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d라이브러리
"
안
"(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뷰. 한국 최고의 데이터분석관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수 없습니다. 그래서 실시간으로 분석해 자료를 종이로 전달하지요. ‘기기’ 반입만
안
되니 기기로 만든 결과물은 줘도 되니까요. 이처럼 저는 데이터를 보고 분석해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사실 경기 전 연습할 때 말고 긴박한 경기 상황에서는 얼마나 참고하는지 모릅니다. 현장의 감이라는 ... ...
신용현|국회의원이 된 과학자, 과학 현장의 목소리를 높이다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받지 못하는 상황을 보고 ‘나라도 나서야겠다’고 마음을 바꿨다. 그리고는 2년도
안
돼 바른미래당 수석대변인으로 임명됐다. 정치에 타고난 능력이 있었던 걸까. 그의 마지막 말에는 그가 가진 파워의 힌트가 있었다. “과학자의 언어와 정치인의 언어는 조금 다른 것 같아요. 과학자들은 70~80% ... ...
[화보] 신비한 생명이 가득! 2018 야생 사진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바다 위로 자욱하게
안
개까지 피어 있어서 꿈속의 한 장면처럼 보이기도 해요. 이
안
개는 사막에 사는 식물과 곤충들에게 수분을 공급하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답니다. 사막을 지키는 기괴한 식물 | 아프리카 나미브 사막에 있는 ‘웰위치아’라는 식물의 모습이에요. 이 식물은 사막에 있는 ... ...
[쇼킹 사이언스] 외계인의 흔적일까?! 깊은 숲 속 미스터리 서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안
쪽 나무가 훨씬 덜 자란 거예요. 실험은 2024년까지 계속될 예정이에요. 남은 5년 여 동
안
연구팀은 나무의 성장 속도가 달라진 까닭을 조사할 계획이랍니다. ● 인터뷰 - “더욱 좋은 나무를 효율적으로 얻고 싶어요!” 타다시 노베(일본 규슈산림관리국 미야자키 남부 산림관리서 차장) Q ... ...
한국 인공태양 완공 10년, 1억 도로 타올랐다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삼중수소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면 방사선이 발생하는데, 원자력규제기관의 방사선
안
전 규제를 충족해야 반응을 할 수 있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실제로 중수소-삼중수소로 핵융합 반응을 실험할 수 있는 현존 장치는 유럽의 상전도 토카막인 ‘JET’가 유일하다. 1983년 완공된 JET는 강한 자기장으로 ... ...
'약밍아웃' 통해 본 스테로이드 부작용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그는 이를 ‘공장’에 비유해 설명했다. 20대 이후 성호르몬을 생산하는 공장이 몸
안
에 생성된 이후에 약물을 투약하면 공장이 일시적으로 문을 닫게 되지만, 10대에 약물을 투약하면 이런 공장이 아예 세워지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임 교수는 “약물을 일찍 시작할수록 근육량은 더 빨리 ...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전체에 광학필름을 배치할 경우 빛의 이동 통로를 설계하는 게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다.
안
박사는 “광학필름 방식이 대면적화에는 가장 불리할 것으로 예상 된다”며 “대면적화와 함께 휘어지는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 위한 지문인식 센서 기술이 더 축적돼야 한다”고 말했다 ... ...
3D프린팅, 나노세계로 줄이거나 조각하거나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가장 작은 단위인 근원섬유(Myofibril)를 수백nm 크기의 구조물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안
교수는 “현재 이 구조물의 성능을 검증하고 있다”며 “사람의 근육을 대신하는 기본 구조물 제작 등 의료용 연구에 3D 나노-마이크로 프린팅 기술을 계속 적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이달의 책] 주변을 둘러봐 과학은 어디에나 있어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단점이라면 단점일까.칠순이 넘은 나이에도 왕성하게 작품 활동을 이어가는 저자는 그동
안
휴고상 11회, 네뷸러상 7회, 로커스상 12회 등을 수상해 역사상 가장 많은 SF 문학상을 받은 작가로 꼽힌다 ... ...
[융복합@파트너@DGIST]정보통신융합전공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않는 서버 내 관제시스템에 운행 권한을 넘기면 된다”며 “이 관제시스템이 평소보다
안
전한 속도로 열차를 운행하면 추돌 사고를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자율복원 기술은 무인열차 외에도 실시간 통신으로 제어가 필요한 자율주행자동차와 드론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박 교수는 “각 기술의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