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매, 매, 매운맛을 주세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피하기 위해 내뿜는 물질이다. 사람이나 동물은 갑자기 환경이 나빠지면 더 좋은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땅에 붙어 있는 식물은 항산화물질을 분비해 환경에 적응한다. 토마토의 붉은빛을 내는 ‘라이코펜’이나 블루베리의 푸른빛을 내는 ‘안토시아닌’ 등 항산화물질을 색소로 보유한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Sox9는 뼈를 만드는 데 꼭 필요한 유전자입니다. 배아 발달 중 팔과 다리가 생성되는 곳이 바로 ‘팔 다리싹(limb buds)’이라는 부분인데요. 인간 배아의 경우, 수정 후 약 4~5주가 지나면 몸통에서 팔다리가 생길 부분이 뭉툭하게 솟아오릅니다. 이 부분을 팔다리싹 이라고 부릅니다. 유전자 변형 기술을 ... ...
- 움직임을 지배하는 운동의 법칙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밀물과 썰물을 만든다. 공기 중의 수증기가 비 또는 눈의 형태로 지표에 떨어져 낮은 곳으로 흐르며 오랜 기간에 걸쳐 지표를 변화시키는 원동력 역시 중력이다. 사람의 귀에는 중력을 감지해 평형을 유지하는 전정기관이 있다. 대부분의 동물은 다리로 몸을 지탱하며 식물의 뿌리는 중력을 감지해 ... ...
- Intro. 매스토랑, 수학 담긴 요리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수학이 담겨 있다면 믿으시겠습니까? 매스토랑에서는 다른 곳에서 볼 수 없는 기상천외하고 독특한 방식으로 요리합니다. 매스토랑 음식이 마음에 든다면 집에서도 즐겨보세요. 수학적 알고리듬을 이용한 배달 서비스로 신선한 재료를 신속하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유명 요리사 실력을 갖춘 로봇 ... ...
- Part 3. 집에서도 즐기는 인생맛집수학동아 l2018년 04호
- CES에서 최고상을 수상한 몰리는 바로 올해부터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이제 맛집 찾아 먼 곳까지 갈 필요가 없어요! 후식이 필요하다고요? 식사를 마친 뒤 마시고 싶은 커피를 선택하면 신속하게 커피를 만들어주는 바리스타 로봇도 있습니다. 주문이 들어오면 바리스타 로봇은 로봇팔로 컵을 잡고 ... ...
- Part 3. 블랙홀의 모습을 관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존재를 확인해 왔어요. 지난 2017년 4월, 블랙홀을 실제로 관측하기 위해 전 세계 34곳의 대학교와 천문대의 과학자 100여 명이 힘을 합쳤어요. 미국과 칠레, 멕시코 등 전 세계에 위치한 전파망원경 8대가 동시에 지구로부터 3만 5000광년 떨어져 있는 우리은하 중심 블랙홀 ‘궁수자리A*’를 관측했지요 ... ...
- Part 1. 남극에서 보물을 찾는 사람들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남북호가 남극해에서 처음으로 새우를 닮은 동물플랑크톤인 크릴을 잡고, 해양 곳곳을 조사했지요. 이후 1985년 11월 한국해양소년단연맹이 조직한 ‘한국남극관측탐험단’이 우리나라 최초로 남극 땅을 밟는 데 성공했답니다. 이들은 남극 최고봉인 빈슨 매시프에 오르고, 칠레 프레이기지와 중국 ... ...
- 독성물질 보툴리눔, 염기서열 분석 의무화 해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휴젤, 메디톡스, 대웅제약, 휴온스그룹 등 보툴리눔 독소를 상용화한 기업만 네 곳이며, 보툴리눔 균주를 발견했다고 신고한 기업은 10여 개에 이른다. 바꿔 말하면 우리나라의 보툴리눔 균주 관리 체계가 그만큼 허술하다는 의미다. 현재 국내에서 보툴리눔 균주 관리에 관여하는 부처는 4개다. ... ...
- [Issue] 중국이 옮길 혁신이라는 산(山)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대대손손 한 우물을 파온 우공 가(家)의 꾸준함에 감동한 신은 직접 나서 산을 다른 곳으로 옮겨준다. ‘우공이산’은 이처럼 꾸준히 노력한 사람이 마침내 큰일을 이룰 수 있다는 뜻의 성어다. 우공의 목표가 산을 옮기는 것이었다면, 중국 과학기술 발전의 최종 목표는 ‘혁신’이다. 2030년 ... ...
- Part 5. 지금도 자라는 사춘기 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원초적 감정이 앞서기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편도체는 뇌에서 가장 깊숙한 곳에 자리한다. 주위의 위험을 알아차리고 자신을 보호하는, 생존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반면 사춘기가 돼서야 비로소 발달을 시작하는 전두엽은 어떤 일을 하기 전에 먼저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힘을 ... ...
이전2302312322332342352362372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