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양분"(으)로 총 76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광합성도 안 하고, 꽃도 안 피는 식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조사했다. 그 결과 이 종이 다른 천마와 마찬가지로 광합성을 하지 않고 숙주 균류로부터 영양분을 얻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게다가 꽃이 피지 않고 자가수분을 하는 완전한 폐화식물이라는 것도 밝혔다. 대부분의 다른 폐화식물은 자가수분뿐만 아니라 곤충이 매개하는 타가수분도 함께 하기에, 이 ... ...
- [숲이야기] 지구에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친구, 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해요. 다시 말해 버섯은 생태계의 중심에 자리잡고 여러 동식물이 살아갈 수 있도록 영양분을 순환시키지요.그러면 버섯은 대체 언제부터 지구상에 살았을까요? 버섯이 포함된 균류는 고생대부터 있었어요. 현재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오래된 균류 화석은 약 4억 4000만 년 전, 고생대 실루리아기의 ... ...
- 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받는 상황에서는 더욱 신속하게 활성화된다.예를 들어 밥을 제때에 먹지 않아 영양분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으면 우리 몸은 오토파지로 세포 내 구성요소들을 분해해 생존에 필요한 아미노산과 에너지를 얻는다. 또 몸속에 침투한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오토파지를 통해 제거하기도 한다.최근에는 ... ...
- [과학뉴스] 탄소를 사이좋게 나눠 쓰는 나무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생명체의 뼈대가 되는 중요한 원소예요. 생명체의 대부분은 탄소를 가지고 있고, 탄소를 영양분으로 사용하지요. 나무가 양분으로 사용하는 포도당에도 탄소가 포함되어 있답니다.보통 탄소원자들은 모두 같은 무게를 가져요. 하지만 이 중엔 무게가 조금 다른 탄소원자도 있지요. 무게가 다른 ... ...
- [News & Issue] 얼굴 전체로 맛을 느낀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부드러워지거나, 딱딱한 것이 입안에서 사르르 녹을 때 맛있다고 느낀다. 딱딱한 건 겉에 영양분이 있다는 증거이며, 녹는다는 건 몸에 흡수가 쉽다는 증거이기 때문이다. 또, 녹으면 향이 방출되면서 더 짜릿하다. 특히 액체에 지방이 포함돼 적절한 유화물(에멀션)이 만들어지는 음식이라면 전혀 ...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미생물들은 식물이나 동물의 고단한 삶에 도움을 주고자 했다. 물론 자신도 서식처와 영양분을 제공받는 대가이긴 하지만. 이런 형태로 나타난 것이 바로 공생이었다.재레드 다이아몬드가 책 ‘총, 균, 쇠’에서 말했듯이, 항생제가 개발되기 전까지 세균(미생물의 대부분이 세균이다)은 공생 ... ...
- [Knowledge] 패배는 있어도 패배자는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가려지고 물과 양분을 나눠야 해 생장에 방해를 받는다.하지만 이 정도는 애교다. 적어도 영양분을 훔쳐가지는 않는다. 엽록소가 전혀 없는 기생식물은 물과 양분을 완전히 숙주에 의존한다. 실처럼 가늘며 노란빛을 띠는 실새삼(아래사진)이 대표적이다. 실새삼은 숙주 식물의 줄기를 돌돌 감은 뒤 ... ...
- [Knowledge] 뛰지 못하는 작은 원숭이의 생존법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경우 두 팔과 두 다리의 근육에 이 같은 혈관다발이 집중 분포해 있다. 따라서 산소와 영양분이 충분히 담긴 신선한 혈액을 빠르게 공급할 수 있고, 근육에 피로를 유발하는 젖산도 그때그때 제거할 수 있다. 또 나무를 올라가거나 거꾸로 내려올 때 혈액이 쏠려서 혈압이 급격하게 변하는 것도 ... ...
- [과학뉴스] 심근세포로 움직이는 가오리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조종할 수는 없었다. 가오리로봇은 이점을 극복했다. 물론 갈 길이 멀다. 가오리로봇은 영양분이 풍부한 용액 속에서만 작동하며, 용액의 온도는 쥐의 체온 수준을 항상 유지해야 한다. 가오리로봇을 실제로 응용하려면 자연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에서 움직여야 한다. 로봇의 인공근육과 ... ...
- [Knowledge] 쓴 풀이 곧 약이 되리니…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하디 박사팀이 스페인 북부에서 발견된 네안데르탈인의 치아를 2012년에 분석한 결과, 영양분이 거의 없는 쓴 식물을 섭취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아마 다른 고인류들도 비슷하게 약용 식물을 활용했을 것이다. 또, 고인류 역시 자가치료 행동을 전하는 과정에서 침팬지처럼 복잡한 사회 구조와 교육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