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6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슬 머금었다 짜내는 동자꽃의 지혜
2015.03.31
사막에서도 잘 버틴다. 연구팀은 동자꽃의 생존 비결을 이파리 표면에 난 300μm(마이크로
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 길이의 미세한 털에서 찾았다. 연구팀은 동자꽃잎의 털이 15~20도의 습한 상태에서는 원뿔형 구조를 이루지만 건조한 상태에서는 수직으로 90도 정도 뒤틀리는 특성이 수분을 ... ...
100배 싼 촉매 개발… “수소상용화 앞당겼다”
2015.03.29
가지 니켈 화합물의 화학적 효과를 정밀하게 예측했다. 그 결과 황화니켈을 나노
미터
(nm·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으로 작게 만들면 수소 발생을 위한 촉매 성능이 가장 우수해 진다는 사실을 이론적으로 밝혀냈다. 연구팀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나노 구조로 이뤄진 단결정 황화니켈 화합물을 ... ...
위조 불가능한 ‘인공 미세지문’ 개발
2015.03.25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위조 방지 기술로는 지폐에 사용되는 홀로그램이나 μm(마이크로
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 크기의 소형 식별자를 넣는 방식이 있다. 하지만 기존의 마이크로 식별자는 식별 방식이 바코드처럼 쉽게 예측할 수 있어서 위조 위험이 높았다. 연구진은 사람의 지문에 주목했다. ... ...
두께 3nm, 세계에서 가장 얇은 반도체 개발
2015.03.25
세계에서 가장 얇은 반도체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유 교수는 “두께 3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인 초박막 반도체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현재 가장 얇은 반도체는 두께가 14nm 수준이다. 연구진이 사용한 재료는 이황화몰리브덴(MoS2)이다. 이황화몰리브덴은 얇고 전기가 잘 ... ...
원하는 빛만 흡수하는 광소자 개발
2015.03.22
나노선은 두께에 따라 다른 파장의 빛을 흡수했다. 특히 껍질의 구조가 6㎛(마이크로
미터
)인 실리콘 나노선의 경우 껍질이 얇은 부분은 파란색 빛만을, 껍질이 두꺼운 부분은 초록색 빛만 주로 합성했다. 또한 연구팀은 합성 조건에 따라 껍질의 두께와 주기를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데 ... ...
라면 먹다 김서림, 이젠 안녕!
2015.03.20
선명한 유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유리 표면에 1μm(마이크로
미터
) 두께로 이산화실리콘을 코팅한 뒤 고온의 플라스마로 깎아냈다. 동시에 나노 돌기의 ‘틀’ 역할을 할 나노 금속입자를 유리 표면에 뿌렸다. 금속입자가 들러붙은 표면은 상대적으로 플라스마에 덜 깎여 ... ...
암 전이 환경 그대로 모사하는 ‘인공 세포막’ 개발
2015.03.18
사이에서 일어나는 물질교환을 알아내기 힘들었다. 반면 TNT 멤브레인은 두께가 500㎚(나노
미터
·1㎚는 10억 분의 1m)로 기존 막 대비 20분의 1로 얇고 다공성으로 이뤄져 있어 세포간 물질 교환이 신체 내에서와 유사하게 일어난다. 실제로 연구팀은 TNT 멤브레인을 이용해 암이 전이되는 과정에서 ... ...
드라마 ‘스샷’ 찍듯 단백질 반응 찍는다
2015.03.17
초고속으로 발생하는 수소와 중수소의 교환현상을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 또한 마이크로
미터
(㎛) 크기의 작은 물방울에서는 생화학 반응 속도가 평소보다 1000배 정도 빨라지는 현상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 방법을 통해 3㎲의 정밀한 시간분해능으로 단백질 반응과정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남 ... ...
미래형 3차원 반도체 제조법 발견
2015.03.16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박원일 한양대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지름이 나노
미터
(nm=10억분의 1m) 정도에 불과한 산화아연 막대의 지름과 길이를 자유롭게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컴퓨터나 스마트기기에 쓰이는 반도체는 회로가 정밀할수록 성능이 뛰어나지만 최근 5~10nm ... ...
6억 년 전 해면 동물 화석 발견
2015.03.16
배아 화석을 발견했다고 보고해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다. 즉 지름이 400~500마이크로
미터
(㎛)인 공 모양의 이 화석은 마치 분열 중인 수정란처럼 화석 개체에 따라 세포가 두 개, 네 개, 여덟 개 등으로 나뉘어 있었고 분열이 진행되어도 공의 크기가 그대로라 세포 하나의 크기는 작아졌다. 바로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