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빠! 어디 가? 수학으로 즐기는 똑똑한 소풍수학동아 l2013년 05호
- 돌아오는 길에 페로몬이라는 냄새 분자를 떨어뜨린다. 이는 동료 개미들에게 먹이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서다. 그 결과 개미들의 통행이 잦은 거리는 페로몬의 냄새도 짙게 남아 있어, 그 길을 처음 다니는 개미들에게도 최단거리를 알려 주는 셈이 된다.1992년 일본의 수학자 마르코 도리고는 수학을 ... ...
- 나이에 따라 직업 바꾸는 개미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동시에 찍어야하기 때문에 개미집은 납작하게 만들었다.41일 동안 촬영한 결과 개미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24억 개, 개미 사이의 상호작용을 인식한 데이터를 940만 개 확보했다. 이는 개미에 대한 연구 중에서 가장 방대한 양이다. 켈러 교수는 “개미의 사회 구조를 이렇게까지 구체적으로 밝힌 ... ...
- 지진 예측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5호
- P파의 도착시각과 진폭 정보를 활용해, 피해를 입히는 S파가 도착하기 전, 지진의 규모와 위치를 산정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주요 기관과 시설물에 전달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예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진 발생 지역과 인접한 곳에 관측소가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먼저 ... ...
- PRAT 3. 3D 르네상스, 이제 소리도 3D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3D로 ‘움직이는 소리’를 만든다. 구체적으로는 음향 제작 단계에서 소리에 공간상의 위치 정보인 3차원 좌푯값을 지정한다. 그런 뒤 좌표에 따라 소리가 이동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스크린의 오른쪽에서 자동차가 튀어나오면 소리도 실제로 스크린 오른쪽 아래에서 튀어나오도록 할 수 있다. ... ...
- 숭례문 되살린 3D 레이저 스캔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시간 차이로 거리를 환산해 형태를 읽어낸다. 내부 2개의 반사경으로부터 정확히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측정해 컴퓨터상에 X, Y, Z 좌푯값으로 이미지를 재구축한다.대상을 스캔할 때 한 번에 모든 부분을 스캔할 순 없다. 빛은 직진하므로 발사한 레이저가 닿지 않는 부분은 측정할 수 없다. 한 대상을 ... ...
- [포토뉴스] 개미의 움직임, 페르마의 법칙을 따른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이동할 때 개미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살펴본 것이다.그 결과 개미는 출발점과 먹이가 위치한 곳을 잇는 직선이 아닌, 꺾은 선 모양의 길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개미가 무조건 직선으로 이동하는 게 아니라, 페르마의 법칙을 따라 움직인 것이라고 설명했다.페르마의 법칙이란, ... ...
- [매스미디어] 토니 스타크는 수학 천재! 아이언맨 3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장치다. 아이언맨은 HUD 헬멧을 통해 인공지능 시스템인 자비스와 통신하거나 적의 위치를 파악해 정밀 타격을 하기도 한다.현재 HUD는 일상 생활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최근 해외 명차는 물론 우리나라의 승용차에도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해 주는 HUD를 탑재하고 있다. 또한 구글에서는 ... ...
- 구구단 필요없는 최고의 곱셈 왕은 누구?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수 1, 3에 해당하는 첫 번째와 세 번째 행을 표시한다.과정 ❸ 사선으로 이어져 같은 곳에 위치한 곳의 수를 더한다. 만약 10이 넘으면 올린다. 여기서는 2, 6+1+5, 5인데, 가운데 수가 12로 10이 넘으므로 1을 앞의 자리로 올린다. 곱셈 값은 325다.알콰리즈미의 심사평 ★★★☆☆이 팀의 곱셈법은 정말 ... ...
- [매스 미디어] 돌고래는 수학 천재? 돌핀수학동아 l2013년 04호
- 것이다. 보통 잠수함에서 사용하는 초음파탐지기는 초음파 신호를 분석해서 물체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이때 복잡한 비선형 방정식을 활용한다. 연구팀은 돌고래 역시 본능적으로 이 같은 수학적인 방법을 알고 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비선형 방정식을 활용해 사냥하는 돌고래?돌고래가 ... ...
- [생활] 통계로 생각을 바꾸면 과학이 보인다!수학동아 l2013년 04호
- 피아치가 남긴 22개의 관찰 자료와, 자신이 고안한 최소제곱법을 이용해 세레스의 위치를 예측하고 세레스의 궤도까지 계산했어요. 여기서 최소제곱법이란, 다수의 관측값으로부터 실제와 가장 가까운 값을 구하는 방법이에요. 실제 해와 근사적으로 구하려는 해의 차이를 제곱해 그 합이 최소가 ... ...
이전235236237238239240241242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