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환경"(으)로 총 8,88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마찰력의 비밀] 조심 또 조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물로 마찰 줄이고, 짜릿함은 높이고!워터슬라이드는 물이 흐르는 미끄럼틀이에요. 물이 몸과 미끄럼틀 사이에서 마찰력을 줄여 속도를 더욱 높여 주지요. 물이 흐르는 워터슬라이드의 마찰은 물 없이 탔을 때보다 33분의 1 정도로 줄어들어요. 따라서 일반 미끄럼틀을 탔을 때보다 더 큰 짜릿함을 느 ... ...
- Part 5. [미션 임파서블] 태양열을 견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흠…. 파커 솔라 프로브가 중요한 임무를 맡았군. 하지만 내 비밀을 알아내려면 일단 나에게 가까이 와야 할 걸! 나는 엄청 뜨겁다고~! 도대체 어떻게 나에게 온다는 거야? ◀ 탐사선의 열 보호막(위)과 태양 전지판 냉각 시스템(아래)을 조립하는 모습.7번 금성과 만나면서 태양에 더 가까이!파커 솔 ... ...
- Part 3. [미션 1] 코로나의 수수께끼를 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태양 내부의 열을 코로나에 전달한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한국천문연구원 태양우주 환경그룹 김연한 연구원은 “전자레인지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파가 물 분자를 진동시켜서 음식을 데우는 것처럼, 태양에서도 파동이 코로나 입자를 가열시킨다는 이론”이라며, “실제로 관측을 통해 태양에서 ... ...
- Part 2. [물의 비밀] 오줌은 절대 안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깨끗한 수영장, 염소가 책임진다!인공 파도풀에서 놀다 보면 원하지 않아도 수영장의 물을 먹게 돼요. 또 피부와 머리카락, 각막 등 몸 이곳저곳이 물에 직접 닿기 때문에 수영장 물은 항상 깨끗하게 관리돼야 하지요.그래서 인공 파도풀을 포함한 수영장을 지을 때는 물을 깨끗하게 정화할 수 있는 ... ...
- [지사탐 우수 대원 소개] 곤충사업가를 꿈꿔요! 열혈 신규대원 ‘알럽곤충’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저는 연구하고 싶은 곤충이 보이면 관찰하기 위해 집으로 가지고 와요. 곤충의 서식 환경과 비슷하게 채집통을 꾸며 주고, 돋보기로 관찰하며 연구 보고서를 작성해요. 직접 그림을 그리는 것도 관찰에 도움이 되더라고요. 참! 관찰한 곤충은 다시 꼭 자연으로 돌려보내 줘요.디엘 대원의 꿈은 ... ...
- Intro. 미션 임파서블, 펄펄 끓는 태양을 탐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어과동 친구들 안녕? 나는 여름의 상징, 이글이글 불타오르는 태양이야. 그동안 지구인들은 내 비밀을 알아내려고 열심히 연구해왔어. 하지만 내가 너무 뜨거워서 가까이 다가올 수가 없었지. 그런데 얼마 전, 지구인들이 내게 도전장을 내밀었어. 내 표면 가까이 탐사선을 보낸다는 거야! 과연 성공 ... ...
- Part 2. [새 탐사선] 파커 솔라 프로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크~, 그동안 지구인들은 나를 관측하려고 눈물겨운 노력을 했군. 인정해. 하지만 아직 내 발 끝에도 다가오지 못했다고! 그런데 도대체 이번엔 어떤 탐사선이 얼마나 가까이 온다는 거야?파커 솔라 프로브, 태양에 가까이 더 가까이!지난 5월 31일, NASA는 새로운 태양 탐사선 프로젝트를 발표했어요. ... ...
- Intro. 오줌은 NO, 안전은 OK! 수영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여름이다! 고향이 남극인 난 벌써 더워서 숨이 막힐 것 같아. 그래서 더위를 피해 수영장에 놀러왔지. 물로 깨끗이 씻은 뒤 수영복과 수영모자, 수영 안경까지 쓰고 드디어 수영장으로 입장!워터슬라이드를 타고 수영장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는 순간, ‘삑-!’ 안전 요원이 호루라기를 크게 부는 거야 ... ...
- Part 1. [파도의 비밀] 노란선은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인공 파도풀에는 잔잔한 파도가 치고 있었어. 별로 위험해 보이지 않다고 생각할 즈음, ‘부우~’ 하는 뱃고동 소리와 함께 집채만 한 파도가 밀려오기 시작했어! 안전 요원은 파도를 타러가는 나를 향해 외쳤어.“삑~! 노란선은 위험해”●인공 파도풀: 인위적으로 파도를 만들어 도심에서도 바 ... ...
- [과학뉴스] 버려지는 양파껍질로 전기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민감했고, 여섯 개의 장치를 이용해 LED 전구 73개의 불을 밝힐 수 있었다. 김 교수는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자연 원료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발전 소자를 개발했다”며 “웨어러블 기기 등 차세대 기기의 에너지 공급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16/j.nanoen.2017.10.04 ... ...
이전235236237238239240241242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