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3,644건 검색되었습니다.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
과학동아
l
200001
커다란 오해다. 앞서 말했듯이 설치된 시계의 수평을 정확히 맞추고 위도를 정확히
측정
해서 영침을 정북극에 맞추었다면 앙부일구처럼 정확한 시계가 더 이상 있을 수 없다. 시간이 틀린 원인은 오늘날의 시간이 표준시를 쓰기 때문이지 해시계가 부정확해서가 아니다. 잘 알다시피 세계는 ... ...
사람 X선 촬영에 성공한 뢴트겐
과학동아
l
200001
음극선연구가 더욱 활발해지면서 1897년 영국의 톰슨은 음극선의 전하량과 질량의 비를
측정
하는데 성공했다. 이를 계기로 음극선의 입자성(=빛의 입자성)이 강력하게 부각됐다.음극선의 입자성 발견은 20세기에 상대성이론이 출현되는 중요한 계기가 됐고,이어 X선의 본성에 대한 논쟁과정에서 '빛이 ... ...
지구관측위성 아리랑1호
과학동아
l
200001
정도를 조사할 수 있다. 순수과학실험용인 이온검출기는 우주의 이온이나 방사선을
측정
하는 장비다. 아리랑 1호의 수명은 3년. 선진국의 65% 수준 아리랑 1호의 발사로 우리나라는 7개의 위성을 보유하게 됐다. 현재 8개 이상 위성을 보유하고 있는 나라는 13개국. 최소한 10위 안에 들려면 캐나다가 ... ...
아름다운 방정식, 아름다운 자연
과학동아
l
200001
시합을 할 때, 아무 때나 편한 시각을 출발시각, 즉 0초로 선택한다. 아무도 출발시각을
측정
하기 위해 우주 태초의 순간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없다. 자를 써서 물체의 길이를 잴 때에도 길이의 출발점 또는 원점을 내 맘대로 정할 수 있다. 적기의 출현을 알리는 비상경보에서 ... ...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
과학동아
l
199912
라고 한다. 한편 너무나 멀리 떨어져 있는 별은 연주시차조차도 너무 작아 거리를 정확히
측정
할 수 없다. 연주시차를 이용해 잴 수 있는 별의 거리는 약 3백광년 이내이다.백조자리 61번별은 처음으로 연주시차를 이용해 거리를 잰 별로 유명하다. 1838년 독일의 천문학자 베셀은 40m 앞에 있는 한 올의 ... ...
실험실에서 블랙홀 만든다
과학동아
l
199912
수 없었다는 것. 과학자들은 모의별의 내부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스펙트럼의 강도를
측정
해, 실제 별들을 관측해 얻은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그 별의 상태를 정확하게 해석하고자 하는 것이다.그러나 이 실험에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다. 천체 물리학적인 이론을 검증하는 것도 좋지만 실험 도중 ... ...
일찍 일어날수록 기분이 나빠진다?
과학동아
l
199912
하루 8회씩 지원자들의 침을 모아, 침 속에서 스트레스 유발 호르몬인 코티솔의 함량을
측정
했다.실험 결과 흥미롭게도 코티솔의 함량이 늦게 일어나는 그룹보다 일찍 일어나는 그룹(7시 21분 이전)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 한번 높아진 수치는 하루종일 계속됐다. 클로우 교수는 10주 동안 이 실험을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레이저포 개발
과학동아
l
199912
정도밖에 퍼지지 않는다. 실제로 과학자들은 레이저를 이용해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를
측정
하고 있다.또다른 특성은 공간의 아주 작은 지점에 빛에너지를 강력하게 보낼 수 있다는 점이다. 보통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레이저와 렌즈만을 사용해도 태양 표면에서의 빛의 세기 정도까지 강한 빛을 ... ...
오리온과 함께하는 겨울의 대육각형
과학동아
l
199912
1.3등급에서 0.4등급까지 변하는 베텔규스는 1920년 마이컬슨이 간섭계로 별의 지름을
측정
해 반지름이 태양의 3배나 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청백색의 리겔은 아라비아어로 ‘거인의 왼발’을 뜻하는데, 0.1등급으로 6번째로 밝고 절대등급도 -7.1등급이나 되는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의 하나다 ... ...
우리은하도 충돌했다
과학동아
l
199912
신뢰도 높은 별의 나이
측정
모델을 통해 구상성단연구에 기여함으로써 우주의 나이
측정
에도 큰 몫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구상성단은 매우 오래된 별 집단으로 이들의 나이는 우주나이의 하한선으로서 큰 의미를 가진다. 우주의 나이는 가장 나이가 많은 구상성단의 나이보다 더 많아야 하기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