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분
영양
영양소
자양분
음식물
음식
d라이브러리
"
영양분
"(으)로 총 762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스터리 2. 사막에 사는 특별한 생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식물은 생존의 달인!식물이 살기 위해서는 물, 햇빛, 흙,
영양분
등이 필요해요. 그런데 사막에는 비가 거의 내리지 않아서 식물이 자라기 힘들지요. 하지만 척박한 사막에서도 식물이 살아가고 있답니다.사막을 걷다 보면 실 뭉치처럼 둥그런 물체가 바람에 날려 이리저리 굴러다니는 모습을 볼 수 ... ...
[가상인터뷰] 굶주림은 꿀벌을 강하게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일리 : 꿀벌은 강한 적응력을 가지고 있구나!꿀벌 : 연구팀은 애벌레 때 겪은 굶주림이
영양분
이 부족한 상황을 더 잘 예측할 수 있도록 만든다고 밝혔어요. 오랜 시간 동안 진화해 오면서 나름대로의 생존 전략을 만든 거예요. 하지만 전세계에 있는 꿀벌의 숫자는 꾸준히 줄어들고 있어요. 꿀벌이 ... ...
[News & Issue] 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모든 식물이 갖고 있는 엽록소의 세포내공생이다. 세포내공생의 가장 유력한 설은
영양분
을 외부로부터 얻던 고세균이 스스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흡입했다는 것이다. 현재에도 비슷한 현상을 볼 수 있다. 갯민숭달팽이는 식물의 엽록체를 자신의 세포 속으로 받아들여 수일에서 수개월 ... ...
[Career] “잘 늙고 잘 사는 법, 식물에게 배우죠”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저장하는 이미 예정됐던 노화프로그램의 결과이다. 즉, 잘 늙음으로써 충분히 저장한
영양분
을 이듬해 새 잎을 만드는데 활용하는 것이다. 그는 “이렇게 삶의 정해진 순서를 따르는 것이 노화”라고 설명했다. 이렇게 보면 식물의 노화는 식물이 터득한 중요한 진화적 전략이기에 제때에 잘 늙는 ... ...
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되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생성물인 호박산염이 저산소 유도인자(HIF)를 안정시켜 새로운 혈관을 만든다. 이 혈관은
영양분
과 산소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암 세포가 다른 장기로 옮겨가는 통로로 이용되기도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Part 2.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않았다면 아마 인간은 오늘날까지 살아남지 못했을지도 몰라요. 요리를 통해 효율적으로
영양분
을 섭취할 수 있었고, 먹는 것 이외의 생존활동에 필요한 시간도 벌 수 있었거든요.대부분의 동물은 먹이를 먹어 에너지를 얻어요. 모든 동물 중에서도 오직 사람만이 요리를 해 ‘음식(飮食)’을 만들어 ... ...
[과학뉴스] 세포가 ‘셀프 치료’하는 원리 발견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세부 과정을 밝혀 6월 15일 ‘네이처’ 온라인판에 논문으로 발표했다.자가포식은 세포가
영양분
결핍 상황에 처했을 때 노화된 소기관 등 불필요한 물질을 분해해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 기능이다. 감염된 박테리아나 바이러스를 제거해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는 작용이기도 하다.백성희 서울대 ... ...
[News & Issue]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늘어나게 된다. 이런 연구가 진행되는 건 돼지의 품종개량을 위해서다. 크기가 큰 콩이나
영양분
이 많은 콩 등 유전자변형 식물(GMO 식물)은 우리에게 꽤 익숙하지만 GMO동물은 아직 낯설다. 슈퍼돼지는 인간이 섭취할 수 있는 고기의 양이 늘어나는 일종의 GMO 동물이다.축산업계에서는 이를 반기는 ... ...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세포로 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도약판이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1파트).1단계
영양분
분해우리가 에너지를 만들 때 땔감으로 쓰는 것은 지방과 당이다. 먹을 때는 엄연히 다른 영양소지만 에너지를 만들 때는 탄소 세 개로 이뤄진 피루빈산이라는 작은 분자로 쪼개진다.2단계 TCA 회로를 ... ...
[Knowledge] ‘불청객’ 동물이 남긴 단서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않은 뼈를 갉아먹으며 미네랄이나 지방을 섭취한다. 긴 뼈의 경우 뼈의양 끝 부분에
영양분
이 많기 때문에, 갯과 육식동물처럼 뼈의 끝부분을 주로 훼손한다. 긴 뼈의 끝 부분이 훼손된 경우 이것이 갯과 육식동물에 의한 것인지 집쥐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집쥐는 갯과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