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환경"(으)로 총 8,881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모기 박멸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모기 박멸 프로젝트Part 1. 번번이 놓치는 모기, 잡기 어려운 이유는?Part 2. 시민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Part 3. 유전자 변형 기술로 모기 박멸을 꿈꾸다! ...
                            
 
                        
                        
                                            
                                                            
                                                             - Part 2. 시민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모기를 잡아요. 이때 모기를 채집한 시간과 온도 등의 정보를 기록하면, 모기가 좋아하는 환경 등에 대해 알 수 있어요.이후에는 모기의 피 속 유전자를 분석하는 일이 이뤄져요. 이를 통해 모기의 종류와 모기가 피를 빤 동물, 잠복 병원균 등의 정보를 알 수 있지요. 연구팀은 이 정보를 바탕으로 ... ...
                            
 
                        
                        
                                            
                                                            
                                                             - [과학뉴스] 스스로 물 정화하는 초소형 로봇, 야누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또 야누스가 수명을 다하면 자석을 이용해 손쉽게 물 밖으로 꺼낼 수 있기 때문에 환경을 오염시킬 걱정도 없어요.앞으로 이 입자 로봇을 이용하면 오염된 물을 화학물질 없이 깨끗하게 정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답니다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센터도 둘러봤어요. 애벌레와 곤충 500여 종(약 13만 개체)의 표본이 썩지 않도록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고 있었답니다. 애벌레는 한 가지 식물만 먹는 ‘스페셜리스트’다양한 종의 애벌레를 관찰하면서 한 가지 특이한 사실을 알 수 있었어요. 애벌레들은 작은 나뭇잎에 머물며 갉아 먹고 있었는데, ... ...
                            
 
                        
                        
                                            
                                                            
                                                             - Part 2. 얕보면 큰코다친다! 센 종이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플라스틱이 돼요. 기존 플라스틱과 강도는 비슷하면서도 자연 재료를 이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답니다.칼날 같은 종이의 위력!◀ 종이의 날카로움을 이용한 종이 면도기도 있다.우리는 가끔 약해 보이는 종이에 손을 베기도 해요. 어떻게 이게 가능할까요?보통 종이의 두께는 약 0. ... ...
                            
 
                        
                        
                                            
                                                            
                                                             - [과학뉴스] 뜨거운 태양 아래서 식물이 화상을 입지 않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자세히 알 수 없었지요.최근 영국 엑서터대학교 닉 스미노프 교수팀은 강한 빛이 나오는 환경에 식물을 두고, 형광색 단백질을 입힌 과산화수소가 어떻게 이동하는지 현미경으로 관찰했어요. 그 결과 강한 빛을 받은 지 1시간 가량 지나자 과산화수소가 식물의 세포핵으로 이동하고, 이후 세포핵에서 ... ...
                            
 
                        
                        
                                            
                                                            
                                                             - [현장취재➋] 드론으로 미세먼지를 잡아라! 더스트 버스터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날이었지만 생각보다 다양한 화학 성분들이 발견됐지요.신관우 교수는 “앞으로 대기 환경 조건에 따른 높이별 미세먼지 성분을 꾸준히 분석할 계획”이라고 밝혔어요.높이별 미세먼지 성분을 밝히면 발생 원인을 밝히는 데 큰 도움이 될 거예요. 앞으로 더스트 버스터즈의 활약이 계속 이어지기를 ... ...
                            
 
                        
                        
                                            
                                                            
                                                             - Part 3. 유전자 변형 기술로 모기 박멸을 꿈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먼저 유전자 변형 모기를 찬성하는 과학자들은 살충제 없이 해충을 박멸할 수 있어 환경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해요.하지만 이에 반대하는 과학자들은 아직 유전자 변형 기술을 적용한 모기가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잘 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자연에 푸는 건 시기상조라고 경고하죠. 또 ... ...
                            
 
                        
                        
                                            
                                                            
                                                             - [지사탐 우수 대원 소개] 곤충사업가를 꿈꿔요! 열혈 신규대원 ‘알럽곤충’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저는 연구하고 싶은 곤충이 보이면 관찰하기 위해 집으로 가지고 와요. 곤충의 서식 환경과 비슷하게 채집통을 꾸며 주고, 돋보기로 관찰하며 연구 보고서를 작성해요. 직접 그림을 그리는 것도 관찰에 도움이 되더라고요. 참! 관찰한 곤충은 다시 꼭 자연으로 돌려보내 줘요.디엘 대원의 꿈은 ... ...
                            
 
                        
                        
                                            
                                                            
                                                             - Part 3. [미션 1] 코로나의 수수께끼를 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태양 내부의 열을 코로나에 전달한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한국천문연구원 태양우주 환경그룹 김연한 연구원은 “전자레인지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파가 물 분자를 진동시켜서 음식을 데우는 것처럼, 태양에서도 파동이 코로나 입자를 가열시킨다는 이론”이라며, “실제로 관측을 통해 태양에서 ... ...
                            
 
                        
                        
                                         이전2342352362372382392402412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