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d라이브러리
"
분자
"(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향기속에 살다간 후각의 천재들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각자의 고유한 냄새를 갖고 있다. 우리가 주위에서 맡는 냄새는 대부분 수백가지 냄새
분자
들의 혼합물이다. 어네스트 보같은 ‘후각의 천재’를 제외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냄새의 인상은 얼마 지나지 않아 의식 저편으로 사라져버린다.그러나 어느날 문득 코끝을 스치는 냄새가 잊은 줄만 알고 ... ...
만약 전자의 스핀이 0으로 된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모든 전자들이 가장 낮은 에너지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어떤 수의 원자를 모아 놓아도
분자
를 이루게 될 것이다.그리고 광자로 만드는 레이저뿐만 아니라 전자로도 레이저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전자는 질량이 있기 때문에 전자로 레이저를 만들 경우에는 훨씬 큰 출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
③ 양자이론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바로 주기율표다.하이틀러와 론돈은 처음으로 화학결합의 양자이론을 완성했다. 수소
분자
를 비롯해서 원자들의 공유결합과 이온결합의 성질이 분명하게 밝혀졌다. 폴링은 양자이론을 여러 화학이론에 적용해 화학의 양자혁명을 일으켰다(그림2, 그림3). 전통적인 분야도 여전히 활발히 연구되고 ... ...
짧은 파장을 얻으려는 시도에서 출발한 레이저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계속 강화돼 일정한 빔의 형태로 집중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또 타운스는 암모니아
분자
가 높은 에너지 준위에서 낮은 에너지 준위로 내려올 때 1.25cm의 마이크로파를 내놓는다는 점에 주목했다. 만약 암모니아가 이 마이크로파를 흡수하면 다시 높은 에너지 준위로 올라갔다가 내려오면서 처음보다 ... ...
만약 30억개 염기쌍이 흩어져 있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어떤 반응이 일어날 때 그것이 박테리아에서 일어나는지 사람의 몸에서 일어나는지,
분자
들이 알 방법도 상관할 이유도 없기 때문이다.박테리아의 4천에 비해 사람의 유전자 수는 대략 8만이라고 한다. 8만대장경의 경판 수와 비슷한 숫자다. 그러니까 유전자 숫자 면에서, 다시 말해서 필요한 ... ...
피아노 도와 바이올린 도가 다르게 들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생각해보자.물결이 일면 물결의 높이와 파장,파동의 모양이 진행해 나가는 속도,물
분자
의 상하 진동수 등을 생각해볼 수 있다.파의 운동이 공이 시계추의 운동과 비교해서 복잡하게 보이는 이유는 파의 형태가 시간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위치에도 의존하기 때문이다.여기에서 비롯되는 ... ...
만약 양성자가 중성자보다 무거워진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요소가 되지 않을 것이다. 왜냐 하면 물
분자
내의 수소원자도 없어지므로 더 이상 물
분자
가 존재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과학의 인류학적 원리더 근본적으로 살펴보자.우리 우주는 약 1백억년에서 1백50억년 전쯤에 대폭발이 일어나 팽창을 계속하고 있다.대폭발이 일어난 직후 팽창을 계속할 때 ... ...
미국인의 과학지식 수준 기대 이하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원리에 대한 일반인의 이해가 수년 전에 비해 그다지 나아진 바가 없다고 전한다. 특히
분자
나 DNA 등의 기초적인 용어나 개념에 대해서는 2/3 이상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일반인의 과학지식 수준이 심각한 것으로 밝혀졌다.하지만 미국인들은 대부분 과학적 발견과 진보에 ... ...
Ⅳ. 우주의 시작과 끝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이용해 항성 대기에서 성간 물질을 거쳐 새로운 별이 만들어지는 순환 과정에서 유기
분자
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연구함으로써 생명의 기원에 한반짝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21세기 초반 천문학의 특징은 적외선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더욱 멀리 있는 ... ...
생명의 기원은 바다가 아닌 대기?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이 이론을 통해 세포막이 어떻게 형성됐는지, 간단한 유기
분자
가 어떻게 크고 복잡한
분자
로 결합됐는지와 같이 그동안 생명의 기원 문제에 남아있던 질문들을 해명할 수 있는 새로운 계기가 마련됐다는 게 일반적인 반응이다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