹은 지 꽤 오래된 바다부터 얼음이 한참 남은 ... ...
- [교과연계수업] 얼음 위의 물리학, 컬링!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떠오를 거라고 생각해요. 동그랗고 묵직한 커다란 돌을 빗자루로 빙판을 쓸면서 원하는 곳에 옮기는 경기, 바로 ‘컬링’이에요. 컬링은 얼음 위의 체스라는 별명이 있을 만큼, 얼음 위에서 벌어지는 두뇌 스포츠라고도 하는데요, 오늘은 기사를 토대로 컬링이 어떤 경기인지 또 컬링에 숨어 있는 ... ...
- Part 3. 더욱 특별해진 동반자, 반려견 함께할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치료하자, 페페의 이상 행동도 멈췄어요. 이후에도 페페는 이상 행동을 반복해 암이 다른 곳으로 번졌다는 사실을 알리며 주인의 목숨을 구했답니다. 페페가 주인의 암을 알아챈 비밀은 바로 냄새에 있어요. 종양이 커질 때 특유의 휘발성 물질을 배출하는데 개가 이 냄새를 맡아 암을 탐지하는 ... ...
- [매스미디어] 블랙 팬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수트와 날카로운 손톱은 모두 비브라늄으로 만들어서 총알 정도는 거뜬히 막아내고 높은 곳에서 뛰어내려도 끄떡없다. 빠르게 회전하는 바퀴를 손톱으로 두부 썰 듯 자르는 장면을 보면 아이언맨의 수트나 울버린의 아다만티움보다 강력할지도 모른다. ○ ‘비브라늄’에 관한 토막지식!➊ ... ...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시험 기간 금지 게임, 미니 메트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좋다는 겁니다. 최적의 지하철 노선을 만드는 전략에 대한 이런 토론은 지금도 세계 곳곳의 온라인 공간에서 벌어지고 있습니다. 2017년, 블로그 사이트 메타필터에서 닉네임 ‘pwnguin’을 쓰는 유저는 워커의 글을 읽고 또 다른 전략을 내놓았습니다. 서울의 2호선처럼 순환하는 모양으로 노선을 ... ...
- Part 2. 장비‘빨’ 제대로 받자!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의족이 적절한 각도에서 멈추게 한다. 어떤 유체★에 압력을 주면 그 압력은 유체의 모든 곳에 똑같은 크기로 전달된다. 허벅지와 함께 움직이는 피스톤이 의족 무릎 속 기름을 밀면, 압력이 제동 장치까지 전달돼 의족의 속도를 서서히 줄인다. 유체★ 기체와 액체를 통틀어 이르는 말. 기체와 ... ...
- [실전! 반려동물] 왜 아무데나 오줌을 싸는 걸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개를 키우면 대부분 개가 화장실에서 똥을 누도록 훈련해요. 이때 개가 주로 생활하는 곳과 화장실이 떨어져 있어야 해요. 또 바닥에 물기가 있으면 개가 화장실에 들어가는 것을 싫어할 수 있어 바닥을 마른 상태로 유지해야 하지요. 만약 화장실이 맘에 들지 않으면, 개는 아무 데나 똥과 오줌을 눌 ... ...
- [영재교육원 탐방 2] 극단으로 간 영재들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첨단과학반은 국가 지원으로 부산대 과학영재교육원을 포함해 전국에서 단 세 곳의 영재교육원에만 추가로 개설된 반이다. 이 반에서는 순수자연과학과 더불어 첨단과학기술산업이나 의공학을 배운다. 그래서 이 반에 지원한 학생들은 드론, 인공지능 같은 4차산업 분야에 관심이 많다. 다른 팀과 ... ...
- Part 1. [5%] 우리가 아는 것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질량이 있는 모든 물체는 서로 잡아당기는데, 왜 우주에 떠 있는 천체들은 한곳으로 모이면서 쪼그라들지 않는지 궁금했다. 아인슈타인은 고민 끝에 우주에는 중력과 반대로 작용하는 미지의 힘이 있다고 결론지었다. 이 힘을 ‘우주상수’라 이름 짓고, 자신의 방정식에 넣어 쪼그라들지 않는 ... ...
- Part 4. [?] 모든 것의 이론이 있을까?수학동아 l2018년 03호
- 해석하면 우리는 10500개의 우주 중에 우리 우주의 모습을 만들어내는 암흑에너지를 가진 곳에 우연히 살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나머지는 무엇인가? 여기서 자연스럽게 우주가 여러 개라고 생각하는 ‘다중우주론’이 나온다. 우주가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 하나가 아니라 약 10500개의 우주가 ... ...
이전2322332342352362372382392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