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62건 검색되었습니다.
125nm HIV 막는 0.03mm 두께 콘돔
과학동아
l
2014.11.28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를 막을 수 있을까. 실제로 정자의 최대 지름은 3000nm(나노
미터
), 성병 중 하나인 임질의 병원균 지름은 800nm인 데 비해 HIV의 지름은 125nm에 불과하다. 김 차장은 “문제없다”며 “미국 식품의약국(FDA) 실험 결과 콘돔을 잡아 늘린 상태에서도 병원균과 바이러스가 통과하지 ... ...
강철보다 튼튼한 ‘방탄 그래핀’
2014.11.28
2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머리카락 두께의 100분의 1 정도인 지름 1μm(마이크로
미터
) 유리탄환을 30~300장을 겹쳐 놓은 그래핀을 향해 초속 600~900m로 충돌시켰다. 이는 실제 소총의 탄환 속도와 비슷하다. 연구진은 초소형 탄환을 초고속으로 발사하기 위해 화약 대신 레이저를 썼고, 금이 ... ...
‘로체스터 투명망토’ 직접 체험해보니
2014.11.21
주를 이뤘다. 하지만 메타물질로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명망토 효과를 내려면 10nm(나노
미터
) 크기의 극도로 작은 나노 구조물로 된 메타물질을 만들어야 하는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이 때문에 아직까지 메타물질을 활용한 진정한 투명망토는 나오지 않았다. 최 연구원은 “로체스터 망토는 ... ...
원료 넣고 펄펄 끓였더니 구멍이 숭숭
2014.11.18
올해 노벨 화학상 후보로 메조다공성물질을 지목했다. 메조다공성물질은 지름 2~50nm(나노
미터
·1nm는 10억 분의 1m)의 구멍인 ‘메조 기공’이 송송 뚫려있는 소재다. 크기에 따라 기공의 종류도 나뉜다. 지름 2nm 이하는 ‘마이크로 기공’, 지름 50nm 이상은 ‘매크로 기공’으로 불린다. 최근 국내 ... ...
줄기세포치료제 손상 없이 전달하는 기술 개발
2014.11.18
KAIST 화학과 교수팀은 프랭크 카루소 호주 멜버른대 화학공학과 교수와 공동으로 나노
미터
(nm) 길이의 필름으로 단일 세포를 코팅해 세포의 생존을 유지하다가 원하는 시간에 분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미생물은 영양분이 부족한 환경에서 생존이 불리해지면 DNA 보존을 위해 ... ...
한양도성을 위한 상소문, 2014년 '만인소'
동아사이언스
l
2014.11.18
대학로, 홍대 등에서 한양도성을 알리며 국민들로부터 받은 등재 기원글은 길이 500.3
미터
의 상소문 형태로 제작됐다. - 청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지킴이 제공 “세계유산지킴이 활동을 처음 시작하며 느낀 점은 희망보다는 좌절감에 가까웠습니다. 생각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우리의 소중한 ... ...
‘퀀텀닷’이 뭐길래 이렇게 뜨나
2014.11.14
붙였다. 퀀텀닷은 실제로 수백~수천 개의 원자가 뭉친 덩어리지만 지름이 10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 이하로 매우 작아 양자 구속 효과 등 다양한 양자역학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이 때문에 퀀텀닷은 별도 광원 없이 전압을 가하기만 하면 스스로 빛을 낼 수 있고, 차세대 디스플레이 재료로 ... ...
팔만대장경이 A4 한 장에
2014.11.12
데 성공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폭이 10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인 나노 구조물을 거의 모든 표면에 인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팔만대장경에 새겨진 글자의 획 굵기를 10nm로 대폭 줄인 셈이다. 그동안 나노 인쇄기술은 주형을 이용해 나노 구조물을 ... ...
미니어처 크기 ‘나노 배터리’ 나온다
2014.11.11
등의 얇은 금속 박막을 강한 산성 용액에서 전기화학적으로 처리했을 때 만들어지는 나노
미터
단위의 미세한 구멍이다. 특히 구멍이 규칙적으로 배열돼 있어 전극 사이의 간격이 균일한 배터리를 만들 수 있다. 연구진은 이 나노동공에 전기를 생성시키는 전해질을 넣고 양쪽 구멍 끝부분에 ... ...
이제는 입체가 대세, 3차원 그래핀 온다
2014.11.10
그래핀을 모자 모양(엠보싱)의 입체 구조로 나노
미터
(nm·1nm는 10억 분의 1m)에서 마이크로
미터
(㎛·1㎛는 100만 분의 1m)까지 성장시키는 데 성공했다. 안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3차원 입체 탄소구조체는 기계적 복원력이 뛰어나 입체유연센서 등 다양한 3차원 마이크로전자기계시스템(MEMS)에 응용할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