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3,644건 검색되었습니다.
배꼽은 사람 몸을 황금분할한다.
과학동아
l
200006
많은 사람이 이 말에 동의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렇다면 주변 사람들의 인체 비례를
측정
해 보는 것은 어떨까. 뉴욕시에 살고 있는 롱크(F. A. Lonc)는 여자 65명의 키와 배꼽까지의 높이를 재서 이를 확인했다고 한다. 그는 여자의 키를 배꼽까지의 높이로 나눈 값의 평균이 1.618이었다고 발표했다 ... ...
3. 우리은하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과학동아
l
200005
은하보다 10배 큰 모형이었다.1920년대 초반 린드블레드는 구상성단의 시선속도를
측정
해 우리 은하가 적어도 2백50km/초의 속도로 회전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별들은 은하계 중심에 대해 약 2백-3백km/초의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우리은하의 모양이 원반처럼 생겼다고 결론을 내렸다.한편 193 ... ...
1. 비눗방울 표면에 붙어있는 은하
과학동아
l
200005
밝기를
측정
하는 측광학적 방법으로도 어두운 은하의 적색이동을 간접적으로
측정
할 수 있다.허블딥필드에서 비교적 밝은 은하수백 개에 대해 필자의 연구진이 측광학적 방법을 이용해 최근에 구한 적색이동 결과가 (그림4)에 있다.(그림4)는 대부분의 은하들의 적색이동이 2보다 작은 지역에 ... ...
Ⅰ. 과학교과서를 버려라 : ③ 교실을 국립민속박물관으로 옮겨보자
과학동아
l
200005
용어도 달랐다. 그러나 조선시대의 척도기준이 되며, 도로의 거리, 측우기의 강수량
측정
등 과학기기의 표준 잣대라는 점에서 중요하다.황종척은 도량형의 중요성을 인식한 세종대왕이 도량형을 정비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세종 7년, 박연이 황해도 해주에서 생산되는 기장(좁쌀보다 조금 큰 낟알) ... ...
만약 산소 반응성이 두배 높아진다면?
과학동아
l
200005
초반 돌턴의 원자설과 아보가드로의 분자설이 나오고 화합물에 들어있는 원소의 성분이
측정
되면서 원소들이 어떤 규칙에 의해 결합한다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다. 예를 들면 산소는 항상 양손을 사용해서 두개의 결합을 이루고, 수소는 한 손은 주머니에 찔러 넣었는지 항상 한 손만 가지고 ... ...
Ⅰ. 과학교과서를 버려라 : ① 과학시간에 SF영화를 보자!
과학동아
l
200005
세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설계해본다. 또 충격파의 세기를
측정
할 수 있는 방법 등을 탐색해본다.5 의사결정이 필요한 상황을 가정하고 다양한 인물의 입장을 대변다른 SF영화들과 마찬가지로 아마겟돈과 딥임팩트에서도 다양한 의사결정 상황이 존재한다. 영화에서 ... ...
측우기·수표·풍기죽
과학동아
l
200005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경험법칙들이 있다. 하지만 이런 바탕에는 우리 조상들의 기상을
측정
하고 통계를 내서 경험을 과학화하려고 했던 과학적 사고방식이 자리하고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 ...
1. 태양계의 행성에 다다른 우주선들
과학동아
l
200004
8월 7일과 7월 24일까지 4천5백장 이상의 사진과 화성 표면의 온도, 대기의 밀도, 바람 속도
측정
및 화성 토양 분석 등 수많은 과학적인 실험을 전개해 중요한 결과를 지구로 보내주었다.값싸게 좋게 빠르게1980년대 이후 미국은 우주개발 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값싸게, 좋게, 빠르게’(the ... ...
만약 빛의 속도가 아주 느려진다면?
과학동아
l
200004
움직이는 물체의 길이는 어떻게
측정
해야 할까.답은 물체 양쪽끝의 위치를 동시에
측정
한 후 그 위치의 차이를 구하면 된다.앞에서 설명하였듯이 동시성이라는 것이 서로 다른 속도로 움직이는 사람들에게는 항상 같지 않다는 것을 기억하면 서로 움직이는 관측자에게는 적어도 길이가 다를 ... ...
가장 좋은 자·가장 좋은 음악
과학동아
l
200004
각 음 사이의 진동수 비율에 따라 다른 음들을 만들 수 있다.하지만 진동수를 기계적으로
측정
할 수 없었던 전통시대에 진동수 비례에 따라 정확히 일치하는 음 간격을 어떻게 만들수 있었을까.우리 조상들이 진동수를 모르고도 순전히 귀에 들리는 음감만으로 만들어낸 진동수 비례법칙이 바로 ... ...
이전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