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d라이브러리
"
분자
"(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약 양성자가 중성자보다 무거워진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요소가 되지 않을 것이다. 왜냐 하면 물
분자
내의 수소원자도 없어지므로 더 이상 물
분자
가 존재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과학의 인류학적 원리더 근본적으로 살펴보자.우리 우주는 약 1백억년에서 1백50억년 전쯤에 대폭발이 일어나 팽창을 계속하고 있다.대폭발이 일어난 직후 팽창을 계속할 때 ... ...
은하수 속의 발광성운과 암흑성운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B33을 붙이듯이 암흑성운에는 버나드를 뜻하는 B가 번호 앞에 붙게 됐다.암흑성운은 수소
분자
가 주성분이고 1%정도의 성간먼지가 포함된다고 알려져 있다.성간먼지는 별빛을 산란·흡수하기 때문에 암흑성운을 통과하는 별빛은 어두워지고,푸른빛이 대부분 산란돼 붉은색을 띠게 된다.그래서 보통 ... ...
Ⅱ. 우주의 모든 신호를 잡아라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12m안테나 64대를 배열해서 만다는 초대형 구경합성망원경인데,아주 먼 초기 우주에서의
분자
선 관측을 통해서 은하의 형성과 진화에 관한 연구를 하게 된다.다른 지역에서 동시 관측좀 더 높은 분해능을 얻기 위해서 고안된 방법이 초장기전 전파간섭계(VLBI)이다.VLBI에서는 같은 시간에 같은 관측 ... ...
드라이 아이스 로켓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옷장 속의 나프탈렌이 점점 작아지거나 겨울철 유리창에 성에가 끼는 현상 등이 예다.
분자
는 열을 받으면 부피가 커진다. 고체 이산화탄소가 승화하면 필름통 속에는 넓은 부피를 차지하는 기체 이산화탄소가 가득찬다. 시간이 지나면서 필름통속이산화탄소의 부피가 증가하면 이산화탄소가 ... ...
Ⅳ. 우주의 시작과 끝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이용해 항성 대기에서 성간 물질을 거쳐 새로운 별이 만들어지는 순환 과정에서 유기
분자
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연구함으로써 생명의 기원에 한반짝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21세기 초반 천문학의 특징은 적외선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더욱 멀리 있는 ... ...
만약 이산화탄소가 물에 녹지 않는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분자
가 아닌 여러
분자
가 결합된 거대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그리고 보니 모든 생체
분자
가 탄소를 사용하는 것은 우연한 일이 아니다.물론 탄소가 4개의 결합을 이루어 다양한 화합물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그러나 같은 족의 실리콘도 4개의 결합을 이룬다.그렇지만 외계에 ... ...
2. 기능 없는 97% DNA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혈액의 구성성분으로서 4개의 글로빈
분자
가 모여 헤모글로빈을 만들게 된다. 이때 4개의
분자
중 2개는 ‘알파-글로빈’(α-globin)이고 다른 2개는 ‘베타-글로빈’(β-globin)이다. 알파, 베타 글로빈은 서로 다른 염색체에서 유사한 유전자들과 함께 그룹을 이루고 있다. 그런데 염기서열을 분석해보면 ... ...
원자와
분자
로 글씨를 쓴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있다.실험실에서 산소
분자
를 움직여 글자를 만들기도 한다.반도체에서 메모리 소자를
분자
나 원자 크기로 사용하면 반도체의 집적능력도 매우 커지게 된다.그래서 반도체 분야에서도 나노물질을 연구 중이다.이런 물질 가운데 탄소나노튜브가 있다.1991년에 일본의 이지마 박사가 처음으로 발견한 ... ...
가능성 보여준 양자 원격이동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수소 핵에 완벽하게 복제하는 실험이 성공했다.이 경우에도 원래
분자
와 복제된
분자
사이의 거리는 불과 1nm,즉 ${10}^{-9}$m정도에 불과했다.이 실험은 원격이동과는 사뭇 거리가 있지만,양자 원격이동의 완벽한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이미 양자 원격이동에 얽힘 상태의 중요성은 ... ...
현상공모 유전자 개수를 맞춰라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밝혀진 모델생물의 전체 게놈의 비교, 그리고 일부 인간 염색체를 통해 이뤄졌다. 독일
분자
생물공학 연구소의 로젠탈 박사는 본문에서 설명한 것처럼 염색체 21번과 22번의 유전자 개수를 이용한 계산으로 사람의 유전자는 4만개 이하가 될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러한 수치에 대해 과학자들은 생물의 ... ...
이전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