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황금바다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7배 이상 넓다. 게다가 동탄 습지는 매년 100m 이상 동쪽으로 늘어나고 있다. 충밍섬이
위치
한 양쯔강 하구에는 하구둑이 없어 퇴적물이 자연스럽게 쌓이고 있기 때문이다. 거의 모든 하구마다 하구둑이 버티고 있는 우리나라와는 대조적인 모습이었다.동탄습지를 덮고 있는 것은 사람 키를 훌쩍 넘길 ... ...
달걀의 누명을 벗겨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또 흰자 안에는 노른자와 달걀 껍데기를 연결하는 흰 ‘알끈’이 들어 있어서 배아를 제
위치
에 고정하고 있지요. 껍데기에는 아주 작은 구멍이 여러 개 뚫려 있어서 배아가 숨을 쉴 수 있답니다. 달걀을 오래 보관하면 상하는 이유도 이 구멍으로 세균이 들어가기 때문이에요.완전식품이니 뭐니 ... ...
꽁꽁 언 얼음판은 최고의 과학놀이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2호
➍ 바늘과 연결시킨 낚싯대를 얼음 구멍에 넣어 물의 깊이를 가늠한 뒤 적당한 낚싯줄
위치
에 찌를 단다.➎ 낚싯대를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빙어를 유인한다.빙어도 만나고 팽이치기, 썰매타기에 제기차기까지! 겨울에 하는 놀이들이 정말 많구나~! 신나게 놀다 보니 추운 날씨도 모두 잊어버렸어 ... ...
빙하 붕괴부터 세포분열까지! 별걸 다 예측하는 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원둘레의 궤도라고 할 수 있어요. 그림①의 벡터장은 원둘레를 뱅글뱅글 돌아 원래의
위치
로 되돌아옵니다. 이를 벡터장 X라고 합시다. 벡터장 X에 작은 벡터 x′를 더하면 어떻게 될까요? 벡터장 X에 x′를 더하면(그림②) 새로운 벡터장 X+x′가 만들어집니다(그림③). 벡터장 X+x′의 궤도는 N에서 S로 ... ...
PART 2 무인기와 유인기가 맞짱을 뜬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갖춰야 한다. 적의 GPS 교란 시도를 무력화해야 하기 때문에 지형지물을 읽고 스스로
위치
파악을 할 수 있는 시스템도 필요하다.이런 무인전투기는 여러 대가 편대를 이루고 편대 내에서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받으며 침투하다가 목표에 이르면 각자가 맡은 표적을 파괴한다. 편대 무인기 일부가 ... ...
Let's MATH PARTY!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않는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어떤 세 점도 한 직선 위에 놓이지 않을 때를 ‘일반적인
위치
’에 있다고 하자. 만약 종이 위에 점 4개가 있다면, 점들을 연결해 사각형을 그릴 수 있다. 그런데 사각형이라고 모두 같은 것은 아니다. 초중고 정규 교육과정에 선 한 내각의 크기가 180°보다 작은 ... ...
중력 역전 행성에서 캬캬족을 막아라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의 소행성이 4개 있습니다. 다행히 가장 큰 ‘크기4’ 소행성과 ‘크기1’ 소행성의
위치
는 각각 파악됐습니다. 나머지 8개 소행성의 소재도 파악한 뒤, 레이저 빔으로 쏴서 부숴주세요.”미션 ❷ 거꾸로 걷는 사람들을 피해 문으로 들어가라!“휴~. 드디어 착륙했네.”우주선이 착륙한 장소를 ... ...
단추 채우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만세”와 함께 벌떡 일어났다가 다시 자리에 앉았다. 사람들이 동시에 의자의
위치
를 바로잡는 바람에 차작 하는 소리가 절도 있게 홀 안을 울렸다.“……를 욕보일 생각이 아니었다는 거죠.”남자는 보고서를 식탁 위에 내던지고 모자를 바로 쓴 뒤 자세를 바로잡고 앉았다.“자, 그래서,”“…… ... ...
[hot science] 작은 어항이 큰 불 낸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그리 간단하지 않다. 가장 치명적인 것은 가스다. 시커먼 연기가 순간 솟아오르면 물체나
위치
를 식별하기 어려워진다. 복도나 통로가 좁다면 더욱 위협적이다. 불에 잘 타지 않는 콘크리트나 돌 등으로 만들어진 현대 건축물에서 불이 나면 시커먼 연기가 치솟는 이유는 무엇일까. 원인은 고분자 ... ...
PART 4. 영원히 착륙하지 않는 무인비행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아니라, 유인조종사가 눈으로 보는 대신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토대로 거리와
위치
를 정확히 가늠하는 영상분석 기술이 무인기 공중급유의 필수 기술이다.지난 2012년 10월 미 국방부 산하 고등연구기획국(DARPA)와 NASA 드라이덴 비행연구센터, 노스롭 그루먼사는 2대의 개량형 글로벌호크를 13.7km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