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3,644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들의 IQ
과학동아
l
199911
없어진다. 그런데 뇌를 둘러싼 두개골(頭蓋骨) 안에 모래를 집어넣어 들어간 모래의 양을
측정
해 보면 실제 뇌가 있었던 공간의 크기를 알 수 있다. 실제 뇌의 크기는 두개골 용량의 반 정도이다.어떤 공룡은 분명 매우 작은 뇌를 갖고 있었다. 예를 들면 스테고사우루스(Stegosaurus)의 무게는 3.3t이나 ... ...
병원에서 방사선을 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911
쪼여 그 속의 미량원소를 방사성원소로 변화시키고, 그 방사선의 세기와 에너지를
측정
하는 방법이다. 환자의 혈액이나 배설물을 채취해 그것을 방사화분석을 이용해 분석하면 그 환자에게 직접 방사선을 쬐지 않고도 다양한 임상검사를 할 수 있다. 방사화분석은 나폴레옹의 모발을 분석해 그 속에 ... ...
2. 날씨 따라잡기
과학동아
l
199911
일기예보는 내일의 의상을 선택하는 것에서부터 우주선 발사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기예보의 소비자다. 소비자의 입장에서 어떻게 ... 앞으로 일기예보와 기후예측 기술이 발달돼 기상재해의 피해에서 해방되고 기상예
측정
보를 100% 활용할 수 있는 날을 기대해본다 ... ...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의 만남
과학동아
l
199911
평가가 있다. 그 중 이번에 치러진 지필고사는 학생들의 종합적인 사고력과 논리력을
측정
하기 위한 것으로 전형요소의 20-40%까지 반영돼 당락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학생들의 틀에 박힌 사고를 깨고 창의력과 상상력을 끌어낼 수 있는 통합교과적 문제를 제시하려했다는 최명옥 출제위원장 ...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
과학동아
l
199910
20세 전후, 매년 1백50명-3백명)과 각지의 초등학생, 그리고 일반인의 얼굴을 70개 지역에서
측정
한 결과를 살펴보자.먼저 머리 윗부분에서 커다란 특징이 드러났다. 원래 한국인의 머리 가운데 정수리 부분(두개부)은 끝이 뾰족한 ‘고구마형’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머리 양옆 끝의 모난 부분 ... ...
태교는 과학인가
과학동아
l
199910
후 자궁 내에서 들리는 음량을
측정
한 것이다.자궁 밖에서 같은 음량(90dB, dB는 소음
측정
단위)의 남녀 목소리를 순서대로 들려주었다. 외부의 소리는 어머니의 복벽과 양수를 통과하면서 약해지기 마련이다. 그런데 남성의 음량에 비해 여성의 음량이 더 많이 감소했다(남성 2.1dB, 여성 3.2dB). 즉 태아는 ... ...
시각정보 전달 과정 밝혀져
과학동아
l
199910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어두운 하늘에서 달과 별을 관측할 수 있다. 어떤 물리적
측정
기구도 이처럼 폭넓은 빛에 반응할 수 있는 눈의 성능을 따라갈 수 없다.어떻게 망막이 빛 강도의 변화에 대해 이처럼 잘 적응할까. 눈의 망막 기능에서의 핵심은 광자들이 광수용체 세포에서 신경신호로 ... ...
1. 20년 후 한국인 체형
과학동아
l
199910
네 손가락을 움켜쥔 주먹의 둘레, 팔의 길이와 같은 신체의 일부를 사용해 사물의 크기를
측정
하고 각종 도구와 생활용품을 제작했다.예를 들어 고대의 치수 단위로 스타디온(stadion)이라는 척도가 있다. 경기장을 의미하는 스타디움(stadium)에서 유래된 말인데, 성인의 보통 걸음으로 약 1백80m 정도의 ...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 태양
과학동아
l
199910
태양은 지구에서 가장 가까우며 표면을 자세히 볼 수 있는 유일한 별이다. 다음으로 가까운 별은 센타우루스자리의 프록시마로 태양보다 2 ... 애썼다.오늘날에는 달과 화성의 표면에 레이저 반사경을 설치해 이들의 정확한 거리를
측정
함으로써 태양까지의 거리도 매우 정확하게 알 수 있다 ... ...
히말라야를 오르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09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지난 1996년 중앙일보의 의뢰로 한국스포츠과학연구원이
측정
한 자료에 따르면, 산악인 엄홍길씨는 1분 동안 몸무게 1kg당 산소를 72.8mL(최대산소섭취량)를 빨아들였다. 바르셀로나 올림픽 마라톤 금메달리스트인 황영조(82.5mL)와 애틀랜타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이봉주(78.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