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d라이브러리
"
안
"(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5. 인류의 진화는 지금도 진행 중!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이 돌연변이가 잠수능력에 영향을 주는 비장이라는 기관을 크게 만들어 오랫동
안
잠수가 가능해진 것이죠. 연구팀은 바자우족이 수천 년 전 수상생활을 시작하면서 수상생활에 적합한 돌연변이가 생겨 퍼진 것으로 추측했어요. 이외에도 피부색, 우유에 들어있는 젖당을 소화하는 효소 등 다양한 ... ...
Part 4. 인터뷰 - 저 멀리 ‘개토피아’를 찾아서! 언더독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2호
“부르릉~.” 반려견이던 ‘뭉치’의 주인에 대한 마지막 기억은 자신을 떠나는 자동차 소리예요. 슬퍼할 새도 없이 뭉치는 로드킬부터 개 사냥꾼 ... 만들려고요. 관객들과 자주 소통해야 하는 대중적인 예술가가 8년에 한 편씩만 만들면
안
될 것 같아요. 다음엔 더 빨리 찾아올게요.(웃음 ... ...
[통합과학 교과서] 나쁜 왕비가 다시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2호
5℃는 라이노바이러스가 번식하기 좋은 온도거든요. 이 때문에 라이노바이러스는 겨울 동
안
생물의 콧속에서 번식하며 감기 증상을 일으킨답니다. ● 통합과학 넓히기 - 좀비 연구로 바이러스 잡는다?! 평화로운 나날이 이어지던 어느 날, 대도시에 좀비 바이러스가 발생했어요. 사람들은 좀비 ... ...
[과학뉴스] 3D 프린터로 척수 임플란트 제작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20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의 관 수십 개가 들어찬 비계 구조로 돼 있다. 그
안
에는 치료용 신경 줄기세포가 들어 있다. 이 임플란트가 척수 손상 부위의 구조를 유지함과 동시에, 신경 줄기세포가 올바른 방향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2mm 길이의 임플란트를 ... ...
[이달의 PICK] 밥상 떠난 오징어를 찾습니다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연구사는 “부화한 지 얼마
안
된 오징어 유생들을 바다에서 채집해 위의 내용물을 육
안
으로 관찰하거나, DNA 분석이나 방사성동위원소 분석을 이용해 어떤 먹이생물을 먹었는지 직접 밝혀낼 수 있다”면서도 “하지만 갓 태어난 유생은 크기가 약 1mm로 매우 작아 채집하기가 쉽지 않다”고 ... ...
[이달의 PICK] ‘계란의 일생’ 알아야 핵심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무조건
안
심하고 먹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계란은 통상 상온에서 3주, 냉장에서 8주 동
안
유통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법으로 정해놓은 유통기한은 없다. 권장 유통기한이 있을 뿐이다. 권장 유통기한은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포장 후에 보관온도가 0~10도를 계속 유지하면 권장 유통기한이 35일 ... ...
[나의 중국 유학 일기] 1인실 기숙사에서 나 혼자 산다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밖 거주를 택할 때 또 다른 중요한 문제는 치
안
이다. 경비원은 있는지 없는지, 위치는
안
전한지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한번 학교 기숙사를 나가면 재입주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신중히 선택해야 한다. 거주 문제는 사실 본인이 직접 살기 전까지는 잘 와 닿지 않는다. 처음에 기숙사가 1인실이라고 ... ...
DGIST 신물질과학전공 - 원자 하나하나 제어해 고온 초전도체 원리 밝힌다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이때 전류 흐름을 분석해 금속의 특성을 파악한다. STM에는 서 교수의 손길이
안
닿은 곳이 없다. 완제품을 구입한 게 아니라 핵심 부위만 맞춤 제작한 뒤 서 교수가 이들을 조립하고 추가 장치를 덧붙여 STM을 완성했다. 그는 “설계상 잘못 조립할 경우 다시 되돌리는 게 불가능했다”며 “DGIST에 ... ...
새로운 도형이 나타났다!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여정은 어땠을까요? 요하네스 쇤케 연구원에게 물어봤습니다! Q 자기소개해 주세요.
안
녕하세요, 저는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이론 천체 물리학을 공부한 요하네스 쇤케입니다. 캘리포니아공과대학에서 응용 수학 및 기계공학을 전공한 엘리엇 프라이드 교수와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을 ... ...
Part 3. 세기의 난제 ‘짐 쌓기’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공간을 채우는 방법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에요. 물건이 몇 개밖에
안
된다면 직접 해 보거나 간단한 계산으로 답을 알아낼 수 있지만 물건이 많아질수록 쌓는 위치와 순서를 정하는 경우의 수가 ‘지수적’으로 증가해요. 지수적이라는 말은 기하급수적이라는 말과 같아요. 예를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